Comparison of High School Students Group' Awareness for the God Math Class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집단 간 인식 비교

  • Received : 2015.03.02
  • Accepted : 2015.03.28
  • Published : 2015.03.30

Abstract

This study would suggest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good mathematics teaching in high school and offer the resolutions for the conflicts caused by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math clas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comparative implications. To this end, Students are classified by their courses, grades, gender awarenesses and they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the survey results. Although the preference for the math class that fixs the misconception of students is highest, regardless of the kinds of students groups. Academic students, middle-ranked students, female students have high affinity for the class to evaluate the material covered in class and take into account their level of assessment and instruction, low-ranked student's preference is higher for the class that has focused on understanding communicating their thinking processes than students. From this, it is suggested that academic students, low-ranked students are needed to be taught in a way that increases their confidence, interests, values and also in atmosphere that make math class a positive experience.

이 연구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고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하여 수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들 간의 인식 차이로 발생하는 수업의 갈등 해소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학생들을 학년 과정별, 등급별, 성차별로 분류하여 그들 사이의 인식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학생들은 집단 분류에 관계없이 그들이 갖고 있는 오개념을 파악하여 수정해주는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인문사회과정 학생, 중위권 학생, 여학생들은 그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과 평가 및 수업 중 다룬 내용을 평가하는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하위권 학생들은 그들의 사고과정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다른 등급 학생들보다 높았다. 이로부터 인문사회과정 학생, 등급이 하위권인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인식이 향상되고 수학 수업이 긍정적인 경험이 될 수 있는 수업분위기에서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 고은성, 김태순, 조완영, 이경화, 이동환 (2011).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3(4), 633-649.
  2. 강현영, 이동환, 고은성 (2012).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1(2), 173-189.
  3. 권미선, 방정숙 (2009). 좋은 수학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2), 231-253.
  4. 권성연 (2010). 학교급과 교사 경력에 따른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수준 인식 차이, 열린교육연구, 18(4), 78-103.
  5.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6.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7. 김영옥 (2008). 효과적인 수학 교수를 위한 교사 지식 기반 영역과 수학적 지식 구조, 한국학교수학회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595-608.
  8. 김주훈, 이주섭, 최승현, 강대현, 곽영순, 유정애 외 (2002).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2-4-1.
  9. 김주훈, 최승현, 강대현, 곽연순, 유정애, 양종모 외 (2003).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11(1), 43-61.
  10. 김해윤, 허난, 노지화, 강옥기 (2012).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핵심역량의 반영 정도와 그 가능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한국학교수학회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4), 605-625.
  11. 도영선 (2011).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좋은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12. 방정숙, 권미선 (2012). 좋은 수학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6(3), 317-338.
  13. 서경혜 (2004).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교육과정연구, 22(4), 165-187.
  14. 서경혜, 유신영 (2004).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관점, 교육학연구, 42(4), 285-315.
  15.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9). 교육학 대백과사전. 서울: 도서출판 하우.
  16. 손승남 (2006). 좋은 수업의 조건: 교수론적 관점들, 교육사상연구, 20, 115-134.
  17. 신재한 (2013).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 유형에 대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6(1), 81-106.
  18. 양승실, 이혜형, 류방란, 이종태 (2001).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1-16.
  19. 엄미리, 김명랑, 장선영, 박인우 (2009).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한국교육학연구, 15(1), 107-132.
  20. 윤정일 (2003). 학교교육 붕괴위기의 종합적 분석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교육행정학연구>, 21(2), 1-30.
  21. 이대현, 최승현 (2006). 수학과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학교수학회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3), 249-263.
  22. 이봉주, 송미영 (201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초.중.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성차 분석, 한국학교수학회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1), 65-84.
  23. 이상수, 이유나, 리 리 (2008). '좋은 수업'에 대한 한.중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18(3), 27-47.
  24. 이용하, 박지현 (2011). 학습자의 오개념과 오류에 대한 수학 교사들의 PCK, 교과교육학연구, 15(1), 223-242.
  25. 전하영 (2011).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좋은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6. 조난심, 양종모, 유정애, 정미경, 장연자 (2001).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의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1-10.
  27. 최승현 (2002).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I) 수학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좋은 수업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2-4-3.
  28. 홍영기 (2001). 학교문화의 형성과 작용과정, 교육인류학적연구, 4(2), 41-58.
  29. 황규호, 양은주, 전영국, 허희옥 (2001). '교실붕괴'로 불리는 교사.학생 갈등 현상의 이해를 위한 질적 연구, 한국교육, 28(2). 247-276.
  30. 황기우 (2002). 교사문화의 생성과정 분석, 교육문제연구, 17, 213-228.
  31. Martinez-Sierra G. (2014). Good mathematics teaching from mexican high school student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 12(6), 1547-1573. https://doi.org/10.1007/s10763-013-9480-2
  32. Harry K. & Rosemary T. Wong (2013). 좋은 교사 되기 (김기오, 김경 역). 서울: 글로벌콘텐츠. (원저 2009년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