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on Turnover Intention of the Employees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of Chief Executives

휴먼서비스조직의 감성리더십이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최고관리자의 근무형태별 다집단분석

  • 신용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02.27
  • Accepted : 2015.03.16
  • Published : 2015.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f human service employees on emotional leadership-turnover intention relationship.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s chief executive's employment type differences on result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o examine them, employees from 56 loc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and 295 of them were finally analyzed. The methodology adopted in this study 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emotional leadership of supervisor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Secondly, it was found that emo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ly, job satisfaction works as a mediator between the emotional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leadership is a signifiant factor for job satisfaction, and that the paths vary with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of chief executiv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휴먼서비스조직의 감성리더십이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최고관리자의 근무형태별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휴먼서비스조직 중 건강가정지원센터를 대상으로 서울, 경기도 56곳에서 근무하는 295명의 종사자를 설문조사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활용하여 최고리더자의 근무형태별 경로계수의 차이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감성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감성리더십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성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최고관리자의 근무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종, "휴먼서비스 산업체계 모형에 의한 사회복지서비스 동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1권, 제2호, pp.35-73, 2009.
  2. 이석미, 이은영, 조상미, "휴먼서비스 조직의 조직 효과성",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1권, 제3호, pp.33-68, 2009.
  3. 정여주, 이기숙, "건강가정사의 조직문화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8권, 제4호, pp.461-484, 2013.
  4. 박성희, 건강가정지원센터 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5. A. G. Yukl, Leadership in Organizations, Fifth edition. Prentice Hall, 2002.
  6. 신유근, 조직행위론, 서울: 다산출판사, 1997.
  7. D. Goleman, R. Boyatzis, and A. Mckee, Primal Leadership: Learning to Lea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2.
  8. P. Salovey and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9, No.3, pp.185-211, 1989.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9. D. Goleman, R. Boyatzis, and A. Mckee,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2.
  10.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 Psychology, Vol.1, pp.1297-1343, 1976.
  11. 김지성, 박기찬, 이덕로 역, 조직행동론, S. P. Robbins, 2005. Organizational Behavior: Prentice Hall, 서울: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05.
  12. 반미선, 감성리더십이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기관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3. 이영면, 직무만족의 의미와 측정, 서울: 경문사, 2011.
  14. 방하남,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의 결정요인과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논집, 제23권, 특별호, pp.133-154, 2000.
  15. 박재규, "노동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질 변화에 관한 경험적 연구", 제3회 한국노동패널학술대회, pp.1-20, 2001.
  16. W. H. Mobley,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2, No.2, 1977.
  17. 김상욱, 유홍준,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의 형태학적 결정요인: 전국 패널자료를 사용한 GLM 및 GEE 추정", 한국사회학, 제36권, 제1호, pp.51-81, 2002.
  18. 박상수, 직무관련변수가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9. 오지영, 노인의료복지시설 근무자들의 이직의도결정요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0. 신경희, 감성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A 항공사 객실 승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1. 정현영, 김현아, 양이선,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통한 단체급식업체 점장의 감성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대한가정학회, 제45권, 제3호, pp.109-120, 2007.
  22. 안관영, 인적특성, 직무특성 및 조직특성에 따른 이직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23. T. A. Scandura, "Leader-member exchange and supervisor career mentoring as complementary constructs in leadership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6, pp.1588-1602, 1994. https://doi.org/10.2307/256800
  24. 윤만희, "서비스종업원의 교환관계 확장이 직무관련 태도와 서비스 수행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제24권, 제2호, pp.51-79, 2009.
  25. 장현아, 최애경, "상사-비서 교환관계(LMX)의 질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논총, 제16권, 제2호, pp.49-71, 2007.
  26. J. M. Burns, Leadership, New York: Harper & Row, 1978.
  27. D. M. Austin, "The human service executive,"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13, No.3-4, pp.13-36, 1989. https://doi.org/10.1300/J147v13n03_02
  28. 김택근, 교육서비스 기업 지점장의 고용형태와 리더십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9. 유재권, 고용형태에 따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정도가 조직몰입과 혁신행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0. 이상희, "종사원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영향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442-45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442
  31. D. Goleman, R. Boyatzis, and A. Mckee, "The emotional reality of teams," Journal of Organizational Excellence, Vol.21, No.2, pp.55-65, 2002. https://doi.org/10.1002/npr.10020
  32. 정현영, 위탁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33. A. H. Brayfield and H. F. Rothe, "An index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35, No.5, pp.307-311, 1951. https://doi.org/10.1037/h0055617
  34. T. E. Becker, "Foci and bases of commitment: Are they distinctions worth m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5, No.1, pp.232-244, 1992. https://doi.org/10.2307/256481
  35. 조영숙, "비서직 경력관련변수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논총, 제8권, 제1호, pp.101-124, 1999.
  36. 김주환, 김은주, 홍세희,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20권, 제1호, pp.243-264, 2006.
  37.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1, No.1, pp.16-29, 1996.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38.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학지사, 2009.
  39.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No.2, pp.238-246, 1990.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40. M. W. Browne and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Research, Vol.21, No.2, pp.230-258, 1993. https://doi.org/10.1177/0049124192021002005
  41. R. P. Bagozzi and Y.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No.1, pp.74-94, 1988. https://doi.org/10.1007/BF02723327
  42.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라 아카데미, 2012.
  43.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4, pp.422-445,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44. B. M. Byrne, R. J. Shavelson, and B. Muthen, "Testing for the equivalence of factor covariance and mean structures: The issue of partial measurement invariance," Psychological bulletin, Vol.105, No.3, pp.456-466, 1989. https://doi.org/10.1037/0033-2909.105.3.456
  45. 홍세희, 황매향, 이은설,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9권, 제4호, pp.1159-1177, 2005.
  46.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고급방법, S&M 리서치그룹,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