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cial Media Use and the User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와 사회적 지지감 인식: 성격, 이용동기, 이용방식을 중심으로

  •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 Received : 2015.02.23
  • Accepted : 2015.03.24
  • Published : 2015.04.28

Abstract

As the use of social media has gained mainstream popularity, concerns on the particulars of the users' motivation and method of use is on the rise. Under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this study analyzes the use behaviors in Kakao-story, Facebook, and Twitter, and analyzes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by the users of the media. Data was analyzed from 240 online questionnaire surveys. The study finds that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differs depending upon the personality of the users and their purpose of use, both of which also influence their type of use. It also finds that frequent use of social media increased the user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whereas their type of use had no effect with such perception. Communication behavior through social media seem to increas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근래 소셜미디어 이용이 대중화되면서 누가, 어떻게, 왜 이용하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관점에서 대표적 소셜미디어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의 이용행태와, 소셜미디어 이용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토이다. 이를 위해 전국규모 대학 학생대상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 240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용자 개인성향과 이용동기에 따라 이용정도에 차이가 있고 소셜미디어 이용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쓰기 등 적극적 이용방식은 대인관계나 자기이미지 노출동기와, 보기만 하는 소극적 이용은 습관적 동기와 연관되었다. 또한 소셜미디어 이용이 빈번할수록 이용자의 사회적 지지감이 증가해서 소셜미디어에 자주 접속하는 것으로 세상과 연결되어 있다고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소셜미디어에서 활동하는 방식은 사회적 지지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소셜미디어 소통행위 자체만으로 사회적 지지감을 갖게 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미래통신과학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 한국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4
  2. 금희조, "소셜 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5호, pp. 7-48, 2011.
  3. S. Valenzuela, N. Park, and K. F. Kee, "Is there socialcapitalin a socialnetwork site?: Facebook use and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trust, and participation,"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Vol.14, No.4, pp.875-901, 2009.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9.01474.x
  4. 최영, 박성현, "소셜 미디어 이용동기가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2호, pp.241-276, 2011.
  5. 김태우, "SNS의 스마트폰 게시글 내용 분석을 통한 사용자의 요구특성 분석",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7권, 제4호, pp.197-208, 2012. https://doi.org/10.7838/jsebs.2012.17.4.197
  6. 김봉섭, 박상미,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행복효과 연구: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2013 한국소통학회 봄정기학술대회 발표문, pp.141-169, 2013.
  7. 전범수, 이정기, "페이스북의 이용동기와 이용효과의 차이, 긍정적.부정적 효과 결정요인",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24권, pp.112-140, 2014.
  8. J. G. Blumler, "The role of theory in uses and gratification studies," Communication Research, Vol.6, No.1, pp.63-75, 1979.
  9. E. Katz, J. Blumner, and M. Gurevitch,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pp.509-523, 1973. https://doi.org/10.1086/268109
  10. Z. Papacharissi and A. M. Rubin, "Predictors of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4, pp.175-196, 2000.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402_2
  11. J. Raacke and J. Bonds-Raacke, "Myspace and facebook: Apply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exploring friend-networking site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1, No.2, pp.169-174, 2008. https://doi.org/10.1089/cpb.2007.0056
  12.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페이스북 이용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통권20호, pp.71-105, 2011.
  13. 김남이, 이수범, "공중의 라이프스타일이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및 이용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2호, pp.306-341, 2011.
  14. 양혜승, 김진희, 서미혜, "페이스북은 우리의 관계를 윤택하게 하는가?:페이스북 이용행위, 사회적지지 인식의 관계 고찰",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5호, pp.270-297, 2012.
  15. 심해영, 임걸, "SNS 이용동기가 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12, No,3, pp.383-390, 2011. https://doi.org/10.9728/dcs.2011.12.3.383
  16. 심홍진, 황유선, "트위터에서 의견 지도력과 트위터 이용패턴",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6호, pp.365-404, 2010.
  17. 이상욱, 이지은, 한성준, 정동훈,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자기노출, 공유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방향, 그리고 관계 유형 차원의 이해와 행태",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30권, 제4호, pp.87-129, 2013.
  18. 홍삼열, 오재철,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자 접속요인 비교분석",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9-16, 2012. https://doi.org/10.7472/jksii.2012.13.6.9
  19. 안미선, 소셜미디어(SNS) 이용거부 요인에 관한 연구: 트위터와 페이스북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0. 배지우, 박정열,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가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압력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462-47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462
  21. 김형지, 김민성, 오대규, 김성태,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이용, 대인관계, 그리고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31권, 제1호, pp.163-198, 2014.
  22. 표진우, 김인재,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4권, 제3호, pp.127-149, 2014.
  23. 오은해, "소셜 미디어의 이용동기가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과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27, No.1, pp.49-74, 2012.
  24. 이창호, 정낙원, "소셜미디어 이용정도 및 이용동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개방형/폐쇄형소셜미디어 비교",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65호, pp.5-26, 2014.
  25. 나종연, "사용확산모형을 적용한 소비자의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활용에 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제21권, 제2호, pp.443-472, 2010.
  26. G. Burnett, "Information exchange in Virtual communities," Information Research, Vol.5, No.4, 2000. http://information.net/ir/5-4/paper82.html
  27.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101606494202809
  28. P. T. Costa and R. R. McCrae, "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r)," The SAGE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assessment, Vol.2, pp.179-198, 2008.
  29. G. D. Zimet, N. W. Dahlem, S. G., Zimet, and G. K. Farle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No.1, pp.30-41, 1988.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30. S. Turkle, Alone Together: Why We Expect More from Technology and Less from Each Other, Yew York: Basic Book,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