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mpowerment Plan and Organizational Experience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through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건강가정사의 업무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해 파악한 조직생활경험 및 역량강화 방안

  • 조영희 (서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 박정윤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정지영 (여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현아 ((미)캘리포니아어바인 대학교 사회학과)
  • Received : 2014.12.29
  • Accepted : 2015.02.09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number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has increased and the services for enhancement of family strength have extended during the past ten years since the Framework Act on Healthy Families was enacted. It is time to pay attention to the empowerment for Healthy Family Specialist because their capability is directly link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which means the satisfaction of family services and the quality of family policy.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 organizational experience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and suggest the empowerment plan to enhance their capabilit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9 Healthy Family Specialists who is currently working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s a manager status during June 2014. We analyzed organizational experiences through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plans through their strength and weakness. Our findings revealed that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Healthy Family Specialist are relatively low due to a poor working condition and a low brand awareness. Also, the capability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ir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it can impact on the long serv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ayroll system, increment of salary, career recognition, employee benefit, systematic operation, and motivation are needed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There are various ways to improve professional capability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besides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contributes to make the plan of empowerment for Healthy Family Specialists and it also contributes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family policy.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2007). 건강가정사 양성교육에서 액션러닝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11(3), 67-79.
  2. 고선강(2005). 건강가정사 양성을 위한 가족자원경영학 교과과정 개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133-144.
  3. 김수정(2009). "치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자기 효능감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료경영학연구, 3(1), 1-10.
  4. 김영주(2007). 건강가정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주거학교육의 발전방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65-82.
  5. 김진희(2011). 건강가정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찬영.소광섭(2013).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27(3), 415-439.
  7. 김현민(2012). 건강가정지원센터 중간관리자의 코칭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노승용(2010). 지방공직자의 전문성 제고.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지방행정, 56(678), 20-25.
  9. 박성희(2010). 건강가정지원센터 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정윤(2007). 건강가정 전문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과과정 발전방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83-92.
  11. 배병룡(2012). 직무몰입에 대한 직무 상황 및 개인적 특성의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26(3), 23-48.
  12. 성미애.이현아(2004). 건강가정사의 역할, 자격 및 양성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45-355.
  13. 성미애.진미정.이재림.최새은(2012). 건강 가정사의 직무 및 근무환경 인식. 한국생활과학회지, 21(3), 453-468. https://doi.org/10.5934/KJHE.2012.21.3.453
  14. 송혜림.권혜진.기은광.김선우.김소영.채화영(2004). 초기 건강가정사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3), 65-93.
  15. 송혜림(2009). 공공가정의 인적자원관리방안-건강가정사 직무분석에의 적용.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13(1), 23-39.
  16. 심경순(2003).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0, 169-195.
  17. 안소희.최정숙(2014). 유자녀 건강가정사의 일.가족 양립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5. 65-94.
  18. 여성가족부.진미정.손승영.최규련.최선희(2006). 건강가정사 자격제도 운영방안 연구.
  19. 우성근.김현주.류용헌(2007). 호텔 종사원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6(1). 55-68.
  20. 이윤정(2007). 건강가정지원센터 전문 종사인력의 보수교육 현황과 전망. 한국가정관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49-64.
  21. 이윤정(2008a). 건강가정사의 직무와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08년도 제 43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9-218.
  22. 이윤정(2008b).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사업 담당 건강가정사의 직무와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79-102.
  23. 이윤정(2009). 건강가정지원센터 중간관리자급 건강가정사의 직무현황과 역량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8(4), 809-824. https://doi.org/10.5934/KJHE.2009.18.4.809
  24. 이윤정(2011a). 문화사업 담당 건강가정사 양성 및 보수교육을 위한 직무와 역량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1(4), 485-496.
  25. 이윤정(2011b). 상담영역 건강가정사의 직무 및 보수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역량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1(5), 358-368.
  26. 이윤정.정은희(2008).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건강가정사 직무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77-194.
  27. 이재숙(2007).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이주호(2013). IPA 분석을 통한 소방공무원 역량강화 방안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집. 251-259.
  29. 이학종.양혁승(201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서울: 도서출판 오래.
  30. 이화숙(201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역량강화 방안. 인문과학연구 16.
  31. 임춘희(2007). 상담실무자가 지각한 건강가정 지원센터의 상담업무와 근무환경.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83-105.
  32. 정성진.임은미(2012).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강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아동교육, 21(4), 67-80.
  33. 정여주(2012). 건강가정사의 조직문화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조성희(2010). 역량강화가 서비스 질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0, 353-376.
  35. 최연실.송명숙.권희경.조은숙.남영주 (2012a). 가족서비스 실천과정에서의 건강가정사의 관점에 대한 질적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50(7), 21-35. https://doi.org/10.6115/khea.2012.50.7.021
  36. 최연실.송명숙.권희경.조은숙.남영주 (2012b). 건강가정사가 인식한 가족과 건강가정에 대한 이미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4). 3-28.
  37. 최지혜(2008). 건강가정지원센터 실무자의 아동학대 인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하형란.강혜자(2012). 경찰공무원의 조절초점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26(2), 121-142.
  39.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4). 2013 건강가정지원센터 연간 사업실적보고서. 서울 : 한국건강가정진흥원
  40. 홍달아기(2007). 사회변화에 따른 건강가정사의 전문성 개발 - 건강가정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생활과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71-82.
  41. 황병숙(2005).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