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기정.변미희(2010).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가족정책 비교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3), 37-51.
- 공미혜.오세자(2010). 국제결혼 부부의 성역 할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필리핀 여성과 한국 남성 부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2(2), 95-120.
- 김선영(2009). 한국과 독일의 다문화 비교: 다문화정책 환경과 정책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9(1), 175-194.
- 김오남(2006),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이선.민무숙.홍기원.주유선(2011).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V) : 다문화사회 정책의 성과와 미래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김지현(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망,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 김순규.이주재(2010).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한국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1), 5-10.
- 김현숙(2007), 부산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16(1), 163-176.
- 김현숙.김희재.오중환(2010).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의 질의 관계, 가족과 문화, 22(3), 97-127.
- 김현숙.김희재.오중환(2011).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의 결정요인 :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27-51.
- 민무숙.김이선.주유선.이정연(2013).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양상을 통해 본 사회 통합의 과제, 여성연구, 83(2), 5-43.
- 박미은.신희정.이미림(2012).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3(4), 213-244.
- 박미정.엄명용(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2), 1-26.
-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이오복(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한 정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4), 25-56.
- 이원숙(1992). 사회적 망. 사회적 지지와 임상적 개입의 이론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이유경(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 이은주.전미경(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관련 변인 메타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125-141. https://doi.org/10.7466/JKHMA.2013.31.5.125
- 이형하(2013).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생활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18(12), 149-157.
- 장덕희.이경은(2010). 결혼이민여성을 위한 공식적 지지가 정신건강과 문화적응에 가지는 효과. 젠더와 문화, 3(1), 67-97.
-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공역, John W. Creswell(2010).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 최경숙(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홍성희(2012). 다문화가족의 문화차이 인식과 문화적응의 양상.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153-17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2.153
- Burleson, B.R(2003). the_experience and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 What the study of cultural and gender differences can tell us about close relations, emotion,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ersonal Relationships, 10. 1-23. https://doi.org/10.1111/1475-6811.00033
- Cohen, S. & Hoberman, H. M.(1983). Social support in marriage,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9(4), 307-324. https://doi.org/10.1080/01926180126500
- Frone, M.R., Yardley, J. K., markel, K. S.(1997). Developing and Testing a Intergrative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0, 145-167. https://doi.org/10.1006/jvbe.1996.1577
- Logan, T. R. and G. Spitze(1994). Informal support and the use of formal services by older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y. 49(1).
- Kaplan, A.(1977). Social support: Th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Unpublished Bachelor Thesis, Brown University.
- Kaplan. B. H Cassel C. J & Gore. S(1977). Social support and health Medical Care. 15(5), 47-58. https://doi.org/10.1097/00005650-197705001-00006
- Moustakas(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Farely G. K(2003). The multi-dimensional s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