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ystem Theory Approach to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with a Focus on Formal Support Systems

다문화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체계론적 접근 - 공적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

  • Hong, Sung-Hee (Dept. of Consumer Information Studies, Keimyung University)
  • 홍성희 (계명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 Received : 2014.12.31
  • Accepted : 2015.02.04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cial workers' personal experiences providing social support to multi-cultural family in a multi-cultural family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4 social workers at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and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The social workers' personal experiences with and understanding of social support were classified as 4 categories : 'source of emotional support to the multi-cultural family', 'diverse and systematic educational support', 'excessive demands on material support', and 'daily life support and connection with community network'. The social workers recognized emotional and educational support as essential factors in providing social support to multi-cultural family. However, the social workers' perceptions of material support derived from negative personal experiences stemming from excessive demands and misunderstanding for material support. These results showed that social workers at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provided multi-cultural families with social support and that they interacted with community support system and multi-cultural families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변미희(2010).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가족정책 비교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3), 37-51.
  2. 공미혜.오세자(2010). 국제결혼 부부의 성역 할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필리핀 여성과 한국 남성 부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2(2), 95-120.
  3. 김선영(2009). 한국과 독일의 다문화 비교: 다문화정책 환경과 정책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9(1), 175-194.
  4. 김오남(2006),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이선.민무숙.홍기원.주유선(2011).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V) : 다문화사회 정책의 성과와 미래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 김지현(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망,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7. 김순규.이주재(2010).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한국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1), 5-10.
  8. 김현숙(2007), 부산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16(1), 163-176.
  9. 김현숙.김희재.오중환(2010).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의 질의 관계, 가족과 문화, 22(3), 97-127.
  10. 김현숙.김희재.오중환(2011).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의 결정요인 :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27-51.
  11. 민무숙.김이선.주유선.이정연(2013).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 양상을 통해 본 사회 통합의 과제, 여성연구, 83(2), 5-43.
  12. 박미은.신희정.이미림(2012).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3(4), 213-244.
  13. 박미정.엄명용(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2), 1-26.
  14.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이오복(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한 정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4), 25-56.
  16. 이원숙(1992). 사회적 망. 사회적 지지와 임상적 개입의 이론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7. 이유경(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18. 이은주.전미경(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관련 변인 메타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125-141. https://doi.org/10.7466/JKHMA.2013.31.5.125
  19. 이형하(2013).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생활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18(12), 149-157.
  20. 장덕희.이경은(2010). 결혼이민여성을 위한 공식적 지지가 정신건강과 문화적응에 가지는 효과. 젠더와 문화, 3(1), 67-97.
  21.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공역, John W. Creswell(2010).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22. 최경숙(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홍성희(2012). 다문화가족의 문화차이 인식과 문화적응의 양상.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153-17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2.153
  24. Burleson, B.R(2003). the_experience and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 What the study of cultural and gender differences can tell us about close relations, emotion,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ersonal Relationships, 10. 1-23. https://doi.org/10.1111/1475-6811.00033
  25. Cohen, S. & Hoberman, H. M.(1983). Social support in marriage,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9(4), 307-324. https://doi.org/10.1080/01926180126500
  26. Frone, M.R., Yardley, J. K., markel, K. S.(1997). Developing and Testing a Intergrative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0, 145-167. https://doi.org/10.1006/jvbe.1996.1577
  27. Logan, T. R. and G. Spitze(1994). Informal support and the use of formal services by older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y. 49(1).
  28. Kaplan, A.(1977). Social support: Th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Unpublished Bachelor Thesis, Brown University.
  29. Kaplan. B. H Cassel C. J & Gore. S(1977). Social support and health Medical Care. 15(5), 47-58. https://doi.org/10.1097/00005650-197705001-00006
  30. Moustakas(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31.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Farely G. K(2003). The multi-dimensional s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