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Attachment Injury and State-Trait Anxiety on the Marital Adjustment of Battered Women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애착손상 및 상태-특성 불안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심희정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가족상담학과) ;
  • 서미아 (단국대학교 상담학과)
  • Received : 2014.12.01
  • Accepted : 2014.12.13
  • Published : 2015.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ttachment injury and stsit-trait anxiety on marital adjustment of battered women. The participants were total 220 battered women who have experiences with violence from their spous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 to May 6 in 2014 from five shelters for battered women, seven counseling centers, and three shelters run by various religion. SPSS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est,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done. As study results, attachment injury, state and trait anxiet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Marriage status, number of children, duration of violence, attachment injury,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to explain marital adjustment. The explanation power was 60.0%. This study results will be use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 for enhancement of marital adjustment whereas to decrease attachment injury and state-trait anxiety.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한 부부 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애착손상 및 상태-특성불안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총220명의 가정폭력 피해여성이었으며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3월 20일부터 5월 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5개의 가정폭력 피해여성 거주 쉼터, 7개의 상담센터, 3개의 종교 관련 기관으로 총 15개의 기관에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으로 기술적 통계, ANOVA test,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애착손상, 상태불안, 특성불안은 부부 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 분석결과 결혼상태, 자녀수, 폭력기간, 애착손상, 상태불안, 특성불안이 부부 적응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의 부부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60.0%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애착손상 및 상태-특성 불안을 감소시키고 부부 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현숙, 정춘숙, 한국여성인권운동사, 한울, 1999
  2. http://www.police.go.kr
  3. 여성가족부, 전국 가정폭력실태조사, 2013.
  4. 여성가족부, 전국 가정폭력실태조사, 2007.
  5. 강희숙, "가정폭력쉼터 퇴소여성의 가정복귀 성공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제14권, 제1호, pp.137-152, 2009.
  6. 이철호, "가정폭력과 인권", 한국콘텐츠 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4권, 제1호, pp.360-363, 2006.
  7. 김해성, 가정폭력의 실태와 법적 대책에 관한 연구 : 교정.치료프로그램의 개선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 김태중, 가정폭력의 현황과 대책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9. 김영만, 한성대학교 행정가정폭력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방지방법 연구,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0. 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김혜숙, "가정폭력이 배우자 및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3권, 제3호, pp.611-636, 2004.
  11. 윤경애, 가정폭력 피해 아내들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여성쉼터입소자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2. 이은정,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거취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3. 손연주, 구타당하는 아내들의 심리적 특성 연구 : 사티어 가족치료 모델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아 존중감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14. L. Greenberg, S. Warwar, and W. Malcolm, "Emotion-focused couples therapy and the facilitatin of forgivenes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36, No.1, pp.28-42, 2010. https://doi.org/10.1111/j.1752-0606.2009.00185.x
  15. J. A. Makinen and S. M. Johnson, "Resolving attachment injuries in couples using emotionally focused therapy: steps toward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74, No.6, pp.1055-1064, 2006. https://doi.org/10.1037/0022-006X.74.6.1055
  16. S. R. Tramayne, Intimate partner violence as a risk factor for PTSD in female survivors of domestic violence: A meta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Loyola University, Chicago, 2012.
  17. 이경혜, 이광옥, 최정숙, 김수지, "아내구타 예방 및 대처 교육프로그램 개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7권, 제4호, pp.560-578, 2001.
  18. 원호택, 권석만, 박현순, 신현균, "불안장애 환자가 나타내는 사고내용의 특성", 심리과학, 제5권, 제1호, pp.1-12, 1996.
  19. J. J. Russell, D. S. Moskowitz, D. C. Zuroff, B. G. Pinard, and S. N. Young, "Anxiety, emotional security and the interpersonal behavior of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Psychological Medicine, Vol.41, pp.545-554, 2011. https://doi.org/10.1017/S0033291710000863
  20. C. Spielberger,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Academic Press, 1972.
  21. J. Y. Lau, T. C. Eley, and J. Stevenson, "Examining the State-Trait anxiety relationship: A behavioural genetic approach,"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4, No.1, pp.19-27, 2006. https://doi.org/10.1007/s10802-005-9006-7
  22. 한성심, 부모교육, 공동체, 2008.
  23. G. B. Spanier and C. L. Cole, "Toward clar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marital adjus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of the Family, Vol.6, pp.121-146, 1976.
  24. B. N. Adams, The Family ;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 chicago; Rand Mcnally College Pub, 1980.
  25. 양명숙, 이혜선,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족탄력성과 부부 적응에 대한 연구,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2권, 제2호, pp.431-445, 2011.
  26. G. B. Spanier, "Measuring dynamic adjustment : New scal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Journal of Sociology of the Family, Vol.38, pp.15-28, 1976.
  27.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III. Loss: Sadness and depression, Basic Books Pub, 1982.
  28. 서미아, "중년기 부부갈등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긍정감정과 성역할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43-35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343
  29. S. M. Johnson, The practice of emotionally focused couple therapy, Brunner-Routledge Pub, 2004.
  30. 박성덕, 이우경, 정서중심적 부부치료 : 이론과실제, 학지사, 2008.
  31. B. A. van der Kolk, and A. C. McFarlane, The black hole of trauma, In B. A. van der Kolk, A. C. McFarlane, L. Weisaeth, (Eds.) Traumatic stress: The effects of overwhelming experience on mind, body, and society, pp.3-23, Guilford. Pub, 1996.
  32. 정윤경, "가정폭력 치료프로그램 이수자의 정서적 폭력이 아내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1호, pp.185-209, 2010.
  33. 박경옥,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성인애착, 자아존중감 및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4. R. Kobak and C. Hazan, "Attachment in marriage: The effects of security and accuracy of working mode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0, pp.861-869,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0.6.861
  35. A. N. Schore, Affect regul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self, Hillsdale, New Jersey: Erlbaum Pub, 1994.
  36. C. Spielberger, R. L. Gorsuch, and R. E. Lushene,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Pub, 1970.
  37. 계은주, 특성불안과 우울수준에 따른 자아방어 기제 사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졸업논문, 2001.
  38. 조영호,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우울, 불안 감소를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9. 박을순, 가정폭력이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0. F. Bradley, M. Smith, J. Long, and T. O'Dowd, "Reported frequency of domestic violence: cross sectional survey of women attending general practice," British Journal of Medicine, Vol.324, pp.1-5, 2002. https://doi.org/10.1136/bmj.324.7328.1
  41. C. C. Battle, S. D. Imber, R. Hoehn-Saric, A. R. Stone, E. R. Nash, and J. D. Frank, "Target complaints as criteria of improvement,"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Vol.20, pp.184-192, 1966.
  42. J. W. Millikin, Resolving attachment injuries in couples using emotionally focused therapy : A process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Virginia, 2000.
  43. 김정택, 特性-不安과 社會性과의 關係.-Spielber ger의 STAI를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8.
  44. 이민식, 김중술, "부부 적응(Dyadic Adjustment Scale)척도의 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5권, 제1호, pp.129-140, 1995.
  45. 현진희, 폭력행동 감소와 관계개선을 위한 부부 집단 프로그램의 과정분석과 효과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46. 정상래, 가정폭력이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석사졸업논문, 2012.
  47. 송두리, 기혼여성의 부적응적 성격과 부부간의 갈등행동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8. 전미현,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존감과 사회성에 관한 질적 연구, 경북외국어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9. 박애경,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대한 인지행동모델적용에 대한 연구, 한영신학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50. 박순향,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가정복귀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소재 1개 상담소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1. R. Bozorg-Omid, Counselors and domestic violence: Training, competence, practice and knowledge, Idaho State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6.
  52. A. Marais, P. J. de Villiers, A. T. Moller, and D. J. Stein, "Domestic violence in patients visiting general practitioners-prevalence, phenomenology,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Southsfrican Medical Journal, Vol.89, No.6, pp.635-640, 1999.
  53. 조경희,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54. 이선주, 특성 불안 및 통제 소재와 스트레스 대처 양식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55. 김정화, 애착손상을 경험한 부부를 대상으로 한애착손상해결모델의 적용 : 용서과정과 관계회복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6. 문혜숙, "가정폭력 실태와 예방 및 대책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소 논문집, 제9권, 제1호, 2000.
  57. C. Dehle and R. L. Weiss, "Associations between anxiety and marital adjustment,"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136, No.3, pp.328-338, 2002. https://doi.org/10.1080/00223980209604160
  58. 함진선, 이장한, "특질 불안 경향자의 위협자극에 대한 주의편향 연구: 안구운동 추적장비를 이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권, 제31호, pp.355-371, 2012.
  59. C. S. Carver, M. F. Scheier, and J. K. Weintraub,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6, pp.267-283,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6.2.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