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Job Satisfaction, Economic Condition Satisfaction, Change of Self-Worth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 Participants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자리사업 참여만족, 경제상태만족, 자기가치감 변화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장신재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조자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4.11.19
  • Accepted : 2015.01.07
  • Published : 2015.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ob satisfaction, economic condition satisfaction, change of self-worth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Employment Program participant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of the '2012 Elderly Employment Program Participants Surve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job satisfaction, economic condition satisfaction, change of self-worth had positive effects to quality of life. The job satisfaction had mediator effect to quality of life through economic condition satisfaction and change of self-worth. Also, change of self-worth had indirect effect between economic condition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Elderly Employment Program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자리사업 참여만족, 경제상태만족 및 자기가치감 변화와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2012)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일자리사업 참여만족, 경제상태만족 및 자기가치감은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일자리사업 참여만족은 경제상태만족과 자기가치감을 통하여 삶의 질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또한 경제상태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가치감이 간접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향후 노인일자리사업 수행에 있어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문국, "노인일자리 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소고", 월간 복지동향, 제96권, pp.22-25, 2006.
  2. 고재욱, 이동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209-1228, 2011.
  3.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2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 실태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3.
  4. 김옥희,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5권, 제4호, pp.323-349, 2009.
  5. 강신옥, 방혜선,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비교연구-충북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49권, 단일호, pp.287-309, 2010.
  6. 조준, 김영희, 조지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294-30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294
  7. 김경화, 빈곤가구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8. 이재영, 김진숙, "노인 일자리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연구-부양기대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8권, 단일호, pp.353-381, 2012.
  9. 김미곤,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pp.1-90, 2006.
  10. 이환범, "노인일자리사업 개선을 위한 효과성 평가",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1권, 제4호, pp.81-100, 2010.
  11. 강종수, 김옥희,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8권, 단일호, pp.279-298, 2010.
  12. 김학만,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삶의 주관적 만족과 참여만족간의 경로분석", GRI 연구논총, 제13권, 제1호, pp.169-188, 2011.
  13. 박평,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9호, pp.113-126, 2013.
  14. 김진욱, 손지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도와 참여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공공분야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129-145, 2009.
  15. 서양열,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만족에 관한 연구: 전라도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24권, 단일호, pp.31-51, 2004.
  16. 보건복지부, 2014년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보건복지부, 2014.
  17.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2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 실태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3.
  18. 배나래, 박충선,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761-779, 2009.
  19.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 노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2호, pp.197-222, 2006.
  20. E. Ferrans and J. Powers,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1.15, No.1, pp.29-38, 1992. https://doi.org/10.1002/nur.4770150106
  21. S. Rice and M. D. Miller, "Developing a model for the study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Use of hypertension as an example," Southern Medical Journal, Vol.83, No.8, pp.941-946, 1990. https://doi.org/10.1097/00007611-199008000-00020
  22. 손화희, 정옥분, "재가복지 수혜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한국노년학, 제19권, 제1호, pp.83-103, 1999.
  23. 하춘광, 김효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4호, pp.393-414, 2009.
  24. 하경분, 주민경, 송선희,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권, pp.160-17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60
  25. 최은희, 노인 일자리사업이 참여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6. 정원미, 최숙자, "노인의 삶의 질 관련요인 분석 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제21권, 제1호, 2003.
  27. 윤석구, 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8. 권구영, 박공식, 연구논문: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7권, 제3호, pp.527-547, 2007.
  29. 왕명자, 서은주, 차남현, "노인의 자기 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23-30, 2009.
  30.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20권, 제3호, pp.61-76, 2000.
  31.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The MacArthur foundation study, New York: Pantheon, 1998.
  32. 정미영, 심미영, "이용시설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프로그램 참여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1539-1557, 2009.
  33. G. W. Cheung and R. S. Lau, "Testing mediation and suppression effects of latent variables: Bootstrapping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11, No.2, pp.296-325, 2008. https://doi.org/10.1177/1094428107300343
  34.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권, pp.225-23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225
  35. A. Hochschild, "The time bind," Working USA, Vol.1, No.2, pp.21-29, 1997.
  36. 김동배, 이윤화, 안인경, "노인의 소득창출을 위한 직업능력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4권, 제1호, pp.107-127,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