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icient Safety Management in Inland Waters: Focused on Water Relief and Water Safety

효율적 내수면 안전관리 : 수난구호 및 수상안전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4.11.17
  • Accepted : 2015.01.26
  • Published : 2015.03.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pare countermeasures to prevent and minimize drowning accident in inland water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inland water safety management in Korea and diagnosing the defects. The defects in current inland water safety management is analyzed in four aspects. First is the legal defect that includes the absence of legislation that directs the inland water safety management. Second is the instructional defect such as the absence of educational program for prevention of inland water accidents and lack of professional water rescue experts. Third is cooperation defect such as dispersed reporting system and lack of private-public partnership in accident response. Fourth is the defect of emergency response ability, professionalism and accident response skills due to the dispersion and overlaps of safety management systems. In order to improve these defects, this study finds the countermeasures based on the survey of water sports professions and users and its analysis as follows: legislation of '(tentatively named) special act for water safety management in inland waters' is suggested in the legal aspects. A development of inland waters safety education program and training of water accident experts are suggested in the instructional aspects. Integrated operational system for water accident management, activation of safety network and re-establishment of private-public partnership are suggested in the cooperation aspects. Systematic and efficient inland water safety management plans such as enhancement of accident response skills and expertise and integrated inland water safety management with fire department-centered system were suggested in the aspects of emergency response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내수면 안전관리 실태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진단하여 내수면에서의 인명사고를 예방하고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내수면 안전관리의 문제점은 크게 4가지 측면으로 분석된다. 첫째, 내수면 안전관리를 총괄하는 법령 부재와 같은 "법률적 측면", 둘째, 내수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부재와 수난구조 전문가 부족과 같은 "학습적 측면", 셋째, 수난사고 신고체계 분산과 사고대응에 있어서의 민관 파트너십의 부족과 같은 "협력적 측면", 넷째, 내수면 수난사고에 대한 현장대응 능력 및 전문성 부족과 안전관리체계의 분산 중첩에 따른 "현장대응성 측면"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 경기도 및 강원도 수상레저 종사자 및 이용자에 대한 설문과 그 분석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법률적 측면"에서는 '내수면 수상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가칭)'제정, "학습적 측면"에서는 내수면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난사고 전문가 양성, "협력적 측면"에서는 내수면 안전사고 통합 상황관리 운영시스템 마련과 안전네트워크 활성화 및 민관 파트너십 재정립, "현장대응성 측면"에서는 현장대응 능력과 전문성 확보 및 소방중심의 내수면 안전관리 통합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백승묵, 수상인명구조에 관한 효율적 제도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 홍영근, 유병옥, 정철민, 남승현, 김태오, "효율적인 내수면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수난구호 및 수상안전을 중심으로", 제26회 국민안전 119소방정책 컨퍼런스 자료집, 2014.
  3. 소방방재청, 2012 재난연감, 소방방재청, 2013.
  4. 정종천, 수난구조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강하류 지역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렵단, "효율적인 민관협력 수난구호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2010.
  6. 윤종휘, 이은방, 하민재, 문정환, "민. 관 수난구호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한국해양구조협회 중장기 발전방향",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4, 2013.
  7. 양기근, "효율적인 해양안전관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제6권, 제4호, pp.139-156, 2010.
  8. 안전행정부, "재난안전분야 교육현황 조사" 내부자료. 2013.
  9. http://www.law.go.kr/, 검색일, 201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