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콩유역권 내 자본주의의 지역적 역동성: 라오스 고무산업의 사례

Regional Dynamics of Capitalism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The Case of the Rubber Industry in Laos

  • 투고 : 2015.01.17
  • 심사 : 2015.02.12
  • 발행 : 2015.02.28

초록

본 연구는 라오스 자본주의 발전의 지리제도적 분화와 다중스케일 분석에 주목한다. 또한 메콩유역권이 신제도주의 경제학과 경제지리학적 배열에 미친 영향을 논의하고 아시아 자본주의 다양성 접근법의 유용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상위 스케일에 연결되어 있는 다양한 국가 내 제도적 분포를 밝히기 위해 중국의 수요로 성장하고 있는 라오스의 고무산업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라오스 고무산업의 자본주의적 발전은 중국, 태국, 베트남 투자자들의 서로 다른 전략에 의한 지리제도적 분화를 보여준다. 이행기에 있는 라오스 자본주의의 분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렵지만, 고무산업에서 나타나는 증거는 다양한 제도적 분포가 존재함을 드러낸다. 그러나 포괄성의 부재는 지역발전 측면에서 우려되는 점이 있는데, 배타적 분포가 지역의 불균등한 발전과 불평등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개발도상국 국가 내 자본주의의 다양성에 대한 이론을 정교화하기 위해 지역의 사적 자본주의 개념, 국가와 지역정부의 복합적 상호작용, 그리고 자본축적과 생계수단분석 간의 관계를 분명히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focuses on geo-institutional differentiation and a multi-scalar analysis of emerging capitalist development in Laos. It discusses the impact of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on new institutional economic and economic geographical arrangements. It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the varieties of Asian capitalism approach. The rubber industry was chosen to unravel emerging but various sub-national institutional arrangements linked to higher scale levels. Rubber is a growing agribusiness industry throughout the country, led by the insatiable demand from China. Overall, this study shows that the capitalist development of the rubber industry features much geo-institutional differentiation, due to the different strategies of Chinese, Thai and Vietnamese investors. Since Laos is still in transition from a state-led economy to something else, it is impossible at this to identify the exact number capitalisms. Yet, the evidence on rubber clearly lays bare the presence of multiple institutional arrangements. Without more inclusiveness, however, the implicat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are worrying. Exclusive arrangements will most likely lead to more uneven regional development and higher regional inequality. To refine theories on sub-national varieties of capitalism in developing countries it is instructive to consider more explicitly the notion of regional personal capitalisms and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national and regional states and relationships between capital accumulation and livelihood analys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