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최근 지적공부상의 다양한 오류를 재정비하여 스마트 지적으로의 도약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적재조사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반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GSD 5cm의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활용하여 지상현황과 부합하는 영상기반의 신속한 필지경계 설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의 적용가능성과 정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두 지역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지적현황측량 성과와 지적공부상 필지면적을 기준으로 수치도화에 의해 추출된 필지경계점 및 면적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치도화 방법에 의한 필지경계점 분석의 경우 연구대상지역 모두 "지적측량 시행규칙"에 따른 연결교차의 기준은 만족하였으나 보다 엄격한 기준이 적용된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의 결정 기준 ${\pm}0.07m$에는 모두 벗어나는 결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면적 분석 결과 허용오차의 범위를 벗어나는 필지가 제천(A 지역)의 경우 총 70개 필지 중 15개로 약 20%, 그리고 수원(B 지역)의 경우 총 19개 필지 중 2개로 약 10%의 비율에 해당된다. 면적 정확도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필지는 대부분 건물의 지붕이나 처마에 의한 폐색현상과 지상의 경계에 존재하는 수목과 같은 장애물의 영향, 그리고 인공구조물이나 자연적인 지물이 없어 경계의 기준이 모호하여 영상에서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들의 필지경계 설정을 위한 해결책으로 표지용 스티커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As part of an effort to leap smart cadastre system by doing rearrangement of various mismatches in the land register, the cadastre renovation project is being recently conducted. In response to this demand, this paper proposes an image-based rapid parcel boundary demarcation plan using the high resolution aerial image with a GSD (Ground Sample Distance) of 5cm that matches to real ground boundary situation in residential area. To review the feasibility and accuracy of this proposed methodology, we compared the accuracy of parcel boundary point and parcel area extracted from the digital stereo plotting on the basis of results of cadastral boundary surveying and land register over the selected two test areas. The comparative accuracy result of all boundary points by digital stereo plotting is satisfied with accuracy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 of cadastral surveying, whereas it exceeded allowable error of ${\pm}0.07m$, more strictly specified in the Special Act on Cadastral Renovation. And about 20% of the total 70 parcels extracted by digital plotting are out of area tolerance in Jecheon study area, and 10% of the total 19 parcels in Suwon study area. The parcels exceeding accuracy limit are mostly due to the occlusion caused by building roof or eaves, and the obstacles such as trees existing on the boundary. Furthermore, an object identification is impossible in image because of vague boundary reference in case of nonexistence of man-made structures or natural features.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boundary identification stickers is recommended as a solution for these types of land par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