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cation Skill, Job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of Public Health Center Staff in South Korea

보건소 인력의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도 및 정신건강 수준

  • Ahn, Sung Mi (Department of Nursing, Gangdong University) ;
  • Park, Kyung Ok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 Management, Ewha Womans University)
  • 안성미 (강동대학교 간호학과) ;
  • 박경옥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Received : 2015.10.27
  • Accepted : 2015.12.3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ddressed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skill, job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level.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22 public health center staff members at 9 community public health centers located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skill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 level. Secondly, some components of mental health level generall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mmunication skill and job satisfaction. Third,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22% of the variance in the mental health level was explain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at specialized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to help in development of social arbitration for public health center staff.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일, 김재환, 이정호, 원호택.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I-정상인의 반응특성. 신경정신의학 1978;17(4):449-458.
  2. 고정아, 심재웅, 김지숙, 이명수. 스트레스 위험 요인과 정신건강: 2011년도 서울시민 정신건강조사. 정신보건 2011;2(-):32-28.
  3. 김도연.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유형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제주: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0.
  4. 김미연, 이윤주. 사무직 종사자의 직장의사소통과 부부의사소통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2013;14(2):1469-1485.
  5. 김세향, 이미애. 간호사의 이직의도,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014;20(3):333-342.
  6. 김은영. 의료조직 내 의사소통과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수술실 간호사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경기: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7. 김태숙, 오현경. 임상간호사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커뮤니케이션 만족 및 직무만족 간 관계분석. 충남대 간호학술지 2008;11(1):37-47.
  8. 김현, 김현리. 충남지역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 스트레스. 한국산업간호학회지 2011;20(2):204-211.
  9. 남경동 외 5명. 수술실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이 단기감정반응과 장기 부정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006;12(3):343-354.
  10. 민경호, 이병석.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한 CEO 리더십스타일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005;18(1):1-21.
  11. 박광옥. 임상실무에서 간호사가 겪은 의사와의 의사소통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2015;21(1):53-63.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1.53
  12. 박근휘. 한국 중년남성의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3. 박영민. 종합병원 간호사의 수면과 정신건강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전남: 초당대학교 대학원, 2015.
  14. 박태경. 보건소 맞춤형 방문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석사학위논문]. 대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15. 박효미, 이혜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비판적 사고 성향, 직무만족도 및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간호학의 지평 2011;8(2):105-112.
  16. 박현주. 임상간호사의 자기표현성과 정신건강 [석사학위논문]. 경기: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17. 배주영. 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성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부산: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9.
  18. 송성성. 부모-자녀간의 애착유형과 자녀의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 성향과의 관계: 중국의 독자(한 자녀)를 대상으로. 한국소통학회지 2012;12(1):301-311.
  19. 송진희, 홍현숙. 직장인 정신건강을 위한 정책 동향 및 사례. 정신건강정책포럼 2009;3(1):41-57.
  20. 양애선, 강윤희.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호과학 2013;25(2):47-58.
  21. 양은경.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 직원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22. 엄태순. 지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3.
  23. 오영아. 건강증진사업 담당인력의 교육 훈련 방안. 제 38회 보건학종합학술대회. 대한보건협회. 2013년.
  24. 윤현숙.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요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충청: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25. 이상희, 김순례. 서울시 보건소 간호사의 사회적 지지도와 직무만족도. 한국산업간호학회지 2010;9(1):62-71.
  26. 이서영. 간호사의 갈등관리 방식과 의사소통능력 [석사학위논문]. 대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27. 이수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28. 이수진. 보건소 비정규직 고용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행정학회지 2010;20(4):114-125.
  29. 이승철. 호텔 종사자의 갈등관리 유형이 팔로워십에 미치는 영향-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조절변수로[석사학위논문]. 충남: 청운대학교 대학원, 2010.
  30. 이양숙, 장수정. 기혼간호사의 일-가족 양립갈등, 조직문화, 상사지지와 정신적, 신체적 건강과의 상관관계. 보건사회연구 2013;33(4):394-418.
  31. 이용재, 문성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지각한 조직 내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영컨설팅연구 2013;13(3):175-191.
  32. 이현경, 정은기, 장안기, 이종일. 한국과 미국의 정신건강 정책목표 비교,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9;26(1):159-170.
  33. 이현숙. 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유형, 조직몰입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경기: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34. 장수정, 송다영, 김은지. 일가족 양립 정도에 대한 인식: 집단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지 2009;61(2):349-370.
  35. 정경화, 박동영, 이서영.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 갈등과의 관계. 보건의료산업학회지 2012;6(4):165-176. https://doi.org/10.12811/kshsm.2012.6.4.165
  36. 최오성. 기업체 HRD 담당자들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37. 최호현. 보건소 의료기술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서울.경기.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4.
  38.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검증, 한국언론학보 2003;47(6):380-408.
  39. Derogatis LR, Lipman RS, Covi L. SCL-90:An outpatient Psychiatric rating scale-Preliminary report. Psychopharmacology Bulletin 1973;9:13-28.
  40. Han YH, Son IS, Park GO, Kang GH.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ism, job invol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2):17-31.
  41. Rubin RB. Communication competence. In G. M. Phillips & J. T. Wood (Eds.). speech communication; Essays to commemorate the 75th anniversary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90;94-129.
  42. Rubin, RB, Martin M.M., Bruning SS, & Power D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development and test of a self-efficacy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Communication Association. Atlanta. GA. 1990.
  43. Lee HR, Lee SY, Lee MA. A Study of Nurse's Job satisfactio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2009;15(2):91-101.
  44. Spector, PE. Job Satisfaction: Application, Assessment, Cause and Consequences. Advanced topics in organizational behavior.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7;2-4.
  45. Spector, PE. Measurement of Human Service Staff Satisfaction : Development of the Job Satisfaction Survey,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985;13:693-713. https://doi.org/10.1007/BF00929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