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stival Character Creation Guidelines for the Region's Unique Cultural Forms

독창적인 지역문화 형성을 위한 축제캐릭터 제작 가이드라인

  • 최정윤 (건양대학교 창의융합대학 융합디자인학부)
  • Received : 2014.10.17
  • Accepted : 2015.01.06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Competition among local governments in a competitive global festival and the festival is going to become the intensify regional strategies as enabled by the improved local image production and has been a symbol of the festival and each municipality is competitive. Is required as a symbol for the symbol can be passed to the consumer in this situation differentiated festive images efficient communication studies on the character. When viewed as a symbolic sign for the character representation of activities for the festival, Can provide a logical framework that is distinct from the idea of a character who relies on intuition and the creative semiotics. In this research paper a semiotic analysis of the character and the character string to enhance communication efficiency concept, Festival effect,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the local culture. Empirical analysis of consumer images, Shared on the basis of empirical results to the consumer means, the paper shows that the influence of each of the other factors is reflected in the character according to the signifier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 character region on the concept of a character form culture semiotics interpretation element influences the guidelines of the characters that may be produced.

지역이미지 향상을 통한 지역 활성화 전략으로서 경쟁력 있는 세계적 축제로 발돋움하기 위한 지자체와 축제간의 경쟁은 심화되어가고 있으며 각 지자체는 경쟁적으로 축제와 상징물을 양산해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차별화 된 축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여 독창적인 지역문화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캐릭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캐릭터를 축제에 대한 상징적 기호 표현활동이라고 볼 때, 기호학은 직관이나 아이디어에 의존하던 캐릭터 창작과는 구별되는 논리적인 틀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캐릭터의 커뮤니케이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캐릭터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고 캐릭터 컨셉, 축제 개최취지, 지역문화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소비자 이미지 실증분석 결과, 캐릭터의 기호학적인 해석 요소가 지역문화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캐릭터에 반영된 각 지역문화 특성과 캐릭터 컨셉의 기표에 따라 각각 다른 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의미공유 될 수 있는 캐릭터 제작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축제매뉴얼, 문화체육관광부, 2008.
  2. 코디최, 동시대 문화지형도, 컬쳐그라퍼, 2010.
  3.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기호의 우리, 우리의 기호, 민음사, 1994.
  4. 김치수, 박인철, 현대기호학의발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5. 박영원, 시각적 유머의 생산과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6. 윤홍렬, 지역문화축제 브랜드디자인의 상징표현이 미치는 영향성과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7. 민혜남, 캐릭터디자인의 기호학적 신화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8. 박영원, 광고디자인 기호학, 범우사, 2003.
  9. 백선기, 광고 기호학,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0.
  10. 원융희, 세계의 축제문화, 백산출판사, 2003.
  11. 정찬영, 디자인 경영전략을 통한 지역축제 발전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박사논문, 2011.
  12. 김문석, "지방자치단체의 캐릭터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디자인포럼학회, 디자인학 연구집 Vol.6, No.1, p25, 2000.
  13. http://www.mcst.go.kr
  14. 움베트로 에코, 해석의 한계, 그라쎄(Grasset), 1992.
  15. 양재범, "마케팅환경 변화에 따른 통합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5, pp.113-121,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5.113
  16. 안성혜, "지역문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기획 방안의 모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2, pp.168-175,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2.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