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ccess Model Setting for Historical, Cultural Theme Park Development -With an Example of Korean Culture Theme Park-

역사·문화 테마파크 개발을 위한 성공모델 설정 -한국 문화 테마파크를 사례로-

  • 권기창 (경북도립대학교 IT특약계열)
  • Received : 2014.10.23
  • Accepted : 2015.01.07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A theme park is a complex space, in which held is a performance & exhibition event created to make visitors feel fun and a deep impression through a certain theme. Recently, local governments are increasingly planning for theme parks with the aim of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Accordingly, this paper set up a development model for a Korean culture theme park after deducting success factors for creating a successful theme park through the case of Korean culture theme park. To be concrete, this paper deducted the success facto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research as follows: Setting of themes having identity and consistency; programs that can give fun and a deep impression; convenient support facilities reflecting customers' needs; differentiated marketing for progress in customer attraction power; location linked with cultural resources around a theme park and a space for communicating a message; privately-initiated project promotion and the main body of operation; target setting consequent on market segmentation, and demand forecast, etc. A theme park cannot be successfully operated to contribute to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until such success factors should be closely linked and harmoniz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in order for a theme park to make a continued growth, it's required that problems occurring at the operational stage should be endlessly improved, and contents strengthening should be continuously done in line with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viewers' eye level.

테마파크는 일정한 주제로 재미와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연 전시 이벤트가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공간이다.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테마파크를 많이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문화테마파크를 사례로 역사 문화 테마파크를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성공요소를 도출한 후 개발모델을 설정하였다. 문헌 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정체성과 일관성 있는 테마 설정, 재미와 감동을 주는 프로그램,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 편리한 지원시설, 집객력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마케팅, 주변 문화자원과 연계한 입지 및 메시지를 전하는 공간, 민간주도형 사업추진 및 운영주체, 시장세분화 전략에 따른 타깃설정, 수요예측을 성공요소로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들이 상호 긴밀하게 연결 및 조화가 되어야만 테마파크가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테마파크가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운영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끊임없이 개선해나가야 하며 시대적 상황과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게 콘텐츠 보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희진, 일본의 테마파크 사례와 전략, 커뮤니케이션 북수, p.30, 2007.
  2. 서천범, 레저백서, 한국레저산업연구소, p.401-404, 2014.
  3. http://www.tour.go.kr/
  4. 지역균형개발 및 중소기업지원에 관한 법률.
  5. 신발전 지역 육성을 위한 투자촉진 특별법.
  6. 관광진흥법.
  7. 고석규, "해양 영웅을 소재로 한 테마파크 개발사례연구", 도서문화, 제33집, p.38, 2009.
  8. 김창수, 테마파크의 이해, 대왕사, p.312, 2007.
  9. Fontanille and Jacques, "Espace du sens : Morphologies spatiales et structures semiotiques," Internet, p.15, 1990.
  10. 김희진, 일본 테마파크이 사례와 전략, 커뮤니케니션 북수, p.5, 2007.
  11. 김국선, 윤종현, "캐릭터 마케팅을 활용한 국내테마파크에 관한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5월, 제4호, 통권 14호, p.159, 2010.
  12. 유동환, 한국문화르네상스 프로젝트 '한문화테마파크' 연구용역, 경북테크노 파크, pp.123-125, 2008.
  13. http://www.puydufou.com
  14. http://www.edowonderland.net
  15. http://www.smpark.co.kr
  16. 차락근, 테마파크 개발전락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75-76, 1996.
  17. 곽경희, "체험 마케팅과 스폰서십마케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1, p.443, 2012.
  18. 김윤근, 홍길동 테마파크 활성화 방안,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