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Content for the Robot that Relieves Depression in the Elderly Using Music Therapy

음악요법을 이용한 노인의 우울증 완화 로봇 'BOOGI'의 콘텐츠 개발

  • 정유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
  • 정성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 Received : 2014.10.13
  • Accepted : 2014.12.18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positive effect of percussion instruments can induce increases in self-esteem and decreases in depression in the elderly. Based on this, the content for a percussion instrument robot that the elderly can use to play music is developed. The elemen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derly and the robot through the robot content are extracted. Music that arouses positive memories in the elderly is selected as part of the music therapy robot content in order to relieve depression, and a scoring system for playing music is constructed. In addition, the interaction components of the robot's facial expressions, which stimulate emotions and sensitivity in the elderly, are also designed. These components enable the elderly to take an active part in using the instrument to change the robot's facial expressions, which have three degrees of emotion: neutral-happy, happy, and very happy. The robot is not only a music game machine: it also maximizes the relief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robot that allow the elderly person to listen to what the robot plays and through the elderly person becoming involved and playing music along with the robot.

타악기가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우울증을 겪는 노인에게 자아 존중감의 증가 및 우울증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음악 요법을 로봇에 접목하여 노인들이 음악을 직접 연주할 수 있게 하는 타악기 로봇의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노인의 우울증 완화를 위한 음악치료 로봇의 콘텐츠로써, 노인과 로봇의 상호작용 요소가 도출되었다. 회상을 자극할 수 있는 노래가 선정되었고 노래의 연주에 따른 타악기의 타격에 대한 점수체계가 개발되었다. 또한 상호작용 요소 중 노인들의 감성적 자극요인이 될 수 있는 로봇 표정 요소가 디자인되었다. 표정은 무표정, 기쁨, 아주기쁨으로 구분되며 타악기의 연주 참여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여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게 된다. 노인이 로봇에서 나오는 음악을 따라 연주하고 참여도의 정도에 따라 노인과 로봇이 상호작용할 수 있다면 단순한 음악 게임기가 아닌 우울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로봇으로서의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인구총조사, 2013.
  2.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burden of disease:2004, WHO press, 2004.
  3. http://www.hira.or.kr/
  4. J. F. Karp, D. J. Buysse, P. R. Houck, C. Cherry, D. J. Kupfer, and E. Frank, "Relationship of Variability in Residual Symptoms with Recurr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during Maintenance Treatment," J. of Psychiatry, Vol.161, No.10, pp.1877-1884, 2004.
  5. E. T. Gaston, Music in therapy, millan, 1968.
  6. A. A. Clair and J. Memmott, Therapeutic Uses of Music with Older Adults. Second Edition, Silver Spring, 2008.
  7. 국가건강정보포털(http://health.mw.go.kr/)
  8. http://www.parorobots.com/
  9. 최애나, 권환순, "노래를 중심으로 한 음악치료 회상요법이 노인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7권, 제4호, pp.31-39, 2009.
  10. 이원유, 권선숙, "노인을 위한 음악요법 프로그램이 우울, 균형,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6-24, 2003.
  11. 최병철, 음악치료, 학지사, 2004.
  12. R. N. Butler, "The Life Review; An Interpretation of Reminiscence in The Aged," J. of Psychiatry, Vol.26, No.1, 1963.
  13. D. Ice, The Effects of Music and Guided Imagery on Self-Esteem of Elderly Female Care Home Residents, The University of Kansas, 1984.
  14. http://www.robon.co.kr/news/
  15. http://www.parorobots.com/
  16. 류정우, 박천수, 김재홍, 강상승, 오진환, 손주찬, 조현규, "KOBIE: 애완형 감성로봇", 로봇공학회논문지, 제3권, 제2호, pp.154-163, 2008.
  17. H. Kozima, M. P. Michalowshi, and C. Nakagawa, "Keepon: A Playful Robot for Research, Therapy, and Entertai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obotics, Vol.1, No.1, pp.3-18, 2009. https://doi.org/10.1007/s12369-008-0009-8
  18. K. E. Gfeller, 김수지 외 역, 음악치료학 개론, 권혜경 음악치료센터, 2002.
  19. 안미현, 음악치료의 원리와 방법,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0. T. U. Karl and D. E. Steven, 김재정 외 역, 제품개발론, 한올출판사, 2004.
  21. M. Snyder and R. Lindquist, Complementary & Alternative Therapies in Nursing: 6th Ed.,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9.
  22. 이화수, 애완동물 기르기가 유아의 감정이입 및 동물애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3. M. R. Banks and W. A. Banks, "The Effects of Animal Assisted Therapy on Loneliness in An Elderly Populatio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 of Gerontology, Vol.57A, No.7, pp.428-432, 2002.
  24. S. J. Brodie and F. C. Biley, "An Exploration of The Potential Benefits of Pet Facilitated Therapy," J. of Clinical Nursing, Vol.8, No.4, pp.329-337, 1999. https://doi.org/10.1046/j.1365-2702.1999.00255.x
  25. F. M. Karl, D. G. Robert, C. C. Ho, and T. K. Clington, "Too Real for Comfort; Uncanny Responces to Computer Generated Faces," J of Computers in Human Behaviors, Vol.25, No.3, pp.695-710, 2009. https://doi.org/10.1016/j.chb.2008.12.026
  26. 이상호, 로봇디자인에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표정요소의 결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7. http://en.wikipedia.org/wiki/Fishbone_diagram
  28. 박은정, 서종환, 하상오, "카드소팅테스트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007 봄 학술대회 논문집, 제9권, 제1호, pp.152-153, 2007.
  29. 노형진, SPSS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2006.
  30. 현은자, 장시경, 박현경, 연혜민, 김수미, 박성주, "유아교육 기관용 지능형 로봇의 '우리반' 콘텐츠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489,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