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Applicability of Nonproportional Model for Teaching Second Graders the Number Concept

초등학교 2학년 수 개념 지도를 위한 비비례모델의 적용 가능성 탐색

  • 강태석 (서울은정초등학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 임미인 (서울은정초등학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 장혜원 (서울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 Received : 2015.07.15
  • Accepted : 2015.08.20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is study started with wondering whether the nonproportional model used in unit assessment for 2nd graders is appropriate or not for them.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nonproportional model to 2nd graders when they learn about numbers. To achieve this goal, we analyz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pplied two kinds of tests to 2nd graders who have learned three-digit numbers by using the proportional model, and investigated their cognitive characteristics by interview. The results show that using the nonproportional model in the initial stages of 2nd grade can cause some didactical problems. Firstly, the nonproportional models were presented only in unit assessment without any learning activity with them in the 2nd grade textbook. Secondly, the size of each nonproportional model wasn't written on itself when it was presented. Thirdly, it was the most difficult type of nonproportional models that was introduced in the initial stages related to the nonproportional models. Fourthly, 2nd graders tend to have a great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of nonproportional models and to recognize the nonproportional model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place value. Finally, the ques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onproportional models sticks to the context of multiplic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xt of addition which is familiar to the students.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 2학년 1학기 1단원 '세 자리 수'의 단원평가에 제시된 비비례모델과 관련된 문항의 적절성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하여, 교과서 분석과 검사지 적용을 통해 2학년 수 개념 학습을 위한 비비례모델의 적용 가능성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2학년 초기 단계에서 비비례모델을 이용한 수 개념 지도는 교수학적으로 몇 가지 문제가 있음이 지적된다. 교과서 분석 결과로서 파악된 문제점은 첫째, 비례모델을 통한 학습 후 평가 시점에서만 비비례모델을 제시한 것, 둘째, 비비례모델을 제시할 때 수의 크기를 표시하지 않은 것, 셋째, 비비례모델이 처음 제시되는 시점에서 가장 어려운 수준의 유형을 이용한 것이다. 한편 학생 이해 측면의 문제점으로, 첫째, 비비례모델의 관계에 대한 이해도가 낮으며 특히 자릿값 개념에 기초하여 파악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 둘째, 비비례모델 간의 관계를 묻는 질문이 덧셈 맥락이 상실된 곱셈 맥락을 따른다는 점이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수학 3-1. 서울: 두산동아.
  2. 교육부 (2001). 수학 3-가. 서울: 대한교과서.
  3. 교육부 (2014a). 수학 1-2. 서울: 천재교육.
  4. 교육부 (2014b). 수학 3-2. 서울: 천재교육.
  5. 교육부 (2015). 수학 2-1. 서울: 천재교육.
  6. 김판수 (2011). 한국과 중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의 내용과 전개방식 비교 -수 개념과 덧셈 뺄셈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3), 599-617.
  7. 문교부 (1955). 산수 3-1. 서울: 서울문교서적주식회사.
  8. 문교부 (1966a). 산수 1-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9. 문교부 (1966b). 산수 1-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0. 문교부 (1966c). 산수 2-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1. 문교부 (1979). 산수 3-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2. 심혜순 (2003). 네 자리수 개념에 대한 오류와 지도방안.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http://www.corestandards.org/wp-content/uploads/Math_Standards.pdf
  14. Department of Education (2013). Mathematics programmes of study: Key stages 1 and 2. https://www.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file/335158/PRIMARY_national_curriculum_-_Mathematics_220714.pdf
  15. English, L. D., & Halford, G. S. (1995). Mathematics education : Models and processes. Laurence Erlbaum Associates. 고상숙 외 (역) (2003), 수학교육론. 서울: 경문사.
  16.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04).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2004. http://www.oph.fi/download/47672_core_curricula_basic_education_3.pdf
  17. Hiebert, J., Carpenter, T.P., Fennema, E. Fuson, K.C., Wearne, D., Murray, H., Olivier, A., Human, P.(1997). Making sense: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with understanding. Heinemann. 김수환 외 (역) (2004), 어떻게 이해하지?. 서울: 경문사.
  18.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M., & Smith, N. L. (1998).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Prentice-Hall. 강문봉 외 (역) (1999), 초등 수학 학습지도의 이해. 서울: 양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