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과 혁신정책의 재해석

New Interpretation of Innovation Policy with Lenses of Societal Innovation Policy

  • 송위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사회기술혁신연구단)
  • 투고 : 2015.10.19
  • 심사 : 2015.12.10
  • 발행 : 2015.12.31

초록

이 글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기존 혁신정책을 재해석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기존 산업혁신정책의 프레임과 다른 틀로 혁신활동과 정책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이 갖는 정의와 특성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사회 기술시스템의 전환에 대한 전망과 시민사회의 참여에 대한 강조가 기존 관점과 차별화되는 점이라는 것을 논의한다. 다음에는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렌즈로 혁신정책의 요소들을 새롭게 해석한다. 혁신 거버넌스, 산업혁신정책, 지역혁신정책, 인프라 구축 정책과 같이 혁신정책의 핵심적 수단을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이는 과학기술혁신정책을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의 전환과 참여의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기존 혁신정책 수단을 재해석하고 성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interpret the existing innovation policy with 'the societal innovation policy' framework. It is looking into characteristics of societal innovation policy and the prospects for socio-technical systems transition and citizen participation are discussed. After the discussion, new interpretation of innovation policy elements will be dealt with lenses of societal innovation policy. It sheds new light on the key elements of innovation policy, such as Innovation policy governance, industrial innovation policy, regional innovation policy, and infrastructure policy and suggests direction of policy improvements from societal innovation policy perspectives. This will be an opportunity to reinterpret the existing innovation policy measures and to approach to science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for system transition with participatory perspective.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빈다라잔.트림블, 이은경.오지연 번역(2013), 리버스 이노베이션, 정혜.
  2. 고영주.최호철.이영석(2014),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화학(연)의 R&D 정책방향과 과제, KRICT Policy Insight, 2014-2, 한국화학연구원.
  3. 관계부처합동(2013), 과학기술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실천계획(안).
  4. 국가과학기술위원회(2012), 신과학기술 프로그램 추진전략, 국가과학기술위원회.
  5. 김주환(2012), KB Daily 지식비타민: 공유가치창출의 개념과 사례, KB금지주연구소융
  6. 김왕동.박미영.장영배.송위진(2014), 사회적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출연(연)의 역할과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7. 박미영.김왕동.장영배(2014), 전환 연구와 지속가능한 발전: 벨기에 플랑드르 기술연구소(VITO) 사례, STEPI 동향과 이슈, 제18호.
  8. 김종선.송위진.성지은(2015), 농촌 활성화를 위한 혁신연계조직 육성방안, STEPI Insight, 163호.
  9. 김태연(2015) 농촌개발정책의 패러다임은 변화하고 있는가: 신내생적 발전론 관점의 적용, 동향과 전망, 93호.
  10. 남대일.강주희.안현주.정지혜.이계원(2015), 101가지 비즈니스 모델 이야기, 한스미디어.
  11. 미래창조과학부(2015),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연구사업 2015년 추진방안, 미래창조과학부.
  12. 사회혁신팀 편역(2014),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 이론과 실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Theoretical notions and application", Pioneers into Practice Mentoring Programme 2013.
  13. 성지은.송위진(2013), 사회에 책임지는 과학기술혁신, Issues & Policy, 제69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성지은.송위진.박인용(2014),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분석과 적용가능성 탐색,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2호.
  15. 송위진.성지은.김왕동(2012), 기술집약형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16. 송위진(2014), "사회적경제 조직의 혁신활동 특성과 문제점", STEPI 동향과 이슈, 제14호.
  17. 송위진.성지은(201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아카데미.
  18. 송위진.성지은(2014), "시스템 전환론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 방향", 기술혁신연구, 제22권 제4호.
  19. 송위진(2015), "사회혁신과 시스템 전환", 계간 농정연구, 53호.
  20. 오정수.강대신.하성도(2014),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을 위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사업 기획 현황", 과학기술정책 제24권 제2호.
  21. 이우광(2014), "회사가 침몰하면 내가 최후에 탈출한다. 경영자의 배수진, 혁신의 키가 되다", 동아비즈니스리뷰, 2014년 10월 2호.
  22. 이민정(2014), 일본 내발적 발전 사례와 충남의 발전정책, 충남발전연구원.
  23. 이창원 외 엮음(2013), 사회문제를 보은 새로운 눈, 도서출판 선인.
  24. 중앙일보(2015.9.21.), "미래부 실생활 밀착 R&D 도입해 운영".
  25. 폰 히펠, 배성주 번역(2012) 소셜이노베이션(Democratizing Innovation), 디플 Biz.
  26. EU(2015), Growing A Digital Social Innovation for Europe .
  27. Bergmann, et al(2012), Methods for Transdisciplinary Research, NewYork: Campus Verlag
  28. Clarence, E. and Gabriel, M.(2014), People Helping People: The Future of Public Services, NESTA.
  29. Stokes, E.(1997), Pasteur's Quadrant : Basic Scie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Brookings Institution Press.
  30. Geels, F. et al.(2008), The Feasibility of Systems Thinking in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Policy: A Report to the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London: Brunel University.
  31. Hadorn, G.H. et al.(2008), Handbook of Transdisciplinary Research, Springer.
  32. Hall, J., Matos, S.V. and Martin, M.J.C.(2014), "Innovation Pathways at the Base of the Pyramid: Establishing Technological Legitimacy through Social Attributes", Technovation, 34(5), pp284-294.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13.12.003
  33. Kuhlmann, S., Rip, A. (2014): The challenge of addressing Grand Challenges. A think piece on how innovation can be driven towards the "Grand Challenges" as defined under the European Union Framework Programme Horizon 2020, Report to ERIAB.
  34. Loorbach, D.(2007), Transition Management: New Mode of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trecht: International Books.
  35. Poppe, K.. and Termeer, C.(2009), Transitions toward Sustainable Agriculture and Food chains and Peri-urban Areas, Wageningen Academic Publishers.
  36. Porter, M. and Kramer, M.(2011), "Creating Shared Value", Harvard Business Review Jan-Fab.
  37. Stilgoe, J., Owen, R. and Macnaghten, P.(2013), "Developing a framework for responsible innovation", Research Policy, 42(9), pp.1568-1580. https://doi.org/10.1016/j.respol.2013.05.008
  38. Sutcliffe, H.(2011), A Report on Responsible Research & Innovation, London: MATTER Business Group.
  39. Temmes et al(2014), Innovation Policy Options for Sustainability Transition in Finnish Transportation, TEKES.
  40. Toivonen, M.(2014), "Policies and measures for systemic and social innovations in the healthcare sector: experience from Finland", ESIC Peer Review.
  41. Walhout, B., and Kuhlmann, S. (2013): "In search of a governance framework for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In: 2013 IEEE International Technology Management Conference & 19th ICE Conference, 24-26 June 2013, The Hague.
  42. World Bank(2015), Citizen-Driven Innovation: A Guidebooks for City Mayor and Public Adminstration, The World 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