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영산강 수계 승촌보에서 시행되었던 조류배제를 위한 다기능보 운영 사례를 대상으로, 3차원 모델링을 통한 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3년 5월 영산강 승촌보 구간에서 녹조류 Eudorina sp.가 대량 발생하였으며, 집적된 녹조의 배제를 위하여 서로 다른 방법으로 두 차례에 걸쳐 플러싱 방류를 시행하였다. 조류 발생의 공간적 분포에 대한 상세분석과 이해를 위해 고해상도의 3차원 모형 ELCOM-CAEDYM을 적용하여 1개월 동안의 수질과 chl-a 분포를 모의하였다. 모델링 결과 ELCOM-CAEDYM 모형은 실제 조류의 발생 패턴을 우수하게 모의하였으며, 저비용으로 조류 발생에 대한 고해상도의 공간적인 데이터를 재생산 하는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델링 결과를 이용하여 두 가지 방법의 플러싱 방류 CASE를 분석한 결과, 가동보를 이용하여 플러싱 방류를 실시한 CASE1의 경우 서창교~황룡강 합류지점에 발생하였던 조류는 가동보 운영에 의하여 빠르게 하류로 이동되었으나, 이후 방류량이 감소하면서 보 내에 잔류하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소수력발전을 중단하고 고정보를 통한 월류를 실시한 CASE2는 비교적 배제 효과가 크게 나타나 대부분의 조류가 플러싱되어 감소된 것을 관측 자료와 모델링 결과로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del the effect of flushing discharge on algae removal by multi-purpose weir operation in Yeongsan River (Seungchon Weir) using a 3-dimensional (3D) model. The chlorophyceae Eudorina sp. formed bloom in May 2013. Flushing discharge was conducted in two different ways for algal bloom reduction. To elucidate the spatial variability, a high-resolution 3D model, ELCOM-CAEDYM, was used to simulate the 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and chl-a over a month. The results showed that ELCOM-CAEDYM could reproduce highly spatially resolved field data at low cost, and showed very good performance in simulating the pattern of algal bloom occurrence. The effect of each flushing discharge operation was analyzed with the results of modeling. The results of case 1, flushing discharge using an open movable weir, showed that the algal bloom between the Seochang Bridge and the Hwangryong River junction is rapidly flushed after operating the movable weir, but the residual algae remained in the weir pool as the discharge decreased. However, the results of case 2, fixed weir overflow with a small hydropower stop, showed that most of the algae was removed after flushing discharge and the effect of algae removal was much bigger than that in case 1, as per modeling results and observed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