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Binge Eating

여대생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폭식증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연구

  • Received : 2014.12.02
  • Accepted : 2015.01.05
  • Published : 2015.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nge eating of university women and to discuss whether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job-stres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25 university women using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job-stress and binge eating. Descriptive, correlation statistics with SPSS 18.0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ith AMOS 20.0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inge eating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lower than intermediate level. Second,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had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the binge eating. Third, the job-str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he binge eating.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comprehensiv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interventions.

본 연구는 여대생의 폭식증 수준을 알아보고,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폭식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그리고 이 변인간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가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지역 여대생 325명을 대상으로 자기지향 완벽주의 척도, 취업스트레스 척도, 폭식증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폭식증 수준은 중간 점수에 근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여대생의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폭식증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여대생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폭식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취업스트레스는 부분 매개효과(partial mediation)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폭식증 고위험군 선별 방안, 완벽주의적 성향 감소를 위한 대처방안, 취업스트레스 개입을 통한 폭식증 중재방안 등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C. G. Fairbum, Z. Cooper, H. A. Doll, and S. L. Welch, "Risk factors for anorexia nervosa: Three integrated case control comparison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56, pp.468-476, 1999. https://doi.org/10.1001/archpsyc.56.5.468
  2. A. R. Tyrka, I. Waldron, J. A. Graber, and J. Brooks-Gunn, "Prospective predictors of the onset of anorexic and bulimic syndr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32, pp.282-290, 2002. https://doi.org/10.1002/eat.10094
  3. 오경자, 정현강,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주는 완벽주의 성향과 정서조절 양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3권, 제1호, pp.41-55, 2008.
  4. 남정혜, 이수재, 김현정, "경기 일부지역 여대생의 체질량지수와 섭식장애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27권, 제1호, pp.80-88, 2014. https://doi.org/10.9799/ksfan.2014.27.1.080
  5. K. A. Halmi, S. R. Sunday, M. Stober, A. Kaplan, D. B. Woodside, M. Fichler, J. Treasure, W. H. Berrettini, and W. H. Kaye, "Perfectionism in anorexia nervosa: variation by clinical subtype, obsessionality, and pathological eating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57, pp.1799-1805, 2000. https://doi.org/10.1176/appi.ajp.157.11.1799
  6. L. R. Lilenfeld, D. Stein, C. M. Bulik, M. Strober, K. Plotnicov, and C. Police, "Personality traits among currently eating disorder, recovered and never ill first-degree female relative of bulimic and control women," Psychological medicine, Vol.30, pp.1399-1410, 2000. https://doi.org/10.1017/S0033291799002792
  7. K. Sutandar-Pinnock, W. D. Blake, J. C. Carter, M. P. Olmsted, and A. S. Kaplan, "Perfectionism in anorexia nervosa: a 6-24 month follow-up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 Vol.33, pp.225-229. 2003. https://doi.org/10.1002/eat.10127
  8. 김하영, 박기환, "완벽주의, 충동성, 섭식절제와 폭식행동의 연관성", 한국심리학회지, 제14권, 제1호, pp.73-88, 2009.
  9. 이윤정, 손정락,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폭식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서적 섭식 및 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15권, 제3호, pp.409-425, 2010.
  10. 손은정, "완벽주의, 자기비난, 자기의식, 신체불만족 및 신경성 폭식증 증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30권, 제1호, pp.165-183, 2011.
  11. D. L. Coffman and T. D. Gilligan, "Social support, stress and self-efficacy: Effects on student's satisfaction," Journal of College Studied, Vol.4, No.1, pp.53-66, 2002.
  12. 이숙정, 유지현,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지, 제22권, 제3호, pp.589-607, 2008.
  13. E. C. Chang, "Perfectionism as a predictor of positive and negative psychological outcomes: Examining a mediation model in younger and older adultsm,"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pp.18-26, 2000. https://doi.org/10.1037/0022-0167.47.1.18
  14.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보, 2012.
  15. 통계청, 2011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개발원, 2011.
  1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 manual of disorder, 5th 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17. G. E. Wolff, R. D. Crosby, J. A. Robert, and D. A. Wittrock, Differences in daily stress, mood, coping, and eating behavior in binge eating and non binge eating college women, Addictive Behaviors, 2000.
  1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도자료(www.hira.or.kr), 2013.
  19. P. L. Hewitt and G. L. Flett,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 Concept-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0, pp.459-470, 1991.
  20. C. G. Greeno and R. R. Wing, Stress-induced eat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115, pp.444-464, 1994. https://doi.org/10.1037/0033-2909.115.3.444
  21. G. Oliver and J. Wardle, Perceived effects of stress on food choice, Psychology and Behavior, Vol.66, pp.511-515, 1999.
  22. 김은정, 청소년기 여학생들의 체형인식도 및 체중조절 실태와 이상섭식행동 관련 요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3. 김수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신체불만족이 섭식장애증상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4.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척도 개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5권, 제2호.
  25. J. F. Jr. Hair, W. E.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and R. L.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Prentice-Hall International, 2006.
  26.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10.
  27. 배병렬,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11.
  28. D. G. Schlundt and W. G. Johnson, Eating disorders: Assessment and treatment, Allyn&Bacon, 1990.
  29. 김건희,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유머감각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301-31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301
  30. 유은영,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2호, pp.718-729,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2.718
  31. 전해옥,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성인애착, 자기표현성이 우울에 미친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312-32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312

Cited by

  1.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Perfectionism and Burnout in Advanced Practice Nurses (APN) vol.22, pp.2,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