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gital Media Convergence and Interactivity in Film Narrative

디지털 미디어 융합과 영화 내러티브의 인터랙티비티

  • 송민호 (단국대학교 영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4.09.05
  • Accepted : 2014.10.13
  • Published : 2015.01.28

Abstract

This study has a main purpose on discussing the issue how the construction of film narrative will be changed by audience's desire to intervene into film narrative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ut of watching a film passively in movie theater. Compared with the collective theatergoing experience in big screen was defined as the past cinematic identity, the absolute value of movie theater fragmented increasingly in the era of media diversification facing with digital media convergence. As this situation can be compared with "the author's death" Roland Barthes predicted on the mono-media of the book, thus, we are to take the time to discuss the new emerging 'movie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discussion is the aspect of the transformation of narrative in the future screening. Especially, while 3 act structure and configuration evoking a catharsis in film narrative are elements defining aspect of the past narrative, then, the future narrative in film will change to the structure interacting with audience actively. This paper had a discussion how could be possible the aucience interaction in only movie valuing the passive experientiality uniquely in screening over the other media through investigating the attempts of interactive cinema so far 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극장을 중심으로 한 수동적 영화 관람을 벗어나 더 능동적인 참여를 통하여 영화 내러티브에 개입하고자 하는 관객의 욕망이 영화의 내러티브 구축 방식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철학적 배경을 논의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빅스크린을 중심으로 한 집단적인 관극 경험이 과거의 영화적 정체성을 규정짓는 것이었다면,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는 매체 다변화의 시대에 있어서 점점 극장이 갖는 절대적 가치는 해체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책이라는 매체에 대해 롤랑 바르트가 예견했던 저자의 죽음에 비교되는 것으로, 이제 이와 같이 새롭게 등장하는 '영화'들에 대해 논의할 시대이다. 이러한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미래의 영화 내러티브의 변모 양상으로, 특히 3막 구조, 카타르시스를 불러일으키는 구성 등이 과거의 내러티브를 규정짓는 것이었다면, 이제 미래의 영화 내러티브는 관객의 참여를 통해 내러티브에 적극적으로 인터랙션하는 구조로 바뀌게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게임이 아니라 영화만이 줄 수 있는 수동적 경험성이라는 측면의 가치를 중시하면서 가능한 관객 인터랙션 방식을 고민해보고 지금까지의 인터랙티브 시네마의 시도와 향후의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T. W. Adorno and M. Horkheimer, 김유동 옮김,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2007.
  2. W. Benjamin, 이태동 옮김, "기계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문예비평과 이론, 문예출판사, 1987.
  3. Marie-Laure Ryan, "Beyond Myth and Metaphor : The case of narrative in digital media,"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game research, No.1, 2001(7).
  4. S. Field, Sreenplay, 유지나 옮김, 시나리오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2.
  5. C. Vogler, The Writer's Journey, 함춘성 옮김, 신화, 영웅 그리고 시나리오 쓰기, 무우수, 2005.
  6. 이윤영, "발터 벤야민에 따른 영화와 건축", SPACE, 서울 : 공간사, pp.108-109, 2012(6).
  7. J. Murray, Hamlet on Holodeck :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 MIT Press, 2000.
  8. C. Hales, "Cinematic Interaction : from Kinoautomat to Cause and Effect," Digital Creativity, Vol.16, No.1, SWETS & ZEITLINGER, pp.54-55, 2005. https://doi.org/10.1080/14626260500147777
  9. "Experimental Multi-Screen Cinema" http://www.westland.net/expo67/map-docs/cine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