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ublicness of the Exterior Bus Advertising

버스외부광고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4.09.30
  • Accepted : 2014.12.02
  • Published : 2015.01.28

Abstract

Due to its intrinsic characteristic, exterior bus advertising is expos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the general public. Thus it influences on the urban publicness of the city, simply beyond leaving it as a personal marketing activity toward the industry's profit. Seoul city's campaign to improve exterior bus advertising has been to effective in removing advertisements of alcohols, tobaccos, and lascivious contents, however, there still are several advertisements that should be examined from the view point of publicness. For the case of UK, where exterior bus advertising is also actively utilizing owing to its high exposure and effectiveness, they are administrating it by setting up guidelines and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ublicness. I also identified the meaning of publicness of exterior bus advertising from the aspects of 'publicness of territories', 'publicness of subjects', 'publicness of reasoning', and 'publicness of procedures'. Through this, I suggested that both commercial right of exterior bus advertising in the private sector and citizen's right of publicness can be harmoniously developed by properly controlling and administrating the exterior bus advertising. Furthermore, artistic approach to the exterior bus advertising from the viewpoint of city environment is expected to elevate the aesthetic possession and the level of design sense of citizens.

버스외부광고는 매체의 특성상 도시를 운행하며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된다는 특성이 있다. 이는 단순한 기업의 이익을 위한 사적인 마케팅 활동을 넘어서서, 도시의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서울시는 시내 버스 외부광고 운영 개선 계획을 통해 주류 및, 담배, 선정적 내용의 광고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나 공공성의 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할 광고들도 여전이 있었다. 영국의 버스외부광고 현황 및 사례를 통해 버스 외부광고의 높은 노출성과 광고효과로 광고가 활발히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버스외부광고 내용의 지침서를 정해놓고 관리 감독을 하고 있어 공공성 부분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었다. 버스외부광고의 공공성을 '영역의 공공성', '주체의 공공성', '이유의 공공성', '절차의 공공성'으로 분류하여 그 의미를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버스외부광고에 대한 적절한 규제 및 관리가 이루어질 때 사적인 영역인 버스외부광고의 상업적 권리와 시민의 권리인 공공성이 적절히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도시환경관점에서 버스외부광고를 통한 예술적 접근이 미적향유와 시민의 디자인적 눈높이 향상에도 일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성범, "옥외 광고 트렌드와 발전 방향", Korea AD Times, 제10월호, pp.118-120, 2007.
  2. Laura E Baker, "Public Sites Versus Public Sights: The Progressive Response to Out door Advertising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Space," American Quarterly, Vol.59, No.4, pp.1187-1213, 2007. https://doi.org/10.1353/aq.2007.0077
  3. http://stat.seoul.go.kr/
  4. 이현, 교통광고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5.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8195&efYd=20140806
  6. 이재신, 교통광고의 실제, 사인문화, 1998.
  7. 장훈종, "OOH광고에 있어 버스광고효과 및 효율성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0권, 제3호, pp.443-452, 2010.
  8. 문철수, "교통광고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고속철도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옥외광고학회, 제1권, 제1호, pp.71-96, 2004.
  9. 고한준, "버스 외부 광고의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제10권, 제1호, 2008.
  10. http://traffic.seoul.go.kr/
  11. http://www.exterionmedia.com/uk/what-we-do/our-media/bus/
  12. http://www.legislation.gov.uk/uksi/2007/783/pdfs/uksi_20070783_en.pdf
  13.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195900
  14. Jurgen Habermas, 공론장의 구조변동, 나남출판, 2001.
  15. 박소영, 공공디자인을 통해 발현되는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6. 김미옥, "도시디자인에 있어서 공공성의 개념과 구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트아트학회, 제13권, 제2호, pp.3-13, 2010.
  17. 진애라, 도시환경을 고려한 시내버스 외관 색채 디자인,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8. 정규호, "공공디자인의 공공성과 행정메커니즘", 한국디자인학회, 제24권, 제97호 pp.345-362, 2011.
  19. G. Prendergast and C. C Hang, "The effectiveness of Exterior Bus Advertising in Hong Kong: A preliminary Investig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Consumer Marketing, Vol.11, No.3, pp.33-50, 2008. https://doi.org/10.1300/J046v11n03_03

Cited by

  1. A Convergence Exploration to Restrict Extension of OOH Advertising as Materialization of Borrowed City Phenomenon in Korea vol.13, pp.8,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