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Plan for Planting Large Trees in Artificial Ground of the Apartment Complex

공동주택 인공지반 대형교목 식재 개선방안

  • 강명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남정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5.09.15
  • Accepted : 2015.10.29
  • Published : 2015.10.30

Abstract

Large trees in the apartment complex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decide the quality of external environment. They are planted with the object of utilizing themselves as a landmark of the complex and enhancing space symbolism. Since planting large trees would require high maintenance costs and generate defect, it would cause decline in quality of external environment. This study researches on large trees in artificial ground of the apartment complex. This study analyzes actual condition of planting and tries to provide improvement direction of planting.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three target areas (over R30) and 265 trees are selected. Based o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this study researches on the plan of landscape design, changes of field design, actual condition of completion, present condition of planting, minimum soil depth of growth and development and types of extra action for soil depth. The result shows that 85% of drawings and specifications for large trees in the apartment complex are deep-rooted tree species. On average large trees with R 35 are planted in artificial ground and there is lack of on average 65cm minimum soil depth of growth and development. Reviewing changes of field design is conducted in such limited size as mainly R30 and R40 and there is no extra plan for lack of soil depth. The plan for securing additional soil depth is done by 85% of mounding. However, since there is only 10% of satisfaction, the inappropriateness in securing additional soil is pointed out. This research also points out that the size of large trees, root characteristics and location-allocation for planting are pivotal factors for securing minimum soil depth of growth and development. This research also provides improvement direction in case of planning planting.

아파트 단지 내 대형교목은 공동주택 외부환경의 질적 수준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이것은 단지의 랜드 마크적 활용 및 공간 상징성 제고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대형교목의 식재는 높은 유지관리비용 및 하자의 발생으로 오히려 외부환경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 인공지반에 식재되는 대형 교목을 대상으로, 식재실태를 분석하여 대형교목의 식재 개선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3개 대상지의 대형교목(R20이상) 총 265주를 대상으로, 조경설계계획 및 현장설계 변경사항, 그리고 준공실태를 관련 설계도서 및 현장 조사를 기반으로 식재 현황 및 최소 생육 토심, 추가 토심조치 유형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동주택의 대형교목 조경설계는 85% 심근성 수종으로 평균 R35의 대형교목이 인공지반에 식재되고, 평균 65cm 최소 생육 토심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현장설계변경은 주로 R30과 R40의 특정 규격에 한정된 검토가 이루어지고, 부족 토심에 대한 추가계획 등은 수반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추가 토심 확보방안으로 85%가 마운딩으로 조치하였으나, 만족율은 10%내외로 매우 낮아, 조치방법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대형 교목의 규격과 뿌리근 특성 이외에, 식재 입지선정이 최소 생육 토심 확보에 주요한 요인임을 지적하고, 식재계획 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수, 문석기, 김남정(2014), "공동주택단지 인공지반 식재환경 개선방안",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7(5): 51-64.
  2. 국토교통부(2014), 조경설계기준.
  3. 신규환(1992), 아파트단지의 조경수목 선정 기준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오충현, 박은하(2012), "아파트단지 조경수목 식재밀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73-75.
  5. 임원현, 김용수(2001), "아파트단지 조경수목의 식재하자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2): 61-67.
  6. 정문화, 정성관, 유주한, 신재윤, 최철현(2014), "아파트 단지 조경수목의 성장특성 분석: 대구광역시 메트로팔레스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68-69.
  7. 조성호, 이경재, 한봉호, 노태환(2010), "공동주택단지의 지반구조에 따른 수목 생육 상태 비교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 154-158.
  8. 최용순, 심경구(1995), "주택단지 조성시 배수불량으로 인한 수목피해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2): 195-204.
  9. 한국조경학회(2008),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10. 한국토지주택공사(2014), 설계지침(조경).
  11. 한국토지주택공사(2014), 설계지침(토목).
  12. 한국토지주택공사(2014), LH 전문시방서(조경).
  13. 홍성래, 정대영, 심상렬(2009), "공동주택단지의 주차장 유형에 따른 식재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7(1): 4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