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사회적 자기효능감, 민주시민의식 및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Program on the Social Self-efficacy, Democratic Citizenship, and Meta-cognition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 투고 : 2015.10.01
  • 심사 : 2015.12.28
  • 발행 : 2015.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사회적 자기효능감, 민주시민의식과 메타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인성교육을 중요시하는 영재교육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 민주시민의식과 메타인지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고등학교 과학영재 1학년 17명과 2학년 19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자기효능감, 민주시민의식 및 메타인지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프로그램 12차시를 적용한 후 사회적 자기효능감, 민주시민의식 및 메타인지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얻는 사회적 자기효능감, 민주시민의식 및 메타인지 결과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프로그램 인식 소감문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유의미하게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도움 요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민주시민의식을 유의미하게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민주주의 기능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셋째,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메타인지를 유의미하게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본 프로그램에서 고등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사회적 자기효능감, 민주시민의식 및 메타인지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비구조화된 프로그램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program on the social self-efficacy, democratic citizenship, and meta-cognition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sider how to improve students' social self-efficacy, democratic citizenship, and meta-cognition when comprehensive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science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17 students(10th graders) and 19 students(11th graders) who were participated in a science gifted program in a Korean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pre-examination on their social self-efficacy, democratic citizenship, and meta-cognition was conducted. After applying 12-class-time of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program, post-examination on their social self-efficacy, democratic citizenship, and meta-cognition was conducted and student's self-essay about program was also conducted.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and students's self-essay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howed that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program developed students' social self-efficacy and especially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sking for help. Second, they also showed that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program raised students' democratic participation especially in a democratic function. Third, in terms of meta-cognition,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program also played a positive role. The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essays also showed students' positive perception on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program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a science program for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혜, 양승실, 유성상, 박현정, 배정현 (2011). 민주 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 강한아, 김아영 (2013). 대학생용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7(2), 263-283.
  3. 곽유화 (2015). 고등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 권은미, 신민섭, 김은정 (2009).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627-642.
  5. 구자억,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장영숙, 황동주, 임희준 (1999). 영재교육과정 개발연구:초중학교 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수탁연구 CR 99-14. 한국교육개발원.
  6. 구자억,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임희준, 장영숙, 방승진 (2000). 영재교육과정 개발연구: 고등학교 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수탁연구 CR 2000-4. 한국교육개발원.
  7. 김선욱 (2013).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특성, 선호하는 교사유형 및 수업형태 비교.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8. 김종백 (2006). 과학 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영재와 영재교육, 5(2) pp 19-32.
  9. 나혜원 (2014). 혁신학교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경험이 초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0. 남미은 (2013). 고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1. 박경빈, 권혁민 (2011).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1), 1-17. https://doi.org/10.9722/JGTE.2011.21.1.001
  12. 박미진, 서혜애 (2015). 초등과학영재의 가설설정 능력과 메타인지와의 관계 분석. 영재교육연구, 25(1), 59-76. https://doi.org/10.9722/JGTE.2015.25.1.59
  13. 박수경, 김광휘 (2005). 과학영재학생의 사고양식 유형과 학업성취 및 과학개념과의 관계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307-320.
  14. 박수진, 최유현 (2014). 초등학교 발명영재의 팀 문제해결 학습에서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문제해결 과정 분석. 실과교육연구, 20(1), 167-184.
  15. 박성익 (2009). 영재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편), 영재교육학원론(pp.182-185). 서울: 교육과학사
  16. 박인숙 (2010). 메타인지 기능을 강화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7. 서진수, 한신, 김형범, 정진우 (2012). 과학고 학생들의 비구조화된 문제 해결 과정 특성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1), 8-19.
  18. 손경애, 이혁규, 옥일남, 박윤경 (2009). 학교 민주시민 교육의 실태 연구. 서울: 미래한국재단.
  19. 양은경 (2013). 학급단위 또래관계 형성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20. 양혜주 (2007). 문제중심학습의 수업과정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 유형 분석: 초등학교 5학년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1. 윤미경 (2006). 고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2. 이혜령, 최재호 (2013).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학교수학, 15(3), 585-601.
  23. 정옥분, 김경은, 박연정 (2006). 청소년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3(1), 35-60.
  24. 최성이 (2015). 민주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수업 개발 연구 :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기반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5. 전경원 (2000). 영재교육학. 서울: 학문사.
  26. 허지숙 (2010). 웹 기반 협력 학습에서 사회적 효능감, 팀 내 상호작용, 협력적 지식 구축간의 관계 규명.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7. Almond, G. A. & Verva, S. (1965). The Civic Cultur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Carr, M., Alexander, J. (1996). Where gifted children do and do not excel on metacognitive tasks. Roeper Review, 18(3), 212-218. https://doi.org/10.1080/02783199609553740
  29.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Boston: Allyn & Bacon.
  30. Gagne, E. D. (1985). The cognitive psychology of school learning. New York: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31. Hartup, W. W. (1977). Peer relations: Developmental implications and interaction in same and mixed-age situations. Young Children, 32(5), 4-13.
  32. Hong, S. N.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in multimedia sim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33. Jonassen, D. H. (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ETR & D. 45(1), 65-94.
  34. Krasner, L. R., & Rubin, K. H. (1983). Preschool social problem solving: Attempts and outcome in naturalistic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54, 1545-1558. https://doi.org/10.2307/1129818
  35. Lo, J., & Wheatley, G. H.(1994). Learning opportunities and negotiation social norms in mathematics class discuss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7(2), 145-164. https://doi.org/10.1007/BF01278919
  36. Martorella, P. H. (1991). Social Science Perspective on Citizenship Education. Columbia: Teacher College.
  37. Meyer. K., & Woodruff. E. (1997). Consensually driven explanation in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81(2), 173-19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04)81:2<173::AID-SCE4>3.0.CO;2-C
  38. Newton, P., Driver. P.,& Osborne, J. (1999). The Place of argumentation in the pedagogy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5), 553-576.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570
  39. Pintrich, P. R. & Garcia, T. (1991). Student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ion in the college classroom. In M. L. Maehr & P. R. Pintrich(Ed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pp. 371-402). Greenwich CT: JAI Press.
  40. Reder, L. M. (1996). Different research programs on metacognition: Are the boundaries imaginary? Learning & Individual Difference, 8(4), 383-391. https://doi.org/10.1016/S1041-6080(96)90024-2
  41. Shin, N. S., Jonassen, D. H. & McGee, S. (2003). Predictors of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in an astronomy simul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1), 6-33. https://doi.org/10.1002/tea.10058
  42. Schaw, G., & Dennison, R. S. (1994). Assessing metacognitive awarenes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9, 460-475. https://doi.org/10.1006/ceps.1994.1033
  43. Smith, H. M., & Betz, N. E. (200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of perceived social self-efficac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8(3), 283-301. https://doi.org/10.1177/106907270000800306
  44. VanTassel-Baska, J. (1997). What matters in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Reflection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N. Colangelo & G. A.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273-284). Needham Height, MA: Allyn and Bacon.
  45. White, R. C. (1959).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 297-333. https://doi.org/10.1037/h0040934
  46. Yager, S,. Johnson, D., & Johnson, R. (1985) Oral discussion to individual transfer and achievement in cooperative learning group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 60-66. https://doi.org/10.1037/0022-0663.77.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