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영혜, 양승실, 유성상, 박현정, 배정현 (2011). 민주 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 강한아, 김아영 (2013). 대학생용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7(2), 263-283.
- 곽유화 (2015). 고등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권은미, 신민섭, 김은정 (2009).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627-642.
- 구자억,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장영숙, 황동주, 임희준 (1999). 영재교육과정 개발연구:초중학교 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수탁연구 CR 99-14. 한국교육개발원.
- 구자억,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임희준, 장영숙, 방승진 (2000). 영재교육과정 개발연구: 고등학교 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수탁연구 CR 2000-4. 한국교육개발원.
- 김선욱 (2013).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특성, 선호하는 교사유형 및 수업형태 비교.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 김종백 (2006). 과학 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영재와 영재교육, 5(2) pp 19-32.
- 나혜원 (2014). 혁신학교 학생자치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경험이 초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남미은 (2013). 고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 박경빈, 권혁민 (2011).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1), 1-17. https://doi.org/10.9722/JGTE.2011.21.1.001
- 박미진, 서혜애 (2015). 초등과학영재의 가설설정 능력과 메타인지와의 관계 분석. 영재교육연구, 25(1), 59-76. https://doi.org/10.9722/JGTE.2015.25.1.59
- 박수경, 김광휘 (2005). 과학영재학생의 사고양식 유형과 학업성취 및 과학개념과의 관계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307-320.
- 박수진, 최유현 (2014). 초등학교 발명영재의 팀 문제해결 학습에서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문제해결 과정 분석. 실과교육연구, 20(1), 167-184.
- 박성익 (2009). 영재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편), 영재교육학원론(pp.182-185). 서울: 교육과학사
- 박인숙 (2010). 메타인지 기능을 강화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서진수, 한신, 김형범, 정진우 (2012). 과학고 학생들의 비구조화된 문제 해결 과정 특성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1), 8-19.
- 손경애, 이혁규, 옥일남, 박윤경 (2009). 학교 민주시민 교육의 실태 연구. 서울: 미래한국재단.
- 양은경 (2013). 학급단위 또래관계 형성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 양혜주 (2007). 문제중심학습의 수업과정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 유형 분석: 초등학교 5학년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윤미경 (2006). 고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 이혜령, 최재호 (2013).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학교수학, 15(3), 585-601.
- 정옥분, 김경은, 박연정 (2006). 청소년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3(1), 35-60.
- 최성이 (2015). 민주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수업 개발 연구 :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기반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전경원 (2000). 영재교육학. 서울: 학문사.
- 허지숙 (2010). 웹 기반 협력 학습에서 사회적 효능감, 팀 내 상호작용, 협력적 지식 구축간의 관계 규명.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Almond, G. A. & Verva, S. (1965). The Civic Cultur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Carr, M., Alexander, J. (1996). Where gifted children do and do not excel on metacognitive tasks. Roeper Review, 18(3), 212-218. https://doi.org/10.1080/02783199609553740
-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Boston: Allyn & Bacon.
- Gagne, E. D. (1985). The cognitive psychology of school learning. New York: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 Hartup, W. W. (1977). Peer relations: Developmental implications and interaction in same and mixed-age situations. Young Children, 32(5), 4-13.
- Hong, S. N.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in multimedia sim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Jonassen, D. H. (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ETR & D. 45(1), 65-94.
- Krasner, L. R., & Rubin, K. H. (1983). Preschool social problem solving: Attempts and outcome in naturalistic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54, 1545-1558. https://doi.org/10.2307/1129818
- Lo, J., & Wheatley, G. H.(1994). Learning opportunities and negotiation social norms in mathematics class discuss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7(2), 145-164. https://doi.org/10.1007/BF01278919
- Martorella, P. H. (1991). Social Science Perspective on Citizenship Education. Columbia: Teacher College.
- Meyer. K., & Woodruff. E. (1997). Consensually driven explanation in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81(2), 173-19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04)81:2<173::AID-SCE4>3.0.CO;2-C
- Newton, P., Driver. P.,& Osborne, J. (1999). The Place of argumentation in the pedagogy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5), 553-576.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570
- Pintrich, P. R. & Garcia, T. (1991). Student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ion in the college classroom. In M. L. Maehr & P. R. Pintrich(Ed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pp. 371-402). Greenwich CT: JAI Press.
- Reder, L. M. (1996). Different research programs on metacognition: Are the boundaries imaginary? Learning & Individual Difference, 8(4), 383-391. https://doi.org/10.1016/S1041-6080(96)90024-2
- Shin, N. S., Jonassen, D. H. & McGee, S. (2003). Predictors of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in an astronomy simul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1), 6-33. https://doi.org/10.1002/tea.10058
- Schaw, G., & Dennison, R. S. (1994). Assessing metacognitive awarenes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9, 460-475. https://doi.org/10.1006/ceps.1994.1033
- Smith, H. M., & Betz, N. E. (200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of perceived social self-efficac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8(3), 283-301. https://doi.org/10.1177/106907270000800306
- VanTassel-Baska, J. (1997). What matters in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Reflection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N. Colangelo & G. A.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273-284). Needham Height, MA: Allyn and Bacon.
- White, R. C. (1959).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 297-333. https://doi.org/10.1037/h0040934
- Yager, S,. Johnson, D., & Johnson, R. (1985) Oral discussion to individual transfer and achievement in cooperative learning group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 60-66. https://doi.org/10.1037/0022-0663.77.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