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e among Korean Elderly: Analysis of 2012 and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한국 노인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2년~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 Bae, Yeonhee (Dept. of Nursing, Suwon Women's University) ;
  • Kim, Hanna (Dept. of Nursing, Suwon Women's University)
  • 배연희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 김한나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5.12.10
  • Accepted : 2015.12.18
  • Published : 2015.12.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ed factors contributing to subjective health state in elderly people with focus on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Method : From the database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NES) the year 2012 and 2013, the researchers selected 2,924 old adults aged over 65.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8.0 program. Result : Results indicated that education, occupation, restriction of activity, stress, drinking status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bjective health state both men and women. But, age, DM, MI, arthritis, smoking status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bjective health state of men. And insurance, suicide, HTN, walking exercise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subjective health state of women. Conclusion : The development of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considers different approaches to the genders.

Keywords

References

  1. 강서영, 박인혜(2013). 일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 모형구축.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3), 302-3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302
  2. 강정희, 김정아, 오가실 등(2008). 기초생활보장수급노인의 건강상태, 우울, 사회적지지. 성인간호학회지, 20(6), 866-882.
  3. 강혜원, 조영태(2007).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 한국사회학회지, 41(4), 164-201.
  4. 구춘옥, 김정순, 유정옥(2014). 노인의 성별레 따른 자살생각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5(1), 24-32.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1.24
  5. 김동배, 유병선, 민정선(2011). 노인 집단에서 나타나는 건강 수준 차이의 요인 분석. 사회복지연구, 42(3), 267-290.
  6. 김명일, 이상우, 김혜진(2013). 서울시 거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연구. 보건사회연구, 33(3), 327-360.
  7. 김여진, 임연옥(2015). 한국 노인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차이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195-209.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195
  8. 김은경(2002). 농촌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자녀 관련변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27-36.
  9. 김은석, 이성국, 윤희정 등(2014). 75세 이상 후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7), 4279-4289. https://doi.org/10.5762/KAIS.2014.15.7.4279
  10. 김정연, 이석구, 이성국(2010).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30(2), 471-484.
  11. 김철수, 유성호(2009).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사회과학연구, 25(4), 51-73.
  12. 남연희, 남지란(2011). 노인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4), 145-162.
  13. 남은우(2009). 사회자본 정도 및 건강행동이 한국인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6(3), 1-13.
  14. 박경연(2009). 노인의 성별에 따른 건강상태 영향요인. 노인간호학회지, 11(2), 216-115.
  15. 방요순, 류소연, 김희영(2011). 국제 기능, 장애, 건강 분류 개념의 틀에 의한 경로당 이용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요인. 지역사회연구, 19(4), 95-113.
  16. 서연숙(2011). 중고령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수준 연구. 한국노년학, 31(4), 1135-1153.
  17. 안옥희, 이종화(2008). 일부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15(3), 284-290.
  18. 염동문, 정정숙(2014).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0(4), 27-50.
  19. 염지혜, 박준식, 김동현(2012).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2(4), 1101-1118.
  20. 이미숙(2009). 고령화연구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건강불평등의 구조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25, 5-32.
  21. 이승희(2013). 노인의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1(12), 523-535.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523
  22. 이정숙, 이인수(2005). 노년기 건강관리 행동과 사회 경제 요인이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7(1), 231-253.
  23. 질병관리본부(2015).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24. 통계청(2010). 장래인구추계.
  25. 통계청(2013). 장래인구추계.
  26. Grad FP(2002).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Bull World Health Organ, 80(12), 981-984.
  27. Halvorsrud L, Kalfoss M(2007).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published during 1994-2006. Eur J Aging, 4(4), 229-246. https://doi.org/10.1007/s10433-007-0063-3
  28. Kirchengast S, Haslinger B(2008). Gender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healthy aged and old-aged Austrians: Cross-sectional analysis. Gend Med, 5(3), 270-278. https://doi.org/10.1016/j.genm.2008.07.001
  29. Munir F, Jones D, Laka S, et al(2005). Work limitations and employer adjustments for employees with chronic illness. Int J Rehabil Res, 28(2), 111-117. https://doi.org/10.1097/00004356-200506000-00003
  30. Prieto-flores ME, Moreno-jimenez A, Fernandez-Mayoralas G, et al(2012).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domains in subjective health in old age. Soc Indicators Res, 106(1), 27-39. https://doi.org/10.1007/s11205-011-9791-z
  31. Widmalm SE, Mckay DC, Radke JC, et al(2013). Gender differences in low and high pain palpation thresholds in the TMJ and neck areas. Cranio, 31(2), 92-99. https://doi.org/10.1179/crn.2013.016

Cited by

  1.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ccording to handgrip strength in the elderly: a cross-sectional study pp.1364-6915, 2017, https://doi.org/10.1080/13607863.2017.1387766
  2.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관적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ol.16, pp.3,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3.491
  3. Analysis of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of Social Activity,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vol.43, pp.4, 2015, https://doi.org/10.26446/kjlrp.2019.12.43.4.1
  4.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의 병원급 의료기관 외래이용 관련 요인: 한국의료패널자료(2010-2016)를 이용하여 vol.30, pp.4, 2020, https://doi.org/10.4332/kjhpa.2020.30.4.479
  5. 우리나라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및 관리행태와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를 이용하여 vol.31, pp.1, 2015, https://doi.org/10.4332/kjhpa.2021.31.1.74
  6.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and Diet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Disease Existence :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2013~2017) Analy vol.32, pp.3, 2015, https://doi.org/10.7856/kjcls.2021.32.3.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