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서영, 박인혜(2013). 일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 모형구축.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3), 302-3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302
- 강정희, 김정아, 오가실 등(2008). 기초생활보장수급노인의 건강상태, 우울, 사회적지지. 성인간호학회지, 20(6), 866-882.
- 강혜원, 조영태(2007).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 한국사회학회지, 41(4), 164-201.
- 구춘옥, 김정순, 유정옥(2014). 노인의 성별레 따른 자살생각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5(1), 24-32.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1.24
- 김동배, 유병선, 민정선(2011). 노인 집단에서 나타나는 건강 수준 차이의 요인 분석. 사회복지연구, 42(3), 267-290.
- 김명일, 이상우, 김혜진(2013). 서울시 거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연구. 보건사회연구, 33(3), 327-360.
- 김여진, 임연옥(2015). 한국 노인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차이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195-209.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195
- 김은경(2002). 농촌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자녀 관련변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27-36.
- 김은석, 이성국, 윤희정 등(2014). 75세 이상 후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7), 4279-4289. https://doi.org/10.5762/KAIS.2014.15.7.4279
- 김정연, 이석구, 이성국(2010).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30(2), 471-484.
- 김철수, 유성호(2009).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사회과학연구, 25(4), 51-73.
- 남연희, 남지란(2011). 노인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4), 145-162.
- 남은우(2009). 사회자본 정도 및 건강행동이 한국인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6(3), 1-13.
- 박경연(2009). 노인의 성별에 따른 건강상태 영향요인. 노인간호학회지, 11(2), 216-115.
- 방요순, 류소연, 김희영(2011). 국제 기능, 장애, 건강 분류 개념의 틀에 의한 경로당 이용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요인. 지역사회연구, 19(4), 95-113.
- 서연숙(2011). 중고령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수준 연구. 한국노년학, 31(4), 1135-1153.
- 안옥희, 이종화(2008). 일부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15(3), 284-290.
- 염동문, 정정숙(2014).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0(4), 27-50.
- 염지혜, 박준식, 김동현(2012).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2(4), 1101-1118.
- 이미숙(2009). 고령화연구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건강불평등의 구조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25, 5-32.
- 이승희(2013). 노인의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1(12), 523-535.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523
- 이정숙, 이인수(2005). 노년기 건강관리 행동과 사회 경제 요인이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7(1), 231-253.
- 질병관리본부(2015).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 통계청(2010). 장래인구추계.
- 통계청(2013). 장래인구추계.
- Grad FP(2002).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Bull World Health Organ, 80(12), 981-984.
- Halvorsrud L, Kalfoss M(2007).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published during 1994-2006. Eur J Aging, 4(4), 229-246. https://doi.org/10.1007/s10433-007-0063-3
- Kirchengast S, Haslinger B(2008). Gender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healthy aged and old-aged Austrians: Cross-sectional analysis. Gend Med, 5(3), 270-278. https://doi.org/10.1016/j.genm.2008.07.001
- Munir F, Jones D, Laka S, et al(2005). Work limitations and employer adjustments for employees with chronic illness. Int J Rehabil Res, 28(2), 111-117. https://doi.org/10.1097/00004356-200506000-00003
- Prieto-flores ME, Moreno-jimenez A, Fernandez-Mayoralas G, et al(2012).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domains in subjective health in old age. Soc Indicators Res, 106(1), 27-39. https://doi.org/10.1007/s11205-011-9791-z
- Widmalm SE, Mckay DC, Radke JC, et al(2013). Gender differences in low and high pain palpation thresholds in the TMJ and neck areas. Cranio, 31(2), 92-99. https://doi.org/10.1179/crn.2013.016
Cited by
-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ccording to handgrip strength in the elderly: a cross-sectional study pp.1364-6915, 2017, https://doi.org/10.1080/13607863.2017.1387766
-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관적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ol.16, pp.3,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3.491
- Analysis of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of Social Activity,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vol.43, pp.4, 2015, https://doi.org/10.26446/kjlrp.2019.12.43.4.1
-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의 병원급 의료기관 외래이용 관련 요인: 한국의료패널자료(2010-2016)를 이용하여 vol.30, pp.4, 2020, https://doi.org/10.4332/kjhpa.2020.30.4.479
- 우리나라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및 관리행태와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를 이용하여 vol.31, pp.1, 2015, https://doi.org/10.4332/kjhpa.2021.31.1.74
-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and Diet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Disease Existence :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2013~2017) Analy vol.32, pp.3, 2015, https://doi.org/10.7856/kjcls.2021.32.3.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