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e for activation policy for cost estimation guidelines of e-Learning content development.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cost estimation guidelines of e-Learning content development through a survey about executives and employees in the e-Learning industry and analyses them statistically. According to an analysis, companies(which abandoned order because the amount of money (cost) of e-Learning contents ordering is low and suffered a loss after acquiring e-Learning contents project order) have a relatively negative awareness about the effectiveness of cost estimation guidelines of e-Learning contents. On the other hand, contents focused companies have a relatively positive awareness about the effectiveness of cost estimation guidelines of e-Learning cont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should recommend and enact announce the use of cost estimation criteria(guidelines) of e-Learning content development and provide the institutional tools soon as possible.
본 연구 목적은 이러닝 콘텐츠 개발 대가 산정 가이드라인 활용 활성화 정책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러닝 콘텐츠 개발 대가 산정 가이드라인(대가기준과 혼용)의 실효성에 대한 산업계 임직원들에 대한 설문 등을 통해 조사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콘텐츠 사업 수주후 손실을 본 경험 기업과 수주를 포기한 경험 기업 등이 대가기준의 실효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그런가 하면 콘텐츠 전문기업은 대가기준의 실효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이러닝 콘텐츠 개발대가 산정기준(가이드라인)이 권고, 제정 고시를 넘어 수발주 현장에 정착되고 나아가 이러닝 산업 발전에 큰 기여토록 하는 제도적 장치를 정부가 가능한 한 빨리 마련할 것을 권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