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Hemodialysis Patient's Stress and Acceptance on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와 수용이 사회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09.29
  • Accepted : 2014.11.04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sychosocial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246 hemodialysis patients from 8 hemodialysis centers located in 3 cities ('K', 'P', and 'U')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used for data collection was administered between April 1 and 30 of 2014. SPSS/WIN 18 program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It was found that stress response and acceptan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sychosocial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tress response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for psychosocial adaptation (${\beta}$=-.443, p<.001) and quality of life (${\beta}$=-.553, p<.001).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determined that in order to improve psychosocial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hemodialysis patients, an intervention program to reduce stress response is needed, along with evaluating its efficacy.

이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사회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국내 K시, P시 및 U시 소재 혈액투석센터 8곳에서 혈액투석 중인 환자 246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4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스트레스반응과 수용은 사회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있어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결과 스트레스반응이 사회심리적 적응(${\beta}$ = -.443, p<.001)과 삶의 질(${\beta}$ =-.553, p<.001)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혈액투석환자의 사회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트레스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를 검정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ksn.or.kr/journal/2014/index.html
  2. S. C. J. Yeh and H. C. Chou, "Coping Strategies and Stressors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Psychosomatic Medicine, Vol.69, pp.182-190, 2007. https://doi.org/10.1097/PSY.0b013e318031cdcc
  3.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cation Comppany, Inc, 1984.
  4. 한상숙, 김영희,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 예측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7호, pp.1353-1361, 2005.
  5. 최승미, 강태영, 우종민, "스트레스반응 척도의 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근로자 대상", 신경정신의학, 제45권, 제6호, pp.541-553, 2006.
  6. 김성록, "혈액투석 중인 환자의 우울증과 불안증", 대한신장학회지, 제29권, 제6호, pp.733-741, 2010.
  7. 윤순호,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기간에 따른 사회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석사논문, 2008.
  8. P. L. Kimmel, S. D. Cohen, and S. D. Weisbor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treated with hemodialysis : Survival is not enough!," Journal of Nephrology, Vol.21, pp.54-58, 2008.
  9. 차지은, 이명선, "혈액투석 환자의 인지적 전략에 따른 희망, 우울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도", 성인간호학회, 제25권, 제4호, pp.389-399, 2013.
  10. 윤숙희, 김송순, "희망과 사회적 지지가 혈액투석 환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pp.209-218, 2012. https://doi.org/10.7475/kjan.2012.24.3.209
  11. D. L. Kring and P. B. Cran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Persons on Hemodialysis," Nephrology Nursing Journal, Vol.36, No.1, pp.15-55, 2009.
  12. 심옥수, "혈액투석노인의 건강상태 변화인식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30권, 제1호, pp.179-194, 2010.
  13. S. C. Hayes, K. Wilson, E V. Gifford, V. M. Follette, and K. Strosahl, "Experienti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4, No.6, pp.152-168, 1996.
  14. S. L. Shapiro, L. E. Calson, J. A. Astin, and B. Freedman, "Mechanism of Mindfulnes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2, No.3, pp.373-386, 2006. https://doi.org/10.1002/jclp.20237
  15. 문현미,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6.
  16. 이훈진, "수용(Acceptance)이 심리적 증상,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제9권, 제1호, pp.1-23, 2009.
  17. 박성현, 마음챙김 척도개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6.
  18. C. E. Ferrans and M. I. Power, "Quality of life index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Advance in Nursing Science, Vol.8, No.16, pp.15-24, 1985. https://doi.org/10.1097/00012272-198510000-00005
  19. 류행림, 김영랑, "혈액투석 환자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대한보건연구, 제31권, 제2호, pp.184-191, 2005.
  20. 양종철, 임소연, 최기철, "만성신부전 환자의 정신병리, 가족지지체계 및 삶의 질", 대한신장학회지, 제23권, 제3호, pp.476-483, 2004.
  21. 강미경, 강선미, 김수영,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과 공적 서비스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277-287, 2013.
  22. 윤민영, 서순림, "혈액투석 환자의 피로, 우울, 생리적 지표와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경북간호과학지, 제16권, 제1호, pp81-89, 2012.
  23. 서남숙, 강승자, 김재희, 김세자, "혈액투석 환자의 피로와 수면장애,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및 우울관계", 임상간호, 제19권, 제2호, pp.285-297, 2013.
  24. 허정, "혈액투석 불이행 환자의 스트레스와 대처 유형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11권, 제4호, pp.439-448, 2005.
  25. 신봉자, 김혜순, 이명희,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 중인 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연구지, 제16권, 제1호, pp.35-43, 2010.
  26. 정인숙, "자가 발 반사마사지가 당뇨병 환자의 말초혈액순환, 말초신경반응, 스트레스반응 및 혈당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춘계학술대회, pp.197-198, 2005.
  27. C. A. Low, A. L. Stanton, and J. E. Bower, "Effects of Acceptance-Oriented Versus Evaluative Emotional Processing on Heart Rate Recovery and Habituation," Emotion, Vol.8, No.3, pp.419-424, 2008. https://doi.org/10.1037/1528-3542.8.3.419
  28. C. Poppe, G. Crombez, I. Hanoulle, D. Vogelaers, and M. Petovic, "Improv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influence of acceptance and personality," Nephrology Diaysisl Transplantation, Vol.28, pp.116-121, 2013. https://doi.org/10.1093/ndt/gfs151
  29. J. Chilcot, D. Wellsted, M. D. Silva-Gane, and K. Farrington, "Depression on dialysis," Nephron Clinical Practice, Vol.108, No.4, pp.256-264, 2008. https://doi.org/10.1159/000124749
  30. 박혜인조, 윤현배, 이하정, 한승석, 손민정, 정은숙, 주권욱, 임춘수, 채동완,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함봉진, 오윤규, "유지 혈액투석 환자에서의 우울증의 빈도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대한신장학회지, S228, 2008.
  31. 허동규, "명상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반응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pp.232-240,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3.232
  32. 정미현, "단전호흡이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 불안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292-303, 2012.
  33. 강윤식,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신의학적 접근과 과학적 근거: 이완과 명상요법을 중심으로", 대한의학협회지, 제54권, 제3호, pp.284-293, 2011.

Cited by

  1.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in Illnes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Compliance with Sick Role Behavior according to Levels of Health Literacy in Hemodialysis Patients vol.30, pp.4, 2018, https://doi.org/10.7475/kjan.2018.30.4.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