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애인 복지정책에서의 이용자 참여 강화: 독일의 개인예산제도를 중심으로

Strengthening User Involvement in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through Case Studies 'Personal Budgets' of Germany

  • 남용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투고 : 2014.09.30
  • 심사 : 2014.11.06
  • 발행 : 2014.11.28

초록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인 복지서비스의 공급이 여전히 부족하고, 전달체계도 주로 공급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장애인 복지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장애인 당사자의 실질적인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중심, 즉 이용자의 자율성과 주도성 및 통제권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장애인복지와 관련하여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이용자 참여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이용자 참여' 강화의 사례로서 독일의 개인예산제도를 고찰하여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독일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독일은 개인예산제도의 도입과 운영을 통해 기존에 시행되던 장애인복지와 관련한 지원제도의 지급방식을 전환함으로써,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실현이 더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용자 참여를 강화하는 추세로 장애인 복지정책의 방향을 변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rovision of welfare services to the disabled in Korea are still insufficient to meet the demand and the delivery system of the service is organized largely from the viewpoint of the suppliers. In order to guarantee the user right to choice, the shift of the policy paradigm supporting autonomy, self-directedness and the right to control of the users appears to be important.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discussion in the field of the welfare of the disabled about user involvement. Then it investigates the German case of 'personal budgets' aimed to strengthen the user involvement and draw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The study confirms that the introduction of 'personal budgets' aimed to realization of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disabled has contributed for the reinforcement of user involvement in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This new policy program 'personal budgets' based on the idea of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ppears to transform the general nature of the welfare system for the disabled in Germany by transforming the payment method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규, 김보영, 엄태영, 김은지, 정세정, 사회복지 서비스의 이용자중심 제도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 김영춘, 정민숙,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른 복지기관의 정책적 대응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251-261,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251
  3. 이경준, "장애인의 자기결정과 보장원리", 재활복지, 제9권, 제2호, pp.114-141, 2006.
  4. 김용득, 김미옥, "이용자 참여의 개념 구조: 한국장애인복지에 대한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제59권, 제2호, pp.39-64, 2007.
  5. 이철호, "장애인차별금지법과 장애인의 인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8호, pp.158-175,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8.158
  6. 이승기, "바우처 제도에서 현금 직접지불방식으로 의 이행과 조건", 한국사회서비스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87-99, 2012.
  7. G. Esping-Andersen,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Cambridge: Polity Press, 1990.
  8. 김성희, 제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13-2017) 수립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9. 김용득, "영국 커뮤니티케어의 이용자 참여 기제와 한국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3호, pp.363-387, 2005.
  10. J. Warren, Service User and Carer Participation in Social Work, Learning Matters Ltd, 2007.
  11. 양윤정, 정영순, "고령화 정책결정과정과 권력 재분배적 이용자 참여 연구: 영국 고령화자문포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제18권, 제2호, pp.143-173, 2011.
  12. 양윤정, 정영순, "노인일자리사업 정책결정.집행과정에서의 '이용자 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885-903, 2011.
  13. V. Lindow and J. Morris, Service user involvement: Synthesis of findings and experience in the field of community care, A Report for the Joseph Rowntree Foundation, 1995.
  14. B. Munday, Report on user involvement in personal social services, European Committee for Social Cohesion, 2006.
  15. 유동철, "영국 장애인 직접지불제도의 정책적 효과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비판사회정책, 제34권, pp.129-162, 2012.
  16. 김용득, 이동석, 장애인 중심 사회서비스 정책과 실천: 서비스 현금지급과 개인예산, 서울: 한국장애인재단, 2013.
  17. 이영아, "영국의 직접지불제도를 통한 이용자 선택권 강화", 국제사회보장동향, 봄호(창간호), pp.105-111, 2006.
  18. Bundesministerium fur Arbeit und Soziales, Das tragerubergreifende personliche Budget, BMAS, 2012.
  19. 원소연,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실현을 위한 정책 연구: 독일의 개인예산제도와 한국의 활동보조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7권, 제2호, pp.267-289, 2010.
  20. Bundesministerium fur Arbeit und Soziales, Bericht der Bundesregierung uber die Ausfuhrung der Leistungen des personlichen Budgets nach ${\S}17$ des Neunten Buches Sozialgesetzbuch, BMAS, 2006.
  21. Bundesministerium fur Arbeit und Soziales, Forderprogramm zur Strukturverstarkung und Verbreitung von personlichen Budgets: Bericht uber Entstehung, Ablauf und Ergebnisse, BMAS, 2006.
  22. A. Heimer, M. Henkel, J. Maetzel, and C. Zwingmann, Umsetzung und Akzeptanz des personlichen Budgets, Prognos, 2012.
  23. Bundesministerium fur Arbeit und Soziales, Rehabilitation und Teilhabe behinderter Menschen, BMAS, 2014.
  24. K. Kruse, Das personliche Budget: Leistungen und Hilfe einkaufen, Bundesverband fur Korper- und Mehrfachbehinderte e.V.,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