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문화가족 남편의 아내에 대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학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Husbands' Stress Related to their Wives and their Psychological Abuse

  • 박지선 (우송대학교 사회복지.아동학부) ;
  • 류한수 (우송대학교 사회복지.아동학부)
  • 투고 : 2014.08.01
  • 심사 : 2014.09.02
  • 발행 : 2014.11.28

초록

본 연구는 Lazarus et al.의 스트레스 이론을 기초로 다문화가족 남편의 아내에 대한 스트레스(스트레스 인지)와 심리적 학대(대처행동)의 관련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통계분석에는 대상자의 연령, 학력, 수입, 아내의 연령, 국적, 결혼지속기간, 남편의 아내에 대한 스트레스 및 심리적 학대에 모두 응답한 271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다문화가족 남편의 아내에 대한 스트레스를 독립변수, 아내에 대한 심리적 학대를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데이터에 대한 적합도 및 변수 간 관련성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CFI=0.909, RMSEA=0.057로 통계학적 허용기준을 충족시켰다. 변수 간 관련성에 있어서는 다문화가족 남편의 아내에 대한 스트레스가 심리적 학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족 남편의 아내에 심리적 학대를 예방하기 위해서 남편의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husbands' stress related to their wife and their psychological abuse based on the Stress theory of Lazarus et al. Data from 271 subjects that answered to all questions regarding the subject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husbands' stress related to their wife and their psychological abuse of their wife in statistical analyses. To analyze the data, a study model was set using multi-cultural family husbands' stress related to their wif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ir psychological abuse of their wif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for the dat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ere review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goodness-of-fit index of the model satisfied the statistical acceptable standard with CFI=0.909 and RMSEA=0.05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dicated that multi-cultural family husbands' stress related to their wif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psychological abuse of their wife. This result indicates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for management of the husbands' stress in order to prevent multi-cultural family husbands' psychological abuse of their wife.

키워드

참고문헌

  1. 통계청 보도자료, 2013혼인 이혼 통계, 2014.4.22.
  2. 박민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적응유연성 간 관계 -심리적 행복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393-40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5.393
  3. 위인백, "인권과 사회통합관점에서 본 여성결혼 이민자 관련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317-327, 2011.
  4. 변화순, 이미정, 김혜영, 황정미, 이선형, 결혼이민자여성의 가정폭력 피해현황과 지원체계 개선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5. http://www.ytn.co.kr/_ln/0115_201210091802267980
  6.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3/06/11/20130611004048.html
  7.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2005년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정책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2005.
  8. 여성가족부, 2010년 가정폭력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2010.
  9. C. Dalton and E. M. Schneider, Battered women and the law, New York: Foundation Press, 2011.
  10. 이옥희, 남편의 심리적 폭력이 아내의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요인을 매개 요인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1. J. G. Beck, J. McNiff, J. D. Clapp, S. A. Olsen, M. L. Avery, and J. H. Hagewood, "Exploring negative emotion in women experienc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Shame, guilt, and PTSD," Behavior Therapy, Vol.42, pp.740-750, 2011. https://doi.org/10.1016/j.beth.2011.04.001
  12. M. A. Straus, S. L. Hamby, S. Boney-McCoy, and D. B. Sugarman,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CTS2)," Journal of Family Issues, Vol.17, No.3. pp.283-316, 1996. https://doi.org/10.1177/019251396017003001
  13.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14. J. C. Hillson and N. A. Kuiper, "A stress and Coping Model and Child Maltreatment,"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14, pp.261-285, 1994. https://doi.org/10.1016/0272-7358(94)90025-6
  15. 唐軼斐, 矢嶋裕樹, 中嶋和夫, "母親の育兒關連 Daily Hasslesと兒に對するマルトリトートメントの關連", 厚生の指標, 第54巻, 第4号, pp.13-20, 2007.
  16. 朴志先, 三輪英里子, 桐野匡史, 金貞淑, 尹靖水, 中嶋和夫, "韓國における母親の育兒ストレス評価と兒に對するマルトリートメントの關係", 東アジア硏究, 第51巻, pp.17-25, 2009.
  17. 柳漢守, 桐野匡史, 金貞淑, 尹靖水, 筒井孝子, 中嶋和夫, "韓國都市部における認知症高齡者の主介護者における介護負担感と心理的虐待", 日本保健科學學會誌, 第10巻, 第1号. pp.15-22, 2007.
  18. 柳漢守, 嚴基郁, 張英恩, 金貞淑, 中嶋和夫,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stress and abuse and neglect in the family caregiver," International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18, pp.59-75, 2008.
  19. K. M. Farrington, "Stress and Family violence," in The social causes of husband-wife violence, M. A. Straus and G. T. Hotaling(Ed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94-114, 1980.
  20. J. Barling, and A. Rosenbaum, "Work stressors and wife abus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1, pp.346-348, 1986. https://doi.org/10.1037/0021-9010.71.2.346
  21. 손정영, 아내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22. 김경신, "아내학대 행위자의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7권, 제2호, pp.65-87, 2002.
  23. http://www.un.org/documents/ga/res/48/a48r104.htm
  24. 김오남, "결혼이민자가족의 아내학대와 영향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4호, pp.5-35, 2006.
  25. C. M. Murphy and K. D. O'Leary, "Psychological Aggression Predicts Physical Aggression in Early Marria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7, No.5, pp.579-582, 1989. https://doi.org/10.1037/0022-006X.57.5.579
  26. S. L. Hamby and D. B. Sugarman, "Acts of Psychological Aggression against a Partner and Their Relation to Physical Assault and Gender,"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1, No.4, pp.959-970, 1999. https://doi.org/10.2307/354016
  27. M. A. Straus and S. Sweet, "Verbal/Symbolic Aggression in Couples: Incidence Rates and Relationships to Pers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54, No.2, pp.346-357, 1992. https://doi.org/10.2307/353066
  28. 최금해,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적응기 생활체험과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pp.219-244, 2005.
  29. 김민경, "결혼이민여성의 학대와 관련요인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8권, 제6호, pp.1181-1198, 2009. https://doi.org/10.5934/KJHE.2009.18.6.1181
  30. 최규련, 유은희, 홍숙자, 정혜정, "가정폭력 예방 및 대처 프로그램 모형개발", 대한가정학회지, 제37권, 제2호, pp.159-173, 1999.
  31. 권진숙, 전석균, "가정폭력 가해자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개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44권, 제3호, pp.36-63, 2001.
  32. 김경신, 김정란, "가정폭력 가해자 개입 프로그램 효과분석-아내학대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7권, 제1호, pp.137-158, 2002.
  33. 최의순, 고명숙, 이규은, 길숙영, "구타, 성폭력, 이혼을 중심으로 본 여성건강 문제에 관한 고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2권, 제1호, pp.92-107, 1996.
  34. 山本嘉日郞, 小野寺孝義, Amosによる共分散構 造分析と解析事例, 京都: ナカニシヤ出版, 1999.
  35. M. K. Pee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habilitation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79, No.3, pp.301-309, 2000. https://doi.org/10.1097/00002060-200005000-00014
  36. R. D. Maiuro and K. D. O'Leary, Psychological Abuse in Violent Domestic Relation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p.197, 2000.
  37. W. R. Downs, N. J. Smyth, and B. A. Mille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violence and alcohol problems among men who batter: an empirical review and synthesi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Vol.1, No.4, pp.327-344, 1996. https://doi.org/10.1016/S1359-1789(96)00006-7
  38. 김예정, 김득성, "가정폭력의 세대 간 전달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4권, 제6호, pp.141-153, 2006.
  39. L. Berkowitz, Aggression: Its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NY: Mcgraw-Hill Book Company, pp.240-271, 1993.

피인용 문헌

  1. Nursing experience of delivery car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An application of focus group interview vol.16, pp.6,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6.3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