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orts English Education a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ESP)

특수목적 영어(ESP)로서의 스포츠 영어 교육: 스포츠관련 분야 학생들의 자기인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4.08.01
  • Accepted : 2014.08.25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sports related fields about the introduction of Sports English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33 students were surveyed according to a questionnaire asking about their English skills, opinions and attitudes with regard to English study and Sports English class.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is relatively low. Hence, students need to be encouraged to have an interest in English taught with special teaching methods; most students do not have confidence in their English; majority of students answered that English study is needed for students of sports. The biggest motivation for the sport students to learn English was 'better communication skills', followed by 'sports exchange opportunities', 'sports diplomacy and international sports events'; majority of students answered that Sports English class which focuses on sports is necessary in terms of their career after graduation. The finding from this study serves as a foundation in developing an ESP program for sports majors.

본 연구는 스포츠 관련 학과 대학생들의 영어와 스포츠 영어 수업에 대한 자기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스포츠 영어 수업에 대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스포츠 관련 전공 4학년 학생 133명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포츠 전공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 정도는 비교적 낮았는데, 이 흥미도는 영어 실력이나 다른 항목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스포츠 전공 학생들의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영어 실력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어 실력에 자신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흥미도와 관심도와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스포츠 전공자들에게 영어 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그 이유로는 '운동선수나 지도자로서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이 가장 많았고 '국제 스포츠 교류나 외교, 행정'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4. 일반적인 영어 수업과 차별화 된 스포츠에 초점을 둔 영어 수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그 이유로는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서'와 '향후 전공 직무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가 가장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성명희, 학습모형-구두의사소통기능 향상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2. 정철자, "시장 수요 조사에 근거한 한국형 의료 통역 연구", 번역학연구, 제11권, pp.151-172, 2010.
  3. D. Douglas, Assessing 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4. A. Brown, "The effect of rater variables in the developments of an occupation specific language performance test," Language Testing, Vol.12, No.1, pp.1-15, 1995. https://doi.org/10.1177/026553229501200101
  5. 김현진, 성명희, "현장 친화적 ESP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모형 연구", 영어영문학연구, 제48권, 제1호, pp.85-104, 2006.
  6. T. Dudley-Evans and M. J. St. John, Developments i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7. 유근선, "학습자 관점의 실무영어 학습에 대한 현황 연구", 비서학논총, 제9권, 제2호, pp.69-91, 2000.
  8. 전지현, "비즈니스 영어(EBP) 교육에 관한 기초 연구 영어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213-228, 2002.
  9. 최경희, "관광영어 교과과정 개선을 위한 요구분석", 영어어문교육, 제12권, 제3호, pp.243-266, 2006.
  10. 황혜진, "특정목적의 영어학습을 위한 내용 중심의 언어교수법에 관한 연구", 비서학논총, 제10권, 제1호, pp.87-99, 2001.
  11. 황혜진, "컨벤션 영어에 관한 연구", 비서학논총, 제11권, 제1호, pp.143-155, 2002.
  12. Hutchinson and Water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3. 김현진, 이종복, 윤재홍, "취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실무형 ESP 교육과정 개발", 현대영어영문학, 제50권, 제2호, pp.151-175, 2006.
  14. 신동일, "비원어민교사들의 영어수업 진행능력 평가영역개발: ESP 관점에서", 영어교육, 제58권, 제4호, pp.61-98, 2003.
  15. J. Munby, Communicative syllabus desig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16. 이영화, 김선재 "영어능력과 국가경제성장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권, 제1호, pp.329-339, 2011.
  17. 강문구, "영어교육의 교수방법 지식지도 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모델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502-50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