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ing of Quality of Life for Elderly Employment Program Participants - Social Support(Social Activities, Family/Social Relationship), Emotional Problems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지지(사회활동, 가족/사회관계), 정서문제

  • 장신재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조자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4.07.31
  • Accepted : 2014.09.29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social activity, family/social relationship), emotional problem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Employment Program participant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2,005 participants from the data of the '2012 Elderly Employment Program Participants Surve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amily/social relationship had positive effects and emotional problem had negative effects to quality of life. Second, social activity had negative effects to emotional problem. Finally, social activity had mediator effects to quality of life through emotional problem.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사회활동, 가족/사회관계), 정서문제와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2,005명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대해 가족/사회관계는 정(+)적인 영향을, 정서문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활동은 정서문제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활동은 정서문제를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환범, "노인일자리사업 개선을 위한 효과성 평가",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1권, 제4호, pp.81-100, 2010.
  2. https://kordi.go.kr/mainSub.do?mCode=B0571
  3. 조준, 김영희, 조지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294-30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294
  4. 김옥희, "대도시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회보장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89-115, 2008.
  5.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2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 실태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3.
  6. E. Ferrans and J. Powers,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1.15, No.1, pp.29-38, 1992. https://doi.org/10.1002/nur.4770150106
  7. 박자경,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모형 구축 및 검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8. 강현정,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활동과 삶의 만족도",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1권, 단일호, pp.1-26, 2009.
  9. 김학만,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삶의 주관적 만족과 참여만족간의 경로분석", GRI 연구논총, 제13권, 제1호, pp.169-188, 2011.
  10. 노승현, 노화에 따른 지체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구축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1. 유광욱, 원유병, "노인들의 신체활동 유무.부적정서.경제적 수준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21권, 제4호, pp.197-205, 2010.
  12. D. Blazer, 노년기 정신건강-노인의 정서문제를 다루는 전문가의 개입전략, 김동배, 김유심, 문수경 역, 학지사, 2007.
  13. S. Peck and D. Dukes, In heaven as on earth: a vision of the afterlife, Hyperion, 1996.
  14. L. Rice, Stress and health: principles and practice for coping and wellness, Brooks/Cole, 1987.
  15. 김옥희,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노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5권, 제4호, pp.323-349, 2009.
  16. 배나래, 박충선,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761-779, 2009.
  17. 박평,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9호, pp.113-126, 2013.
  18. 고재욱, 이동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209-1228, 2011.
  19. 보건복지부, 2014년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보건복지부, 2014.
  20. 손장권, 조용하, "부산지역 노인의 사회활동, 사회관계 및 생애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대회 논문집, pp.497-509, 2004.
  21. 정순둘, "노인의 가족유형과 고독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7권, 단일호, pp.255-274, 2001.
  22. R. McPherson, "Socialogical perspectives on aging and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Vol.2, pp.329-353, 1994. https://doi.org/10.1123/japa.2.4.329
  23. 이길자, 안혜경, 김영선, "노인의 정신건강과 가족지지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 제1권, 제2호, pp.181-194, 1999.
  24. 김은경, 하규수, "노인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12호, pp.811-820, 2013.
  25. 최형임, 채현탁, 송인욱,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스트레스적 생활경험과 절망감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43권, 단일호, pp.183-202, 2009.
  26. S. Maren, "Synaptic mechanisms of associative memory in the amygdala," Neuron, Vol.47, No.6, pp.783-786, 2005. https://doi.org/10.1016/j.neuron.2005.08.009
  27. 양순미, 홍성례, 홍숙자, "농촌노인의 사회활동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제14권, 제2호, pp.145-178, 2004.
  28. 이상연, 이재형, "노인체육 편: 노년기 여가활동 과 삶의 질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0권, 단일호, pp.787-797, 2007.
  29. G. Koenig and J. Kvale, "Religion and health in later lif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35, No.10, pp.967-967, 1987.
  30. L. Idler and S. Kasl, "Religion Among Disabled and Nondisabled Persons: Cross-sectional Patterns in Health Practices, Social Activities, and Well-being," Jouran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52B, No.6, pp.S294-S305, 1997. https://doi.org/10.1093/geronb/52B.6.S294
  31. 김미숙, 박민정,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제20권, 제2호, pp.29-47, 2000.
  32. 박영신, 김의철,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12권, 제1호, pp.161-195, 2006.
  33. N. Krause,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an elderly population," Psychology and Aging, Vol.2, No.4, p.349, 1987. https://doi.org/10.1037/0882-7974.2.4.349
  34. 한형수, "한국사회 도시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19권, pp.113-142, 2004.
  35. 소희영, 김현리, 주경옥, "ICF 모델에 근거한 노인의 삶의 질 예측 모형", J. of Korean Acad Nurs, 제41권, 제4호, pp.481-490, 2011. https://doi.org/10.4040/jkan.2011.41.4.481
  36. A. Bowling, Z. Gabriel, J. Dykes, M. Dowding, O. Evans, A. Fleissig, and S. Sutton, S, "Let's ask them: a national survey of definitions of quality of life and its enhancement among people aged 65 and ove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56, No.4, pp.269-306, 2003. https://doi.org/10.2190/BF8G-5J8L-YTRF-6404
  37.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 노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2호, pp.197-222, 2006.
  38.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4, p.422,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39. 김명숙, 고종욱, "여가활동이 노인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지지의 매개역할", 노인복지연구, 제60권, 단일호, pp.35-54, 2013.
  40. 김영범, 이승훈,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안녕감: 서울 및 춘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노년학, 제28권, 제1호, pp.1-18, 2008.
  41. M. Levasseur, S. Tribble, and J. Desrosiers, "Meaning of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Importance of human functioning componen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49, pp.91-100, 2009. https://doi.org/10.1016/j.archger.2008.08.013
  42. L. Lin, M. Yen, and J. Fetzer, "Quality of life in elders living alone in Taiw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7, No.12, pp.1610-1617, 2008.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7.0208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