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경인일보, "집단따돌림 더 이상은 안된다", 2013. 4. 17.
- 국민일보, "경산자살 고교생 괴롭혔던 학생들에게 실형선고", 2013. 8. 23.
- KBS 뉴스, 2013. 03. 25, 노준철 기자 리포터.
- J. G. Paker and S. R. Asher,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link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 Psychol, Vol.29, No.2, pp.611-621, 1993. https://doi.org/10.1037/0012-1649.29.4.611
- 이상균, "중학생 또래따돌림('왕따')의 예측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37권, pp.357-379, 1999.
- 박나영, 고재홍, "남녀중학생 집단따돌림 발생원천의 성분비교: 사회관계모형분석", 청소년상담연구, 제13권, 제1호, pp.43-54, 2005.
- 서정애, 초등학생의 폭력노출과 비행경험이 집단 괴롭힘 가해행동과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이혜영, 학생의 집단따돌림 및 괴롭힘 현상에 대한 대책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 곽금주, "학교폭력 및 왕따예방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5권, 제2호, pp.105-122, 1999.
- 구본영, 청소년집단 따돌림의 원인과 지도방안.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7.
- 한국폭력예방재단, 전국학교폭력실태조사보고서,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1.
- 김현주, 집단따돌림에서의 동조집단유형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 D. Olweus, "Annotation: bullying at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35, pp.1171-1190, 1994. https://doi.org/10.1111/j.1469-7610.1994.tb01229.x
- 고지현, 중.고등학생의 집단따돌림과 자아개념 및 정신건강상태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J.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n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Vol.7, pp.349-361, 1996.
- 손향숙, "집단따돌림 지속의 결정요인-피해아동의 대처방식, 사회적지지 및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제12권, 제3호, pp.223-244, 2005.
- 김영길, 집단따돌림의 실태분석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김옥엽, "전라북도 지역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논문집, 제23권, pp.85-124, 1999.
- D. Olweus, Aggressors and their victims: bullying at school, In N. Frude & H. Gault(Eds), Disruptive behavior in school, New York: John Wiley, 1984.
- N. R. Crick, J. F. Casas, and M. Mosher,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in pre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3, pp.579-588, 1997. https://doi.org/10.1037/0012-1649.33.4.579
- S. R. Asher, Recent advances in the study of peer rejection,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 김현미,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제11권, 제4호, pp.518-527, 2002.
- 김혜원, 이해경, "학생들의 집단괴롭힘의 가해와 피해아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변이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4권, 제1호, pp.45-64, 2001.
- 이은주, "집단괴롭힘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한 단기종단적 연구, 청소년학 연구, 제11권, 제1호, pp.141-165, 2004.
- 최미경, "아동의 또래괴롭힘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7권, 제4호, pp.133-145, 2006.
- 김예성, 김광혁,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 괴롭힘 경험유형에 따른 우울불안, 학교유대감, 공격성의 차이 및 피해경험을 통한 가해 경험변화", 아동학회지, 제29권, 제4호, pp.213-229, 2008.
- 곽금주, "한국의 왕따와 예방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4권, 제1호, pp.255-272, 2008.
- 김광수, "경험과학적 용서연구의 반성적 고찰과 제언,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4호, pp.33-39, 2004.
- D. L. Haynie, T. R. Nansel, P. Eitel, A. D. Crump, K. Saylor, K. Yu, and B. Simons-Morton, "Bullies, victims, and bully/victims: Distinct group of at-risk youth,"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21, pp.29-49, 2001. https://doi.org/10.1177/0272431601021001002
- 이상균,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이은경, 유나현, 전주연, 이기학, "개인심리적 특성이 집단따돌림에 대한 동조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발표논문집, 제1권, 제1호, pp.265-266, 2004.
- 유귀순, 따돌림 아동을 위한 사회적 기술 향상프로그램의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이희경, "문화성향, 공감과 동조가 집단따돌림현상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4호, pp.1-25, 2002.
- 김서주, 집단응집력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집단 따돌림에 대한 방관적 태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윤성우, 이영호, "집단따돌림 방관자에 대한 또래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6권, 제2호, pp.271-292, 2007.
- J. H. Block and J. Block,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A. Collins(Ed.). Minnesota symposia an child psychology, Vol.13, pp.39-101, 1980.
- 정성근, 초등학생의 가정폭력경험과 자아탄력성의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최윤경, 진혜경, 김종원, "학령기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 아동의 인격성향에 관한 연구.-한국아동인성검사를 이용하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12권, 제1호, pp.94-102, 2001.
- M. R. Crick and J. K. Grotpeter, "Children's treatment by peers: victims of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Vol.6, pp.367-380, 1996.
- 임지영, 또래괴롭힘이 아동의 외로움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가정학과 석사학위논문, 1997.
- 김현주, "동조집단 유형화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5권, 제2호, pp.103-118, 2003.
- 채호숙,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2008.
- 김용태, 박한샘, 청소년 친구따돌림에 대한 실태 조사, 청소년대화의 광장편,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을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7.
- 김혜원, 이해경, "학생들의 집단괴롭힘 관련 경험에 대한 예언변인들의 탐색-초.중.고등학생간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제15권, 제1호, pp.183-210, 2000.
- P. K. Smith and P. Brain, "Bullying in school: lessons from two decades of research," Aggssive Behavior, Vol.l, pp.1-9, 2000.
- 최연희, 김나영, "집단따돌림 피해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14-224.
- 박미경,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집단따돌리 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송혜리,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경험 및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이현주, 권수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347-35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