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cceptance and Modification in Yulgok Neo-Confucianism by Myungjae Yoon Jeung

명재 윤증의 율곡성리학의 수용과 변전(變轉)

  • Received : 2014.10.11
  • Accepted : 2014.11.01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Neo-Confucianism of Myungjae Yoon Jeung either accepted Yulgok Neo-Confucianism as it was or modified it. In this study, his Neo-Confucianism was divided into acceptance and modification in Yulgok Neo-Confucianism and examined. In the acceptance of Yulgok Neo-Confucianism, it was clarified that Neo-Confucianism of Myungjae Yoon Jeung thoroughly inherited characteristics of Yulgok Neo-Confucianism, including 'Yiguijimyo', 'Yitongguiguk' and 'Guibalyiseungildo'. However, Myungjae was not just satisfied with inheriting Yulgok Neo-Confucianism as it was, but modified and inherited the theory of Yulgok by suggesting his own original preaching. There were three original preaching of his in overall; 'emphasis on the control of Li', 'argument method on a theory of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and 'perception on moral mind, human mind and human desire'. Ultimately, it is concluded that Myungjae modified, inherited and developed Yulgok Neo-Confucianism to adjust a theory of Neo-Confucianism in a position of 'Yiguijimyo', based on 'a theory of Guibalyiseungildo' of Yulgok as a Confucian scholar of Giho school. It is consistent with his life philosophy that he avoided speculative arguments on Neo-Confucianism and pursued solid study(實工) with solid mind(實心). It is also consistent with his view of learning that he believed that theories of ancient sages were already rich that we should read them and practice their true knowledge(眞知), and making an effort on writing regardless of them was not a study of Mushil(務實). However, due to his younger students, he was classified as a scholar who emphasized the control of 'Li' the most in Yulgok school, and a new academic tie of Giho Soron was created. It is the most important significance that Neo-Confucianism of Myungjae has in that of Giho.

명재 윤증의 성리학은 율곡의 성리학을 그대로 계승하거나 변형하는 형태로 전개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율곡성리학의 수용과 변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율곡성리학의 수용에서는 율곡성리학의 특징인 '이기지묘(理氣之妙)', '이통기국(理通氣局)', '기발이승일도(氣發理乘一途)'의 측면에서 명재가 이러한 논리를 철저히 계승하고 있음을 밝히었다. 하지만 명재는 율곡성리학을 자신만의 독창적인 설법을 제시하며, 율곡의 학설을 변전 계승하고 있다. 첫째, 명재는 리의 주재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이용사(理用事)'라는 용어를 통해 도심, 인심, 인욕을 세 단계로 이해하는 데서 분명히 드러난다. 둘째, 명재의 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은 주자나 율곡의 격물치지의 큰 틀 안에서 말하고는 있지만, 그 논법에 있어서는 양명학적 요소를 엿볼 수 있다. 셋째, 명재는 도심의 '기발'이나 인심의 '기발', '기용사'를 모두 부정적인 의미로 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것은 그가 리의 주재성을 고려하여 '기용사(氣用事)'를 이해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국 명재는 기호유학자로서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와 '이기지묘'적 입장에서 성리설을 더욱 정합화하고자 하였던 의도로 율곡성리학을 변전하여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그가 사변적인 성리논변 자체를 꺼리고, 실심에 기반하여 실공을 추구하고자 한 인생철학과, 선현들의 학설은 이미 풍부하므로 그 책들을 읽고 진지를 실천할 일이지, 그와 관계없이 저술에 힘쓰는 것은 무실의 학문이 아니라고 말했던 학문관과 일치한다. 다만 그 성향이 율곡학파 내에서도 '리'의 주재성을 가장 많이 강조한 학자군으로 분류되면서, 기호 소론이라는 새로운 학맥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것이 기호성리학에서 명재성리학이 갖는 가장 중요한 의의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