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지리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제49권5호
- /
- Pages.728-746
- /
- 2014
- /
- 1225-6633(pISSN)
단계적 인구이동에 따른 출산력 변화와 과소화: 전라북도를 사례로
The Transition of Fertility and the Depopulation by the Stage Migration: A case study of Jeollabuk-do
- Lee, Chungsup (Institute of Rice, Life and Civiliz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 Hwan (Department of Geography, Silla University)
- 투고 : 2014.10.06
- 심사 : 2014.10.29
- 발행 : 2014.10.30
초록
이 연구는 젊은 연령집단의 선별적 이동 및 세대에 걸쳐 진행되는 단계적 이동이 농촌과 도시의 출산력 변화와 지역의 인구성장에 파급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며, 전라북도 14개 시군이 사례지역이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1970 1990 2010년 20-34세 연령집단의 지역 간 인구이동 O-D 행렬과 같은 기간의 20-34세 연령집단과 가임 여성인구 분포 및 출생 사망의 동태자료이다. 분석 결과, 첫째 각 시점의 젊은 연령집단은 큰 규모로 출생지에서 이출하는 선별적 이동을 했다. 둘째 세대별로는 앞선 세대는 과거 전라북도 농촌에서 도시로, 뒤따르는 세대는 현재 전라북도 도시들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단계적 이동이 존재했다. 셋째 젊은 연령집단의 선별적 이출은 출산 가임인구 축소, 저출산과 고령화 그리고 자연적 인구감소라는 과정을 수반되는데, 단계적 이동에 따라 과거 농촌에서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었고, 현재는 전라북도 도시지역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전라북도 대부분 군 지역은 1980년대 후반부터 연간 사망자수가 출생아수를 상회하는 자연적 인구감소가 나타났고, 2000년대 초반에는 도시 지역에서도 이 같은 현상이 확인된다. 따라서 단계적 이동은 비수도권 중소도시 인구성장을 결정짓는 주요한 원인이며, 결과적으로 정주계층을 따라 단계적 과소화로 이어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elective migration of young age group and the stage migration which has proceeded through generations, on the transition of fertility and the population growth in the rural and urban in the case of Jeollabuk-do. For this, we use O-D matrix of 20-34 age group, the distribution of that group and women of child bearing age, and vital statistics in 1970-201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utflows from their birth place are common and dominant features of 20-34 age group in each time. Second, there is the stage migration which preceding generation moved from the rural areas to the cities in Jeollabuk-do and following generation has moved from the cities to Seoul metropolitan area. Third the selective outflow migration of young age group has leaded to reduction of the childbearing population, declining birthrate, aging and natural population decline. Due to the stage migration, these depopulation processes occurred in rural area in the past, and currently it expands to the cities with about 15 years time gap. In fact, there have been the natural population decrease which annual number of deaths exceed that of births from the late 1980s in the most rural areas and in the early 2000s, such a phenomenon has been confirmed also in urban area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stage migration through generations is one of the crucial factor to the population growth in local cities and also brings out the step-wise population decrease in settlement hierarch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