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ntensifying Efficiency of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Organiz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ess Media

언론매체 분석을 통한 대통령경호조직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 김일곤 (동아대학교 경찰경호학과) ;
  • 안영규 (신경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4.02.10
  • Accepted : 2014.02.21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Quantitative rise and This study carried out qualitative research by utilizing NVivo 10 focusing on the contents of mass media such as newspaper or internet on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up to the Park Geun-hye government from the 3rd Republic of Korea, which was established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The aim is to present opinion so that the presidential security organization can strengthen capability and function within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 down the road based on the contents of categories, which were elicited through this. First, there is a need of solidifying the internal stability with the expansion in the activity sphere of organization and of externally approaching the public with removing sense of difference caused by offering personal protection only to some of the privileged class in the meantime. Second, it is the foundation of a reason related to crime in a cause for Discharge by Authority pertinent to "law on security for president and others" in Article 10 in order to prevent a criminal act of having abused the task characteristic and the position superiority or an external pressure act related to intervention in rights. Third, there is a need of making it recognized as very important organization with putting differentiation from other organizations of the government by providing the disciplinary level more strictly than "disciplinary order on public officials" based on particularity and importance dubbed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along with correspondingly applying "disciplinary order on public officials" in Article 31 in accordance with "enforcement ordinance of law on security for president and others" in terms of service negligence and false-information report in relation to task performance.

이 연구는 대통령경호실이 출범한 1963년 제3공화국부터 박근혜 정부에 이르기까지 대통령경호실에 대한 신문 또는 인터넷 등의 언론매체의 내용을 중심으로 NVivo 10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적으로는 조직의 활동영역 확장으로 내실을 다지고 외부적으로는 그 동안 일부 특권층에게만 신변보호를 제공하여 이질감을 떨치고 대중으로 다가설 필요가 있다. 둘째, 업무특성과 지위 우월성을 악용한 범죄행위나 이권개입과 관련된 외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제 10조의 직권면직의 사유에 범죄와 관련된 사유 신설이 요구된다. 셋째, 임무수행과 관련하여 업무태만 및 허위사실 보고 등에 대해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1조의 "공무원 징계령" 적용과 더불어 대통령경호실이라는 특수성과 중요성에 입각하여 징계 수위를 "공무원 징계령" 보다 엄격히 규정함으로써 정부의 타 조직과의 차별성을 두어 매우 중요한 조직으로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장원철, 한국 경호제도 변천사 연구,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 대통령경호실, www.pss.go.kr: 검색일 2013.11.15.
  3. 조광래, "역대 대통령경호실장 유형분석", 한국경호경비학회, 33: 229-260. 2012.
  4. 강성학, 역대정권의 안보정책: 그 특징과 변화 및 문제점,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연구보고서,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993.
  5. 이강로, "제3공화국(1963-1972) 정치제도의 정통성과 박정희정부", 한국정치학회보, 31(4): 89-108, 1997.
  6. 김용호, "제3.4공화국의 대외정책", 한국정치외교사논총, 10(1): 381-416. 1994.
  7. 두산백과사전, www.doopedia,co,kr: 검색 11. 15. 2013.
  8. 동아일보, "선례 없어 경호팀 급조도", 12.18: 3. 1987.
  9. 한겨례신문, "청와대 새 '대통령 관저' 준공", 10.26.: 2. 1990.
  10. 김명수.김상인, 한국민군관계 역사적 관계와 발전방안: 비교 역사적 분석,전략논총,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994.
  11. 경향신문, "세상 많이 달라졌네", 2.26: 23. 1993
  12. 경향신문, "全씨 경호실파견 경호24일로 끝나", 2. 16: 4. 1995.
  13. 정경환, "제1장 노무현 정권 대북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통일전략, 8(1): 9-70. 2008.
  14. 조선일보인터넷, "[청남대 반환] 경호부대 해체", 4. 29. 2003.
  15. 조선일보인터넷, "高대행, 가결 직후 임시閣議 등 잇달아 소집", 3. 13. 2004.
  16. 중앙일보인터넷, "장관급 청와대 경호실장에 박지만 육사동기?", 1. 29. 2013.
  17. 김두현, "제17대 대통령선거후보자 경호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4: 43-67. 2007.
  18. 이수오, 경찰의 경호업무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9. 조성구.김태민, "선거후보자 경호경비대책의 발전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1(1): 207-230. 2012.
  20. Padgett, D. K.. 'Qualitative Method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