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s the society turns into more of an information an technology centric society,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is being increased these days. Recently, as the number of leaking accident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valuable industrial technology is on the rise, every field of industry endeavors to come up with a security solution. In particular, since defense industry is a field where it establishes national defense power that is essential of national security, it requires higher standards of security solutions than any other ordinary fields of industry. According to Defense Industry Security Work Instructions, defense industry firms from security organizations and employ a security worker corresponding to the firm's scale and conditions. In an environment where essential information and technology are stored and managed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or storing media, the duty and role of IT security workers are crucial.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systematic analysis on the work of IT security workers and development of curriculum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Thus DACUM process, a job analysis technique, was used to identify IT Security workers' duties and responsibilities and verify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deducted results from the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in development of IT security duty in defense industry and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amendments of related regulations.
지식 정보화 사회가 심화되면서 정보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최근 들어 개인정보와 핵심 산업기술 유출 사고가 늘어나면서 모든 산업분야는 보안대책을 강구하는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특히 방위산업은 국가 안전보장에 필요한 국방력을 구축하는 분야이므로 일반 산업분야보다 더 높은 수준의 보안대책이 요구된다. 방위산업체는 방위산업보안업무훈령에 따라 업체별 규모와 여건에 맞게 보안조직을 편성하고 보안실무자를 임명 운영하고 있다. 정보 통신의 발달로 대부분의 핵심정보와 기술이 정보통신 시스템이나 저장매체에 기록 관리되고 있는 환경 속에서 정보통신보안실무자의 임무와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방위산업체 정보통신보안실무자들의 직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그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직무분석 기법인 DACUM을 활용해서 정보통신보안실무자들의 책무와 과업을 도출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과업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방위산업체 정보통신보안 업무의 발전에 기여하고 관련 규정의 개정 및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