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to the Visual Exp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ew Materials Utilizing the Lighting

조명을 활용한 신소재의 시각적 표현유형 및 특성분석

  • 정선희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 서지은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Received : 2014.08.31
  • Accepted : 2014.10.15
  • Published : 2014.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on method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 utilized the lighting in terms of a visual aspect. The method of study is to establish standards for analysis and to classify type of visual effect and expression of that focused on preliminary study. And It is to grasp the visu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new materials. through analysis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corativeness', 'symbolization', 'motion-images' and 'interactivity' were selected as the type of visual expression through the precedent studies. And it was classified the visual effects as 3 types like 'a light-emitting effect', 'steric effects' and 'movement effect'. Second, We could know that 'light-emitting effect' was expressed in 7-new materials, 'three-dimensional effect' was expressed in 3-new materials, and 'motion effect' in 4-new materials. Through that. We could know that the new materials represented with 'light-emitting effect' are much more than the other new materials.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ecorativeness' in the visual types was appeared to 'light-emitting effect' and 'three-dimensional effect'. 'symbolization' to 'light-emitting effect' and 'motion effect', 'motion-images' to 'three-dimensional effect' and 'motion effect' and 'interactivity' to 'light-emitting effect', 'three-dimensional effect' and 'motion effect'. And It was appeared to three effects in 'interactivity'. We could know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be presented the visual effect simultaneously to communication with the visual percep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선아.유영규, Understanding Color-Material and Finishing, 초판, 비쥬얼스토리공장출판부, 서울, 2010
  2. 대구경북디자인센터 디자인소재혁신RIS사업단, MATERIAL CHIP, 초판, 비쥬얼스토리공장출판부, 서울, 2010
  3. materiO, Material World 3/Innovative Materials for Architecture and Design, 1st ed., FRAME, Amsterdam, 2011
  4. 한국디자인진흥원, 2014 TREND CODE, 초판, 삼아프린팅, 성남, 2013
  5. 한국디자인진흥원, 2012-2013 Global Design Trend, 초판, 삼아프린팅, 성남, 2012
  6. 박두리, 디지털 조명기구에 나타나는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0
  7. 박정아, 표현매체로서 LED를 활용한 박물관 전시 디자인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2012
  8. 임흥식, 건축외피에 있어서의 LED조명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8
  9. 장회위, 디지털 건축조명에 있어서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대 석사논문, 2009
  10. 김유진, 2011년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디자인 트렌드_2011 재료 트렌드5, 월간 디자인, 2011.1
  11. 류호창, 디지털 건축에서 나타나는 재료의 기술적 표현 유형 및 특성, 한국디자인포럼, 제33권, 2011.11
  12. 서지은.이곡숙, 마감재와 조명의 관계에 의한 공간감성 변화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9권 제1호, 2013.1
  13. 손혜희.최경실, 스마트 재료를 통해 나타나는 디자인 적용 및 표현 특성 분석,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1권 제4호, 2012.8
  14. 양보람.정강화, 실내공간에서 패브릭의 확산효과를 활용한 LED조명 디자인의 특성 및 경향, 한국디자인포럼 제31권, 2011.5
  15. 이정열, 현대건축 표피의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40권 제40호, 2003.10
  16. 전유창.김성욱, 현대건축의 표면에 나타난 시각적 촉각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제3호, 2008.6
  17. 정선희.서지은, 감성주거공간디자인을 위한 신소재의 은유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3권 제3호, 2012.6 https://doi.org/10.6107/JKHA.2012.23.3.071
  18. 정선희.서지은, 주거공간에 적용가능한 신소재 및 기준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1권 제4호, 2010.8
  19. 정은하.김개천,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감성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8권 제6호, 2009.12
  20. 허영화, 미디어 프로젝션 파사드의 환영적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11권, 2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