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 as heortē and scholē

'헤오르테'(heortē)와 '스콜레'(scholē)로서 놀이

  • Received : 2014.01.05
  • Accepted : 2014.02.12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lucidate the meaning of play which constitutes the genuine happiness of human being in Plato's '$heort{\bar{e}}$' and Aristotle's '$schol{\bar{e}}$'. Until now '$heort{\bar{e}}$', a divine act which communicate with original divinity, was differentiated from paidia. And '$schol{\bar{e}}$' was understood as activities in spare time opposed to labour. Plato put '$heort{\bar{e}}$' at the center of their life as a means for gods' blessing. Aristotle understand '$schol{\bar{e}}$' as free activities and the completion of individual life. For Aristotle play is not only a freedom from labour but also a supreme activity. Play itself is an end and a completion. Play is the essence of human life so man can be happy with play. Play is the activity of joy. And play is the most intellectual and spontaneous activity. Now we can assert that '$heort{\bar{e}}$' is the original play which elucidate the existence of the human being in connection with world and is the holy mode of play which makes an affluent life of communities. And we can maintain that '$schol{\bar{e}}$' is a mode of play which freed from the burden of labour and elevate the life of human being to academic activities and contemplative life. By this interpretation we can expose that play is the center of life. We can see the two fold meaning of apollonian-dionysian play and the perfect harmony of communities in Plato's '$heort{\bar{e}}$'. We can see also the delight as splendidness of life in Aristotle's '$schol{\bar{e}}$'. The Plato's theory of play seems different from Aristotle's. But their theories are the same in the general, because they both put play at the center of life and they equally assert that we have to live with playing our life. The world in which play is in harmony with labour- this world is their utopia.

본 연구는 노동과 조화를 이루어 인간의 진정한 행복을 구성하는 놀이의 의미를 고대 희랍철학자들에게서 찾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탐색은 가장 시원적인 놀이를 신성한 차원으로까지 승화시키는 플라톤과 자유로운 활동을 개인 삶의 완성으로 파악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놀이 개념에 대한 고찰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플라톤의 철학에서 '헤오르테'($heort{\bar{e}}$)는 근원적 신성과 소통하는 성스러운 활동으로서 '파이디아'(paidia)의 모방 활동과 구별되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에도 '스콜레'($schol{\bar{e}}$)는 '노동'(ascholia)과 대립되는 단순한 여가 활동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먼저 플라톤의 '헤오르테'가 가장 시원적인 놀이로서 인간이 세계와의 연관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해명하며 또 공동체의 풍요로운 삶을 이루어가는 성스러운 놀이 방식이었다는 것을, 그 다음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콜레'가 노동의 부담을 벗어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학문 활동과 관조적 생활을 통해 인간의 행복을 구성하는 놀이 방식이라 것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해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놀이가 삶의 중심이었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다. 플라톤의 놀이 개념은 유아적인 것에서 신성한 '헤오르테'로 변화되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놀이 개념은 오락에서 학문 활동과 관조적 생활로 변화된다. 플라톤은 놀이를 신의 축복을 받기 위한 방편으로 인간의 삶의 중심에 두며, 아리스토텔레스는 놀이를 순수한 즐거움을 주는 자유로운 활동이요 개인 삶의 완성으로 파악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놀이는 단순히 노동으로부터의 자유가 아니다. 놀이는 자유로운 최고의 활동으로 그것 자체가 하나의 목적이요 하나의 완성이다. 놀이는 인간 삶의 본질이어서 인간은 놀이를 통해서만 행복해진다. 놀이는 순수한 즐거움으로 하는 활동이요 그 자체를 즐기는 것이며 또한 동시에 가장 지적이면서 능동적인 활동이다. 플라톤의 '헤오르테'에서 아폴로적-디오니소스적인 놀이의 양의성과 공동체의 혼연일체라는 놀이의 구조가 나타난다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콜레'에서는 본질적 삶의 풍요로서 기쁨이라는 놀이의 구조가 나타난다. 놀이에 관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는 서로 다른 것처럼 보지만 놀이를 삶의 중심으로 삼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들이 동일하게 주장하는 것은 삶을 놀이하며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놀이와 노동이 조화를 이룬 세계, 이것이 그들의 이상향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