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Hobbes' view of man and commonwealth

홉스의 인간관과 국가관

  • Received : 2014.07.05
  • Accepted : 2014.08.14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newly interpretate to T. Hobbes' view of man and commonwealth in his On Man and On Citizen. An established reputation of the Hobbes' view is as follows. The nature of every man is egoistic. Therefor in the state of nature every man struggles against every man to acquire the good for himself. To suppress this egoistic nature of every man commonwealth established through the covenant of every man. And every man is absolutely subject to the common power of commonwealth. By doing so, every man preserves the life of himself. In that opinion, it seems that commonwealth have absolutely superiority over a man, and suppresses the liberty and autonomy of every man. This study different from that opinion speaks as follows. The nature of every man is not egoistic, but the nature of some men is egoistic. Therefor commonwealth dose not suppress the liberty and autonomy of every man, but suppress the aggression of some egoistic men through the common power. By that work, commonwealth gives every man the hope of his safety and peace. If that hope is not preserved, the duty or need that every man is subject to commonwealth will be discharged. In that state, rather the common power of commonwealth is the power of enemy, by the law of nature man struggle against commonwealth as an enemy. Therefor we can know the meaning of 'mortal god' that commonwealth is called by Hobbes.

이 글은 홉스의 <인간론>와 <시민론>을 중심으로 그의 인간관과 국가관을 기존의 많은 견해와 달리 해석해볼만한 가능성을 모색한다. 홉스의 인간관과 국가관에 대한 기존의 견해는 인간의 본성은 이기적이므로 자연상태에서는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인간의 이런 이기적 성향을 억제하기 위해 각 개인은 상호간의 계약을 통해 국가를 수립하여, 자신을 국가권력(통치권/주권)에 절대적으로 복종시킴으로써 자기를 보존한다는 것이다. 이런 입장에서는 국가가 개인에 대해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며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을 억압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이 논문은 모든 인간의 본성이 이기적인 것이 아니라 이기적인 인간도 있다는 것을 밝힌다. 국가가 각 개인을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권력을 통해 이기적인 인간의 공격성을 통제함으로써 개인의 안전과 평화에 대한 '희망'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고 파악한다. 따라서 개인은 이 희망을 보장받지 못한다면, 국가권력에 복종할 필요나 의무가 상실된다. 오히려 희망을 보장받지 못하면 국가권력은 국가권력이 아니라 적의 무력일 뿐이므로 자연법에 따라 다시 전쟁상태로 환원되어 적과 전쟁할 수도 있다고 본다. 여기서 홉스가 국가를 '사멸적 신'이라고 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