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Satisfaction of University and Family Cohesion on Perceived Entrapment: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and Hope

대학만족도와 가족응집력이 지각된 속박감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희망의 조절효과

  • Received : 2014.06.19
  • Accepted : 2014.07.31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hope among satisfaction of university, family cohesion, and perceived entrapment. It was conducted to measure research variables from 610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resilience and hope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resented in graphs of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of university, family cohesion, and perceived entrapment. Seco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and family cohes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perceived entrapment. Third, resilience had moder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university satisfaction and perceived entrapment. Forth, hope had moder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family cohesion and perceived entrapment.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and hope that could be taken to reduce perceived entrapmen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대학만족도와 가족응집력이 지각된 속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과 희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대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회복탄력성과 희망에 따른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유의한 조절효과를 도식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만족도와 가족응집력, 회복탄력성, 희망 및 지각된 속박감 간에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대학만족도와 가족응집력은 지각된 속박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응집력이 지각된 속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대학만족도가 지각된 속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희망의 조절효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지각된 속박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회복탄력성과 희망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여의도 연구원, 2013년 전국 대학생실태 백서, 서울: 여의도연구원, 2013.
  2. 통계청, 통계청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에서 2014년 6월 10일 인출, 2014.
  3. G. W. Brown, A. Bifulco, and T. O. Harris, "Life events, vulnerability and onset of depression: Some refinement,"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50, pp.30-42, 1987. https://doi.org/10.1192/bjp.150.1.30
  4. 이종선, 조현주, "한국판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1권, 제1호, pp.239-259, 2012.
  5. P. Gilbert and S. Allan, "The role of defeat and entrapment in depression: An exploration of an evolutionary view," Psychological Medicine, Vol.28, pp.585-598, 1998. https://doi.org/10.1017/S0033291798006710
  6. 천숙희,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속박감 및 정신건강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223-235, 2012. https://doi.org/10.4069/kjwhn.2012.18.3.223
  7. 박미정, 함영림, 오두남,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정도 및 상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27-33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327
  8. 이재도, 권용현, "보건계대학생의 학과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제13권, pp.117-129, 2012.
  9. 신선화, 정구철, "자기수용과 가족용서가 가족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277-28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277
  10. L. Juang and A. Alvarez, "Discrimination and Adjustment Among Chinese American Adolescents: Family Conflict and Family Cohesion a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00, No.12, pp.2403-2409, 2010. https://doi.org/10.2105/AJPH.2009.185959
  11. L. Ierago, C. Malsol, T. Singeo, Y. Kishigawa, F. Blailes, L. Ord, P. Florsheim, L. Phillips, S. Kuartei, J. Tiobech, B. Watson, and H. Ngiralmau, "Adoption, family relations and psychotic symptoms among Palauan adolescents who are genetically at risk for developing schizophrenia," Social Psychiatry Epidemiology, Vol.45, pp.1105-1114, 2010. https://doi.org/10.1007/s00127-009-0154-x
  12. 강명희, 이수연,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6호, pp.265-293, 2013.
  13. 이희경, "중학생의 희망과 공감 하위집단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3호, pp.751-766, 2007.
  14. 박은혁, 이응택,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제71호, pp.5-30, 2013.
  15. 김민경, "대학생의 가족학대경험, 사회부적응 및 자아탄력성과 일상생활만족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0권, 제1호, pp.1-13,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1.001
  16. 장성연, "일부 치위생과 대학생에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14권, 제1호, pp.74-80, 2014.
  17. 김주환, 회복탄력성, 고양: 위즈덤하우스, 2011.
  18. 한수연, 정구철, "남성 수형자와 일반인의 회복 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8권, 제4호, pp.763-781, 2013.
  19. 김택호, 김재환, "청소년의 탄력성 발달 과정에 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6권, 제3호, pp.465-490, 2004.
  20. K. Reivich and A. Shatte,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Broadway Books, 2003.
  21. 김종운, 최미숙,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2호, pp.45-68, 2013.
  22. 정지영, 임정하, "청소년의 기질,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3권, 제1호, pp.37-51, 2011.
  23. K. R. Vacek, L. D. Coyle, and E. M. Vera, "Stress, Self-Esteem, Hope, Optimism, and Well-Being in Urban, Ethnic Minority Adolescents,"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38, No.2, pp.99-111, 2010. https://doi.org/10.1002/j.2161-1912.2010.tb00118.x
  24. C. R. Snyder, C. Harris, J. R. Anderson, S. A. Holleran, and L. M. Irving,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s of ho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0, pp.570-585,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0.4.570
  25. 최유희, 이희경, 이동귀, "Snyder의 희망척도 한국 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2권, 제2호, pp.1-16, 2008.
  26. 조한익,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및 학습전략의 구조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9권, 제3호, pp.465-483, 2012.
  27. 박선영, "저소득층의 긍정적 정서 및 우울감과 희망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 및 조절 역할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40권, pp.189-214, 2013.
  28. 어은영, "암환자의 가족지지와 희망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3권, 제2호, pp.91-117, 1998.
  29. 삼육대학교 기획처, 2012 교육만족도 조사결과 보고서, 서울: 삼육대학교출판부.
  30. 최태산, 홍경자, "청소년 문제행동에 관한 심리적 변인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1권, 제2호, pp.291-322, 1997.
  31. 주소영, 이양희, "청소년용 탄력성 척도 개발 및타당화",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4호, pp.103-139,2011.
  32. 이종선, 조현주, "한국판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1권, 제1호, pp.239-259, 2012.
  33. R. M. Baron and D. M. Kenny, "The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4. 김덕진, 이정섭,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44-254, 2014.
  35. 김민경, "대학생의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자살생각과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29권, pp.34-57, 2012.
  36. 이옥형,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호, pp.29-57, 2012.
  37. 조한익, 이나영,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자아탄력 성과의 관계: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 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6호, pp.1-20,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