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언
대부도는 행정구역상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에 속하며, 행정동인 대부동은 대부북동, 대부남동, 대부동동, 선감동, 풍도동 등의 법정동으로 구분된다. 2013년 기준으로 인구는 7,500여 명이며, 면적은 약 42 ㎢, 둘레길이는 약 61 ㎞로 리아스식 해안이다(Ansan-si, 2014). 대부도가 위치한 경기만 일대의 기후는 대체로 한서의 차가 크며, 해양성 기후의 특성이 약하게 나타난다(Onjin-gun, 2013). 2012년 기상청 기상자료에 의하면 대부도의 평균 기온은 11.5℃, 강수량은 1,728 ㎜이다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대부도의 중앙 북쪽에 최고봉인 황금산(168 m)이 솟아 있고, 대부분 해발고도 100 m 이하의 낮은 구릉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도 북쪽은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시화방조제로 연결되어 있으며, 북망산, 구봉도, 구봉저수지가 있고, 북동쪽은 시화지구의 농지조성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대부북동의 대금산(66 m) 아래 대부북동저수지가 자리하고, 이곳 상류에서 발원한 뻐꾹천이 서남쪽으로 흘러 서해로 유입된다. 대부도 남쪽은 거북햄섬, 가운데햄섬, 큰햄섬 등이 있으며, 서남쪽 대부남동에는 면적이 약 1,600 ㎢나 되는 아일랜드골프장이 2012년 6월에 완공되었다. 골프장 서쪽에 큰산과 섭수리산이 대부북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서남쪽으로는 대부도와 연결된 메추리섬이 있다. 선감동은 선감도, 불도, 탄도 등의 섬으로 이루어졌으며, 탄도는 탄도방조제로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선감동에는 경기도 제2도립수목원인 바다향기 수목원이 2014년 완공을 목표로 조성 중에 있으며, 그밖에 경기 영어마을 안산캠프, 안산시어촌민속박물관, 선감학생수련원, 경기도청소년수련원, 경기창작센터 등이 있다. 탄도 남단에는 탄도항이 있으며, 공룡 발자국이 발견된 대부광산 퇴적암층(경기도기념물 제194호)이 있다. 선재도는 영흥도와 대부도 사이에 위치하며, 행정구역상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에 속하지만 영흥도와는 1,250 m의 영흥대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대부도와는 길이 550 m의 선재대교로 연결되어 있어 지리적으로 대부도가 더 가깝다. 선재도는 남북으로 길게 뻗은 섬으로 중앙부가 좁으며 100 m 이하의 낮은 구릉성 산지와 평지로 되어 있다. 대부도와 부속 섬, 그리고 선재도는 육지와 연결되어 있고 관광지로서 널이 알려져 있으며, 개발압력이 높은 곳이다.
대부도 일대의 관속식물상에 대한 선행 연구는 Park (1983)에 의해 경기만 도서지역의 식물상 조사에서 414분류군이 밝혀진 후 Choi et al. (2001)에 의해 경기도 내 식물상 연구에서 대부도의 황금산 일대의 124분류군이 보고된 바 있다. Shim et al. (2002)은 대부도 해안의 염생식물 40분류군을 밝힌 바 있으며,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해 큰산에서 95분류군(Choi and Choi, 2009a), 구봉이에서 125분류군(Choi and Choi, 2009b)이 보고되었다. 이렇듯 대부도에 대한 식물상 연구는 Park (1983)의 보고 이후 단편적 또는 부수적으로 식물상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2013년에 대부도, 선재도, 영흥도가 포함된 대부도 일대에 대한 식물상이 밝혀진 바 있으며, 이때 대부도 521분류군, 선재도 364분류군, 영흥도 473분류군 등 총 708분류군이 보고되었다(Jang et al., 2013).
본 연구는 대부도와 부속 섬, 그리고 지리적으로 가까운 선재도 등을 포함한 지역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조사된 소산식물 목록을 기초로 주요 식물 분포 및 식물지리학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관광지로서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대부도의 식물상 변화 양상 및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대부도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부도 본섬, 일부 부속 섬, 지리적으로 가까운 선재도의 해안, 산지, 간척지, 경작지, 마을과 도로변 등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2012년 3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총 33회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다(Fig. 1, Table 1).
Fig. 1.Map showing the survey routes of Daebudo Island area.
Table 1.Surveyed dates and locality for the floristic study of Daebudo Island area
현장조사 시 포자, 꽃, 열매 등 생식기관이 달린 개체를 채집 하였으며, 이때 위치정보 및 생육지 정보 등도 함께 기록하였다. 채집한 식물은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여 국립생물자원관 표본관 (KB)에 보관하였다. 식물의 동정은 Hyun (2003a, 2003b, 2004), Lee (1996), Lee (2003), Park (2009) 등을 이용하였으며, 소산 식물목록의 배열은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ed., 2007)을 따랐고, 속 이하의 분류군은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의 소산식물목록에 식재로 표기 된 분류군과 본 연구 확인된 분류군 중에서 식재된 분류군은 부 록의 소산식물목록에 식재여부를 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소산식물목록을 토대로 환경부 법정보 호종(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특산식물(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을 포함한 귀화식물(Lee et al., 2011)등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민감한 남・북방계 식물(Oh et al., 2010)의 분포 및 식물지리학적 분포 특성 (Im, 1992)도 파악하였다.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대부도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3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총 33회에 걸쳐 채집된 확증표본을 근거로 소산식물목록을 작성한 결과, 103과 316속에 속하는 451종 9아종 56변종 2품종 등 총 518분류군을 확인하였다(Table 2, Appendix 1). 이들 중 양치식물은 8과 10속에 속하는 12분류군 이었으며, 나자식물은 2과 2속에 속하는 4분류군이었다. 피자식물 중 단자엽식물이 17과 71속에 속하는 121분류군이었으며, 쌍자엽식물이 가장 많은 76과 233속에 속하는 381분류군으로 전체 출현분류군의 73.5%를 차지하였다(Table 2). 과 수준에서 가장 빈번하게 출현한 분류군은 국화과로 7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다음은 화본과로 57분류군, 그 다음으로는 콩과로 37분류군이 출현하였다.
Table 2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detected in Daebudo Island area
대부도 일대의 식물상 변화양상을 살펴보면(Table 3, Appendix 1), Park (1983)은 대부도의 관속식물 424분류군(소산식물목록에는 428분류군)을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카이즈카향나무 등 식재된 것으로 추정되는 분류군이 많았다. 그 후 Choi et al. (2001)에 의해 대부도 황금산에서 124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이중 팥배나무 등 45분류군의 분포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Choi와 Choi (2009a, b)는 대부도의 큰산에서 95분류군, 구봉이에서 125분류군 등 총 179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좀명아주 등 52분류군의 분포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Jang et al. (2013)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이 일대를 조사하여 대부도의 521분류군, 선재도의 364분류군 등 두 곳에서 총 575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이 중 265분류군이 새롭게 출현한 분류군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법적보호종인 매화마름과 희귀식물인 금방망이를 비롯한 87분류군의 분포를 새롭게 확인하였다. 따라서 선행연구 및 본 연구에서 확인된 대부도 일대의 관속식물은 총 877분류군이었다.
Table 3.Changes of vascular plants from Daebu island area
주요식물
본 연구에서 분포가 확인된 518분류군 중에서 법정 보호종, 특산식물, 멸종위기 및 희귀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의 분포현황을 살펴보았다.
법정 보호종
선행연구에서 야생생물보호법에 의해 보호받는 멸종위기야생생물은 보고되지 않았으나 본 연구를 통해 II급에 해당하는 매화마름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Fig. 2A). 매화마름 생육지는 모두 논이었으며, 대부남동에서 수십 개체, 대부북동의 두 곳에서 각각 500 개체 이상을 확인하였다. 선재도 생육지는 섬의 중앙, 선재로 양쪽 논에 1,000개체 이상이 분포하였다. 한편, 매화마름은 법정 보호종이므로 화상자료만 확보하였다.
Fig. 2.Notable examples of the plants in Daebudo Island area. A: Ranunculus trichophyllus Chaix var. kazusensis (Makino) Wiegleb, B: Apocynum lancifolium Russanov, C: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D: Senecio nemorensis L., E: Lilium callosum Siebold & Zucc., F: Penthorum chinense Pursh.
특산식물
고유종 총람(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에서 제시한 우리나라 특산식물은 6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Kim (2004)에 의해 특산식물로 보고된 붉노랑상사화를 포함할 경우 총 7분류군이었다(Table 4). 이 중 붉노랑상사화, 서울제비꽃, 좀땅비싸리, 한라참나물, 흰바디나물 등 5분류군은 본 연구에서 분포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특히 한라참나물은 대부북동의 구봉이로 오르는 등산로의 습한 사면에서 분포를 확인하였는데, 지금까지 제주도에만 분포가 밝혀진 식물로, 근연종인 참나물 또는 그늘참나물에 비해 높이는 50 ㎝ 이하이고, 근생엽이 개화 시에도 남아있으며, 잎에 털이 산재하고 특히 엽연과 주맥의 털은 다세포성으로 마디 부분이 잘록하여 구분되는 분류군이다(Jang et al., 1995). 한편, 개나리와 벌개미취도 특산식물에 해당하지만 식재된 것으로 판단하여 논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Table 4.The endemic plants investigated in Daebudo Island area
멸종위기 및 희귀식물
IUCN 평가기준에 따라 국가 수준의 지역적 멸종위기에 직면 한 CR(위급), EN(위기), VU(취약)에 해당하는 분류군을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과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에서 제시한 목록과 비교한 결과(Fig. 2B), 총 5분류군이었다(Table 5). 이 중 금방망이(Fig. 2D), 매화마름, 버들금불초 등 3분류군은 본 연구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한편, 산림청에서 CR 등급으로, 환경부에서 EN 등급으로 취급한 왕벚나무는 식재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외하였다.
Table 5.zCR: critically endangered, EN: endangered, VU: vulnerable. y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x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은 총 3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Ⅴ등급종은 승마(Fig. 2C) 등 3분류군, Ⅳ등급종은 낙지다리(Fig. 2F) 등 4분류군, Ⅲ등급종은 땅나리(Fig. 2E) 등 4분류군, Ⅱ등급종은 물질경이 등 10분류군, Ⅰ등급종은 모래지치 등 17분류군이었다(Table 6). 이 중 땅나리 등 19분류군은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분포가 확인되었다. 한편, V등급종에 해당하는 왕벚나무와 I등급종에 해당하는 벌개미취는 식재된 것으로 판단하여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Table 6.z*; Newly identified taxa in this study.
귀화식물
귀화식물 분포 현황
대부도는 Park (1983)에 의해 처음 식물상이 보고된 이래로 귀화식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8). 1983년에는 5.4%에 해당하는 23분류군이 귀화식물이었으나 2013년 보고된 귀화식물은 77분류군으로 13.4%를 차지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12.9%에 해당하는 67분류군이 귀화식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대부도 일대에 분포가 보고된 귀화식물은 총 96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간 조사가 수행된 Jang et al. (2013)의 연구에서는 51분류군이 새롭게 확인되어 귀화식물이 급속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2013년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능수참새그령 등 15분류군의 귀화식물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이러한 귀화식물의 증가는 대부도가 내륙과 연륙된 지 20년이 넘었으며, 선재도는 10년이 넘어 사람의 왕래가 빈번하여 나타난 결과로 생각되며, 향후 그 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7.zNaturalized plants ratio in each study.
Table 8.z1. Park (1983), 2. Choi et al. (2001), 3. Choi and Choi (2009a, b), 4. Jang et al. (2013), 5. This study. yNewly identified taxa in each study.
귀화율
본 연구에서 파악된 대부도 일대의 귀화율은 자연성이 높은 산지인 남덕유산, 덕항산, 소백산 등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Table 9). 그리고 대부도가 위치하는 경기만 도서 중에서 백령도와 비슷하였으며, 대청도, 연평도, 덕적도보다는 약간 높게 나타났다. 대부도를 비롯한 경기만 내 도서의 귀화율은 충청남도 및 전라남북도의 도서에 비해 높은 편이었는데(Table 9), 이 는 경기만 내 지역이 타 지역보다 교역이 활발하고 사람의 왕래가 빈번하여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특히 대부도는 도시와 공단이 인접하여 개발압력이 높아 추후 귀화식물의 비율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9.Naturalized plants ratio by the region
한편, 대부도 일대에는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계교란야생생물인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애기수영 등 총 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가시박은 대부북동 구봉도의 펜션단지 부근에서 관찰되었으며, 단풍잎돼지풀은 대부북동의 구봉저수지 양쪽 산과 대부남동의 말부흥 길가 및 매립지 등에 흔하게 분포하였다. 미국쑥부쟁이는 간척지 제방, 길가, 산기슭 등 대부도 전역에 흔하게 출현하였으며, 애기수영은 대부남동의 무덤가에서 분포를 확인하였다.
식물지리학적 분포
도서 면적에 따른 분포
우리나라의 도서는 면적이 증가할수록 식물 종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Baik and Yim, 1982; Kim, 2010), 도서 지역의 출현 분류군 수는 도서의 면적뿐만 아니라 고도 및 기타 생육환경의 다양성과 자연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하며, 남해안 무인도서의 경우 고도에 따라 분류군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2010). 본 연구에서 확인된 518분류군은 같은 경기만에 위치한 면적이 유사한 백령도보다 200여 분류군이 적었고, 면적이 절반 정도인 덕적도와 유사하였다(Table 10). 서남해안의 가거도(소흑산도), 보길도, 생일도, 흑산도의 경우 대부도에 비해 분포면적은 절반 이하로 작으나 출현 분류군 수는 비슷하거나 많았는데, 이들 도서의 가장 높은 고도는 대부도의 2-4배 정도 높았다(Table 10). 반면에 안면도는 면적이 대부도의 3배 가까이 되지만 가장 높은 곳이 109 m 밖에 되지 않았으며, 출현 분류군 수는 대부도와 비슷했다. 따라서 도서의 면적, 고도, 생육환경, 육지와의 거리 및 기타 변수를 감안하여 출현 분류군 수와의 관계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10.The taxa, area, and altitude relation for vascular plants in islands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및 기원에 따른 식물 분포
기후변화에 취약한 남방계 및 북방계 식물(Oh et al., 2010) 과 Im (1992)의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변 국가의 분포범위에 기반을 둔 식물지리학적 식물의 분포 여부를 살펴보았다. 기후변화에 취약한 북방계 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분포역이 확대될 것으로 추정되는 남방계 식물(Oh et al., 2010)로는 갯사상자, 모래지치, 여우팥, 옥녀꽃대 등 4종류가 분포하였다. 빙하기 때 대륙에서 남하하여 쓰시마를 거쳐 일본의 주요 섬까지 확산된 식물(Im, 1992)로는 갈퀴꼭두선이, 금방망이, 산철쭉, 엉겅퀴, 조록싸리, 조뱅이 등 6분류군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지리적 변이와 격리에 의해 제주도 및 주변 지역에서 새롭게 분화된 식물(Im, 1992)로 자주잎제비꽃이 분포하였는데, 자주잎제비꽃은 전라남도와 제주도 등 남부지방에 주로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알려져 있으나(Im, 1992; Lee, 1996), 대부도의 대금산에서 분포를 확인하였다.
References
- Ansan-si. 2014. 2012-2013 Ansan-si Municipal White Paper. Ansan, Korea. pp. 1822-1823 (in Korean).
- Beck, E.H., A.R. Moon, J.M. Park and C.G. Jang. 2010. The study for flora of vascular plants of Deokjeokdo (Incheon). Korean J. Environ. Biol. 28(3):158-171 (in Korean).
- Choi, B.H. and I.S. Choi. 2009a. Flora of Daebu: Keunsan,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 Choi, B.H. and I.S. Choi. 2009b. Flora of Palmi: Gubongi,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 Choi, D.Y., C.S. Chang, J.Y. Kim, J.I. Jeon, H. Kim, W.K. Min and U. Kang. 2001. Flora of province Gyonggi-do. Bull. of Seoul Nat. Univ. Arboretum 21:25-26 (in Korean).
- Do, J.H. and S.H. Hwang. 2011. Flora of Wido: Mangkeumbong,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 Hong, H.H., H.D. Son, S. In and H.T. Im. 2011. Floristic study of Imja-do (Isl.). Korean J. Pl. Taxon 41(4):429-439 (in Korean).
- Hyun, J.O. 2003a. Spring Flowers of Korea. Singumunhwasa, Seoul, Korea (in Korean).
- Hyun, J.O. 2003b. Summer Flowers of Korea. Singumunhwasa, Seoul, Korea (in Korean).
- Hyun, J.O. 2004. Autumn Flowers of Korea. Singumunhwasa, Seoul, Korea (in Korean).
- Im, H.T. 1992. Plant geographical study for the plant of Cheju. Korean J. Pl. Taxon 22(3):219-234 (in Korean).
- Jang, C.S., S.G. Yang. M.S. Park, K.H. Kim, S.W. Seo and B.U. Oh. 2011. Floristic study Sobaek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 Taxon 41(4):398-414 (in Korean).
- Jang, G., W. Paik and W. Lee. 1995. Pimpinella brachycarpa var. hallaisanensis (Apiaceae): A new variety from Korea. Korean J. Pl. Taxon 25(1):7-12 (in Korean).
- Jang J, S.H. Park, K.S. Chang, S.J. Ji, S.Y. Jung, H.J. Lee, H.S. Hwang and Y.M. Lee. 2013. Diversity of vascular plants in Daebudo and its adjacent regions, Korea. J. Asia-Pacific Biodiversity 6(2):261-280. https://doi.org/10.7229/jkn.2013.6.2.261
- Lee, C.Y. 2008. A Floristic Study of Vascular Plants on Anmyeondo (Chungnam Province). M.S. Thesis, Mokwon University, Korea (in Korean).
- Lee, D.H., D.P. Jin, J.H. Lee, I.S. Choi and B.H. Choi. 2013. Floristic study of Mt. Namdeogyu. Korean J. Pl. Taxon 43(1):69-79 (in Korean). https://doi.org/10.11110/kjpt.2013.43.1.69
-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 Lee, Y.H. 2005. The Flora in Saeng-il Island a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lants. M.Ed. Thesis, Je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Korean).
-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 Kil, B.S., C.H. Kim, K.W. Yun and B.J. Rho. 1991. The flora and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 in island Pogil-do, Chonnam. Theses of Wonkwang University 25(2):423-448 (in Korean).
- Kim, A.R. 2010. Distribution of the Plant Species on the Uninhabited Island in Goheung-gun. M.Ed.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in Korean).
- Kim, C.S. 1984. The flora of Huksan-do archipelago (I). Bull. Inst. Littoral Biota 1(1):67-91 (in Korean).
- Kim, J.S, B.C. Lee, J.M. Chung and J.H. Pak. 2005. Flora and phytogeography on Mt. Deokhang (Gangwon-do), Limestone area in Korea. Korean. J. Pl. Taxon 35(4):337-364 (in Korean).
- Kim, J.H., G.H. Nam and J.S. Kim. 2012. The vascular plants in isl. Gageo (Jeollanam-do). J. Envir. Sci. Int. 21(4):437-450 (in Korean). https://doi.org/10.5322/JES.2012.21.4.437
- Kim, J.H., G.H. Nam, S.U. Kim, J.S. Kim, J.E. Choi and B.Y. Lee. 2013. A floristic study of Baengnyeongdo (Isl.)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6(2):178-213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3.26.2.178
- Kim, M. 2004. A taxonomy review of Korean Lycoris (Amaryllidaceae). Korean J. Pl. Taxon 34(1):9-26 (in Korean).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Annual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in Korean).
-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Pocheon, Korea. p. 182 (in Korean).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 Endemic Species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A Guide to the 4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in Korean).
- Oh, B.U., D.G. Jo, S.C. Ko, B.H. Choi, W.K. Paik, G.Y. Chung, Y.M. Lee and C.G. Jang.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 Ongjin-gun. 2013. 2013 Ongjin-gun Municipal White Paper. Ongjin-gun, Incheon. pp. 27-28 (in Korean).
- Paik, K.S. and Y.J. Yim. 1982.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isl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Ecol. 5(4):143-153 (in Korean).
- Park C.W. (ed.)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 Park, G.H. 1983. Ecological and Taxonom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Islands in Gyeong-gi bay. Ph.D Thesis, Kyunghee University, Korea (in Korean).
-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in Korean).
- Ryu, H.S., S.H. Park, K.S. Chang, H.S. Choi, S.G. Ha, H.J. Lee and Y.M. Lee. 2013.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isl. Yeonpyeongdo regions. Koran J. Environ. Ecol. 27(2):147-169 (in Korean).
- Shim, H.B., S.M. Seo and B.H. Choi. 2002. Floristic survey of salt marshes and dunes on Gyeonggi bay i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0(1):25-34 (in Korean).
- Yang, J.C., S.H. Park, S.G. Ha and Y.M. Lee. 2012.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Daecheong island, South Korea. Korean J. Plant Res. 25(1):31-47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2.25.1.031
Cited by
- Floristic Study of Yeongheungdo Island vol.28, pp.4, 2015, https://doi.org/10.7732/kjpr.2015.28.4.456
- Flora of Vascular Plants in Deokjeokdo (Ongjin-gun) and Its Adjacent Regions, Korea vol.28, pp.4, 2015, https://doi.org/10.7732/kjpr.2015.28.4.487
-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diet composition of overwintering Bean geese (Anser fabalis) and greater white-fronted geese (A. albifrons) in Korea using PCR on fecal samples vol.21, pp.2, 2017, https://doi.org/10.1080/19768354.2017.1308437
- Study on Flora and Comparative Example of Gulup-do in Ongjin, Incheon vol.25, pp.2, 2016, https://doi.org/10.14249/eia.2016.25.2.103
- Floristic study of Aphaedo Island in Shinan-gun, Jeollanam-do, Korea vol.48, pp.1, 2018, https://doi.org/10.11110/kjpt.2018.48.1.65
- 국내 외래식물의 현황 vol.50, pp.2, 2020, https://doi.org/10.11110/kjpt.2020.50.2.89
- 군집구조분석을 통한 바다향기수목원 소사나무림 식재모델 연구 - 대부도 및 영흥도를 대상으로 - vol.23, pp.4, 2020, https://doi.org/10.13087/kosert.2020.23.4.31
- 인천 및 경기도 도서지역 소사나무림 군집구조분석 연구 - 석모도, 영종도, 영흥도 및 대부도를 대상으로 - vol.35, pp.1, 2014, https://doi.org/10.13047/kjee.2021.35.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