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es Composition and Bimonthly Changes of Fish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Sagyeoi, Jeju Island

제주도 사계연안 어류군집의 종조성과 격월별 변동

  • Kim, Maeng Jin (Subtropical Fisheries Research Center,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Han, Song-Hun (College of Ocean Sciences, Je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oon Sang (Fisheries Resources Agency, Jeju Branch) ;
  • Kim, Byung Yeob (College of Ocean Sciences, Jeju National University) ;
  • Song, Choon Bok (College of Ocean Sciences, Jeju National University)
  • 김맹진 (국립수산과학원 아열대수산연구센터) ;
  • 한송헌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 김준상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제주지사) ;
  • 김병엽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 송춘복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Received : 2014.07.14
  • Accepted : 2014.09.17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Species composition and bimonthly changes of fish community were investigated with the fishes collected by using both trammel nets and fish pots in the coastal waters of Sagyeoi, Jeju Island from May 2009 to February 2010. A total of 1,921 individuals (324,206 g in biomass), which comprise 10 orders and 35 families with 60 speci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Among 60 species, 52 species were caught by trammel nets, 20 species by fish pots, and 12 species by both fishing gears. The five dominant species were Pseudolabrus sieboldi, Plotosus lineatus, Pteragogus flagellifer, Sebastiscus marmorattus and Diodon holocanthus in the aspect of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Diodon holocanthus, Sebastiscus marmorattus, Stephanolepis cirrhifer, Pseudolabrus sieboldi, Parupeneus chrysopleuron in biomass. Each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such as the number of species,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hich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5% significant level. In other words, there was a tendency of increment of eac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raise in water temperature or a decrease of salinity, and vise versa. The number of species,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of fishes were highest in August and lowest in February.

제주도 사계 연안에서 출현하는 어류군집에서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4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삼중자망과 통발을 이용하여 채집된 어획물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종조성은 총 10목 35과 60종이 출현하였고, 삼중자망에서 52종이 출현하였고 통발에서 20종이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전체개체수는 1,921개체, 생체량은 324,206 g이었다. 이 가운데 개체수에서 우점한 5종은 황놀래기, 쏠종개, 어랭놀래기, 쏨뱅이, 가시복이었으며, 생체량에서는 가시복, 쏨뱅이, 쥐치, 황놀래기, 두줄촉수였다. 조사기간 중 어획된 전체어류의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생체량과 이들 어류군집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인 수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염분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수온이 올라가거나 염분이 떨어지면 출현종수, 출현개체수, 그리고 생체량이 증가하고, 그 반대일 경우에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고수온기인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그리고 저수온기인 2월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유봉.신희섭. 1988. 제주도 북촌연안 수산자원 유영생물의 출현과 먹이 연쇄에 관한 연구- I. 종조성과 다양도. 한국수산학회지, 21: 131-138.
  2. 고유봉.신희섭. 1990. 제주도 남부 화순연안 수산자원 유영생물의 종조성과 다양도. 한국어류학회지, 2: 36-46.
  3. 고유봉.조성환. 1997.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I. 종조성과 계절변화. 한국어류학회지, 9: 48-60.
  4. 국립수산과학원. 2002. 한국어구도감. 한글그라픽스, 579pp.
  5. 김병기.곽우석. 2006. 거제도 지세포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8: 234-243.
  6.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7. 명정구. 1997. 제주도 문섬 주변의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9: 5-14.
  8. 박정호.노 섬. 2002. 제주도 동북 해역의 유조(珫藻) 어류상에 관란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14: 36-44.
  9. 유정화.김병기.김진구.김현주. 2005. 동해 중부 연안에서 자망과 정치망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7: 279-286.
  10. 이승종.고유봉.김병직. 2006. 제주도 서부 해역의 난.자치어 분포와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8: 129-140.
  11. 이승종.고준철.유준택.임양재.김병엽.김주일. 2009b. 제주도 서부연안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21: 167-176.
  12. 이종희.이재봉.김정년.이동우.신영재.장대수. 2009a. 낙동강 하구에서 새우조망으로 채집된 생물의 계절별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1: 177-190.
  13. 차병열. 1999. 거제도 연안해역의 어류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11: 184-190.
  14. 차병열.김대권.서성호. 2007. 2006 남해안 해역별 어류의 출현종 및 양적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9, 210-224.
  15. 차병열.김병엽.오성우. 2001. 제주도 연안 정치망 어획량 변동과 어기. 한국어류학회지, 13: 210-219.
  16. 차병열.장대수.김병엽. 2004. 제주도 함덕 연안의 정치망 어획량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7: 65-72.
  17. 한경호.손종철.홍동식.최수하. 2002. 포항 석병연안에서 삼중자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4: 109-120.
  18. 허성회.안용락. 2000.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1. 소형 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한국수산학회지, 33: 288-301.
  19. De Metrio, G. and P. Megalofonou. 1988. Catch, size distribution, growth and sex ratio of swordfish (Xiphias gladius L.) in the Gulf of Taranto. FAO Fish. Rep., 394: 91-102.
  20. Kwak, S.N. and S.H. Huh. 2007. Tempor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in Masan Bay. Korean J. Ichthyol., 19: 132-141.
  21. Nakabo, T.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english edition, Tokai Univ. Press, Tokyo, 1749pp.
  22.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ley and Sons, Inc., New Jersey, 601pp.
  23. Pang, I.C., H.K. Rho and T.H. Kim. 1992.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mass distributions and their causes in the Yellow Sea, the East China Sea and the adjacent seas of Cheju Island. Bull. Korean Fish., 25: 151-163.
  24.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 J. Theor. Biol., 13: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25.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25pp.
  26.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