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nsumer Awareness and Preference on the Coordination Using Recycled Material in Dining Space

재활용(Re-cycling) 소재를 이용한 식공간 연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선호도 연구

  • 홍주영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 Received : 2014.07.23
  • Accepted : 2014.09.01
  • Published : 2014.09.28

Abstract

The study is based on th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occurring these days to acknowledge the consumers awareness and preference according with the coordination using recycled materials in the dining space. As the result, considered the consumers had lack in recognition of using recycled materials when they tried to use them in their normal daily life. Also the females were far more interested than the males with the usage of the recycled materials inside the restaurant and its interior image along with married persons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it than the unmarried ones. With education back ground, highly educated peoples really quite didn't prefer the usage of the recycled materials. According with the income, the high earnings and with the occupation, the professionals with specialized jobs considered the practical use of aspects more important than above. Therefore the needs to educate and promote the consumers to use recycled materials in their every day lives, it is required to build social responsibility and finding the essential meanings to save resources so that they can utilize them with converted recognitions.

본 연구는 오늘날 심각한 환경문제에 따른 환경성을 고려한 식공간 연출의 중요성을 제기하고자하며 재활용에 관한 소비자들의 인식 및 선호도를 살펴봄으로서 식공간에서의 재활용 연출에 대한 현재 위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아직까지 소비자들에게 있어 재활용 소재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한 활용도 측면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레스토랑 식공간 및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식공간 이미지에 대해 성별에 따라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 높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에 있어서는 기혼자들보다는 미혼자들이 더 긍정적으로 생각함을 알 수 있다. 학력에 따라서는 고학력일수록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식공간 연출을 많이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수입에 따라서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직업에 따라서는 전문직일수록 실용적 측면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소비자의 재활용 소재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재활용 소재를 활용할 수 있는 인식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자로 하여금 사회적 책임을 느끼고 자원절약과 함께 재활용을 활용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홍보의 역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손장한, 환경 기업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5, 2005.
  2. p. Victor, "녹색위기 (디자인과 건축의 생태성과 윤리) The green imperative : ecology and ethics in design and architecture", 조형교육, p.85, 1999.
  3. B. Paul, Green Design, London, The Design Council, 1991.
  4. http://futurecraft.media.mit.edu/syllabus
  5. C. Julier, 20th Century Design, Thames and Hudson Ltd, p.95, 1993.
  6. 日本一ドコ一ディネ一タ一協會, フ一ドコ一ディネ一タ一教本, 柴田書店, 1998.
  7. 일본푸드스페셜리스트협회, 푸드코디네이트론, 시그마프레스, p.212, 2004.
  8. http://jfca.gr.jp
  9. 김성옥, 케이터링 산업에 있어 식공간 연출에 대한 지각이 이용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4, 2006.
  10. 임현심, 행사 환경 연출에 관한 연구: 테이블 데커레이션으로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7, 2003.
  11. 이진민, 서정호, 공간연출디자인 : 꽃과 테이블, 유니프, p.11, 2004.
  12. 김성옥, 케이터링 산업에 있어 식공간 연출에 대한 지각이 이용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3. 문혜영, 레스토랑의 푸드코디네이터역할 중요도에 관한 연구: 레스토랑 종사자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4. 오지영, 친환경적 실내마감재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선호 : 전문가집단과 비전문가집단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5. 우지영, 테이블웨어 페스티발에 대한 인식도 연구-토야테이블웨어 페스티발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6. 전현정, 아파트 식공간의 단위 평면 특성 및 만족도 분석, 경기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