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Health Behavior-based PMS Interven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의 효과 -일 지역 여중생을 대상으로-

  • Received : 2014.08.01
  • Accepted : 2014.09.19
  • Published : 2014.09.28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n knowledge about menstruation, coping with menstruation, menstrual symptom of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they received Health Behavior-based PMS Intervention Education. B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test group of 31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33 stu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knowledge about menstruation and coping with menstru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rom these finding, Health Behavior-based PMS Interven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effective and the development of such PMS Intervention Education is desirable in terms of health care.

본 연구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을 실시하고, 월경지식, 월경대처, 월경증상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로 진행되었으며, 일 지역 2학년 여중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31명과 대조군 33명 총 64명을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월경지식과 월경대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월경증상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여중생을 대상으로 한 건강행위 기반 월경전증후군 중재교육은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으며, 대다수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면서도 적절한 중재요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여중생을 위해 바람직한 건강 행위를 기반으로 한 중재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한 점은 보건의료적인 측면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진, 성인초기 여성의 건강행위 유형과 월경전후기 불편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 이경혜, 여성건강간호I.II, 현문사, 2014.
  3. S. F. Abraham, P. J. Beumont, I. S. Fraser, and D. Llewellyn-Jones, "Body weight, exercise and menstrual status among ballet dancers in training," Vol89, No7, J. of Obstetrics & Gynecology, pp.507-510, 1982.
  4. 박영주, "여성의 연령과 월경전후기 증상 정도 및 유형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5권, 제2호, pp.145-156, 1999.
  5. 김미영, 정문숙, 정귀애, "여고생이 호소하는 월경곤란증 정도 및 대처방안",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6권, 제3호, pp.413-426, 2000.
  6. 한선희, 허명행, "일부 여대생의 생리통 및 월경곤란증과 그 관련요인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5권, 제2호, pp.359-375, 1999.
  7. 박소라, 일 지역 여자 중학생의 월경관련 증상, 태도 및 대처행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8. 김수미, 여고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식행동 및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9. 정미경, 여고생의 월경지식, 태도, 증상 및 대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10. A. G. Billings and R. H. Moos,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 Behav Med, Vol4, No2, pp.139-157, 1981. https://doi.org/10.1007/BF00844267
  11. 김정은, Triangulation 방법을 이용한 월경전후기 불편감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12. 이충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의 초경 경험과 월경 태도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3. 김명희, 유인영, "초등학생의 월경 지식, 초경 정서, 월경 태도와 대처 행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64-72, 2009.
  14. 윤재희, 초등학교의 월경교육현황에 따른 여학생들의 월경지식과 태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5. 김형옥, 임세원, 우희연, 김계현, "한국 청소년의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에 관한 연구 한국 청소년의 월경전증후군 및 월경통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제51권, 제11호, pp.1322-1329, 2008.
  16. 이인숙, "일부 여대생들의 월경양상과 월경시 불편감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16-131, 1998.
  17. 박명실, 민윤기, "청소년 여학생을 위한 월경태도 측정의 타당화와 월경태도 형성에 미치는 초경관련 변인 청소년 여학생을 위한 월경태도 측정의 타당화와 월경태도 형성에 미치는 초경관련 변인",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9권, 제3호, 2004.
  18. 김혜자, "간호학생의 월경에 대한 태도, 월경증상 및 대처방법에 대한 조사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1권, 제4호, pp.288-295, 2005.
  19. 김영임, 이은희, 전가을, 최숙자, "여중생의 월경곤란증시 대처방법과 관련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pp.264-272, 2013
  20. 최성희, 김현옥, "구조화된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월경곤란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45-160, 2001.
  21. 임희순, 박용순, "서울지역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유무에 따른 식생활습관의 차이", 대한폐경학회지, 제16권, 제3호, pp.153-161, 2010.
  22. 송현주, 월경전후기 불편감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효과의 메타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3. 정현정, 장인순, 박승미, "이혈요법이 여대생의 월경통, 월경곤란증 및 피부저항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217-22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217
  24. 김순옥, 김현숙, "모의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 자기 효능감,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96-408,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