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of Fear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among Teenagers

청소년의 치과치료와 관련된 공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공변량 구조모형

  • Received : 2014.05.14
  • Accepted : 2014.09.01
  • Published : 2014.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general trends in dental fear among adolescences at 15-17 years of age, differences in levels of dental fear according to relevant variables, and the degrees to which those variables influence fear of dental treatment and their causal relationships. The researcher made use of a questionnaire including tools of questionnaire survey DFS, DBS and question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s, and then analyzed covariate structure modeling by using LISREL 8.12 after conducting univariate analysis by employing SPSS. Cronbach's reliability coefficients showed higher in DFS(0.957), DBS(0.916), and GFS(0.910). The more recent experience in pain in the oral cavity and the stronger pain when treating dental disease and the more frequent experience in pain when treating dental disease and also the more broken dental appointments, the higher levels of dental fear show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linear structure equation model was statistically appropriate and well fit. By the model, severity and frequency of pain during treatment, experience of breaking dental visit appointment, distrust for dentists and general fear were directly influenced on dental fear.

본 연구에서는 15세에서 17세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의 일반적인 경향과 관련변인들에 따라 공포감이 어떻게 차이가 나며, 이들 변인들이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와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DFS, DBS 및 GFS를 포함한 설문도구와 청소년의 특성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한 후 LISREL 8.12를 사용하여 공변량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DFS (0.957), DBS (0.916) 및 GFS (0.910)의 Cronbach 신뢰도 계수가 모두 0.9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자신의 치아상태가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할수록, 최근 구강 내 동통을 경험했을 경우, 치과치료 시 동통을 강하게 느꼈을 경우, 그리고 치료 시 동통을 자주 경험했을 경우와 치과약속을 어긴적이 있을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의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추세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치과치료시 동통정도와 동통 횟수, 치과약속을 어긴 횟수, 치과의사에 대한 불신감 그리고 일반적인 공포감이 치과치료와 관련된 공포감에 정(+)의 직접효과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성이, 아동의 치과병원 공포 감소를 위한 인지 행동적 접근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3.
  2. W. Sohn and A. I. Ismail, "Regular dental visits and dental anxiety in an adult dentate population," J Am Dent Assoc, Vol.136, No.1, pp.58-66, 2005.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2005.0027
  3. P. A. Doerr, W. P. Lang, L. V. Nyquist, and D. L. Ronis,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anxiety," J Am Dent Assoc, Vol.129, No.8, pp.1111-1119, 1998.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98.0386
  4. D. J. Carpenter, R. J. Gatchel, and T. Hasegawa, "Effectiveness of a videotaped behavioral intervention for dental anxiety: the role of gender and the need for information," Behav Med, Vol.20, No.3, pp.123-132, 1994. https://doi.org/10.1080/08964289.1994.9934627
  5. A. H. Schuurs and J. Hoogstraten, "Appraisal of dental anxiety and fear questionnaires: a review,"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21, No.6, pp.329-339, 1993.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3.tb01095.x
  6. 신복미, 손동수, "치과치료 시 아동이 받는 Stress에 의한 요중 17-OHCS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14권, 제1호, pp.233-239, 1987.
  7. 양계식, 이광희, 김대업, "어린이 그림에 투시된 치과치료 불안의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22권, 제1호, pp.273-283, 1995.
  8. 이병국, 음악감상을 통한 치과진료의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9. R. Moore, H. Birn, E. Korkegaard, I. Brodsgaard, and F. Scheutz,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dental anxiety in Danish adult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21, No.5, pp.292-296, 1993.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3.tb00777.x
  10. P. Johansson, U. Berggren, M. Hakeberg, and J. M. Hirsch, "Measures of dental beliefs and attitudes: their relationships with measures of fear," Community Dent Health, Vol.10, No.1, pp.31-39, 1993.
  11. R. Bedi, P. Sutcliffe, P. T. Donnan, and J. McConnachie, "The prevalence of dental anxiety in a group of 13-and 14-year-old Scottish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aediatric Dentistry, Vol.2, pp.17-24, 1993.
  12. A. A. Weiner, D. V. Sheehan, and K. J. Jones, "Dental anxiety the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model," Acta Psychiatr Scand, Vol.73, No.5, pp.559-565, 1986. https://doi.org/10.1111/j.1600-0447.1986.tb02725.x
  13. U. Berggren and G. Meynert, "Dental fear and avoidence: causes, symptoms, and consequences," J Am Dent Assoc, Vol.109, No.2, pp.247-251, 1984.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84.0328
  14. G. Klingberg and A. G. Broberg, "Temperament and child dental fear," Pediatr Dent, Vol.20, No.4, pp.237-243, 1998.
  15. R. Plomin, "Behavioural genetics and temperament," Ciba Found Symp, Vol.89, pp.155-167, 1982.
  16. 권수진, 최유진, "경남지역 청소년들의 치과진료 형태가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277-285, 2010.
  17. 박미성, 한경수, "치과외래환자에서 공포, 불안, 우울 및 구강안면부 스트레스 증상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치의학연구소, 제8권, 제3호, pp.129-144, 1998.
  18. 김지영, "일부 중학생들의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과 치과의료종사자들에 대한 신뢰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1권, 제3호, pp.407-415, 2007.
  19. 이한주, 서미아, "청소년의 신체화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23권, 제1호, pp.79-87, 2010.
  20. R. A. Kleinknecht, R. K. Klepac, and L. D. Alexander,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fear of dentistry," J Am Dent Assoc, Vol.86, No.4, pp.842-848, 1973.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73.0165
  21. 최성숙, 김지영, 송근배, 이성국, "개인치과의원 내원 청소년들의 치과치료 공포감에 대한 관련요인 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8권, 제4호, pp.495-503, 2004.
  22. G. Kvale, E. Berg, C. M. Nilsen, M. Raadal, G. H. Nielsen, T. B. Johnsen, and B. Wormnes, "Validation of the Dental Fear Scale and the Dental Belief Survey in a Norwegian samp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25, No.2, pp.160-164, 1997.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7.tb00915.x
  23. T. Smith, T. Getz, R. Milgrom, and P. Weinstein, "Evaluation of treatment at a dental fears research clinic," Spec Care Dentist, Vol.7, No.3, pp.130-134, 1987. https://doi.org/10.1111/j.1754-4505.1987.tb00622.x
  24. K. R. Kulich, U. Berggren, M. Hakeberg, and J. E. Gustafsson, "Factor structure of the Dental Beliefs Survey in a dental phobic population," Eur J Oral Sci, Vol.109, No.4, pp.235-240, 2001. https://doi.org/10.1034/j.1600-0722.2001.00118.x
  25. J. H. Geer,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fear," Behav Res Ther, Vol.3, pp.45-53, 1965. https://doi.org/10.1016/0005-7967(65)90040-9
  26. R. Moore, U. Berggren, and S. G. Carlsson, "Reliability and clinical usefulness of psychometric measures in a selfreferred population of odontophobic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19, No.6, pp.347-351, 1991.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1.tb00185.x
  27. 김성희, 백병주, 김재곤, 양연미, 권병우, "치과방문시 어린이와 부모의 치과불안도의 상관관계",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32권, 제2호, pp.370-376, 2005.
  28. A. Naerde, E. Roysamb, and K. Tambs, "Temperament in adults-reliability, stability, and factor structure of the EAS Temperament Survey," J Pers Assess, Vol.82, No.1, pp.71-79, 2004.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8201_12
  29. K. S. Mathiesen and K. Tambs, "The EAS temperament questionnaire-factor structure, age trends, reliability, and stability in a Norwegian sample," J Child Psychol Psychiatry, Vol.40, No.3, pp.431-439, 1999. https://doi.org/10.1111/1469-7610.00460
  30. 홍선화, 오정숙, "일부 고등학생의 치과치료 공포감에 대한 관련요인분석",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2권, 제4호, pp.741-749,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4.741
  31. 윤현서, 박지현, "치과내원환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치과공포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371-37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371
  32. 김지희, 정현자, 김혜진, "일부 고등학생의 개인의 기질적 특성과 치과관련지식에 따른 치과공포감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7권, 제4호, pp.1-12, 2013.
  33. 정명희, 전성희, "치과내원환자의 이용행태 및 공포와 구강악안면통증", 치위생과학회지, 제9권, 제3호, pp.361-367, 2009.
  34. 전보혜, 최영숙, "고등학생의 치과이용실태와 통증경험에 따른 치과공포에 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제14권, 제1호, pp.59-66, 2014.
  35. H. Erten, Z. Z. Akarslan, and E. Bodrumlu, "Dental fear and anxiety levels of patients attending a dental clinic," Quintessence Int, Vol.37, No.4, pp.304-310, 2006.
  36. 최성숙, 송근배, 김한곤, "일부 지역 중, 고등학생들이 치과치료공포감 및 치과의사불신감이 치아 우식증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제11권, 제4호, pp.367-373, 2011.

Cited by

  1. Moderation and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Handwashing in Nursing Students vol.24, pp.3, 2017, https://doi.org/10.7739/jkafn.2017.24.3.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