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nstructional Methods for Illustration Using Digital Media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 윤은재 (중부대학교 미용분장학과)
  • Received : 2014.05.12
  • Accepted : 2014.08.28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find out the most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 for illustration to aid the $21^{st}$-century post digital generation learners in their education. Although the literature discusses government-led enactment and revision of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s and research report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other government agencies as well as many other research articles deal with futuristic instructional methods, the instructional methods in practice have not fully changed yet. Illustration is a means of visual communication and a subject that best represent 'expressionism' and 'speed' of the post digital generation. The present study exemplifies instructional methods to establish the need for lesson plans that best suit individuality of students and for re-training instructors. Also, the feedback process with students proved that the post digital generation learned Photoshop quickly and improved creativity via image synthesis even in short-term instructions. The present findings can be possibly used as reference data for instructional methods for illustration using digital media that best suits learners of the post digital generation. This being said, further studies should delve into specific instructional methods.

Keywords

References

  1. Basic 중학생을 위한 기술.가정 용어 사전( from www.shinwonbook.co.kr).
  2. 교육과학기술부 & 국가정보전략위원회 (2011. 6), '인재대국을 향한 교실 혁명' 스마트교육 본격 도입, pp. 1-2.
  3. 주영숙 (2010), ICT를 활용한 디자인 개별화 교육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0.
  4. 권혜진(2012),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수방법 유형의 변천과정 탐색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3.
  5. 권혜진(2012),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수방법 유형의 변천과정 탐색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0.
  6. 교육기본법(2013), 제 23조(from www.law. go.kr).
  7. 교육과학기술부 & 국가정보전략위원회 (2011. 6.),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
  8.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1. 10. 13.
  9.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1. 10. 13., p. 2.
  10. 계보경 (2011), 미래학교 체제 도입을 위한 Future School 2030 모델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p. 104.
  11. 전자 학습(Electronic Learning), 원격교육, 유선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from www.naver.com.
  12. 유니쿼터스 학습(Ubiquitous Learning), 유.무선 네크워크를 이용한 학습 from www. naver.com.
  13. 스마트 학습(SMART Learing),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학습방법;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학습콘텐츠와 솔루션(from www.naver.com).
  14. 권혜진(2012),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수방법 유형의 변천과정 탐색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3.
  15. 주영숙 (2010), ICT를 활용한 디자인 개별화 교육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6.
  16. 이진 (2013), 디지털 네이티브의 계층적 특성 및 소비 욕구 분석,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4
  17. 김생자 (2012), 디지로그 패션.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3
  18. 이주현 (2005), "포스트 디지털 세대 따뜻한 디지털 세상을 이끈다." CHEIL Communication, p. 2(from www.cheil.co.kr).
  19. 이주현 (2005), "포스트 디지털 세대 따뜻한 디지털 세상을 이끈다." CHEIL Communication, pp. 3-4.
  20. Digital Generation: 디지털 시대의 인터넷과 사이버상의 디지털 문화를 보편적으로 지향하는 세대(from www.naver.com).
  21. 권혜진(2012),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수방법 유형의 변천과정 탐색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1.
  22. 이관식 (2002), 감성 이미지를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 교육방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3.
  23. 河相五(1986), 韓國新聞廣告일러스트레이션의 變遷에 관한 硏究, 동아대학교 대학원논문집, 11, p. 196.
  24. 김서현 (2012), 효과적인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을 위한 시각 수사학 활용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25. 이관식 (2002), 감성 이미지를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 교육방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2.
  26. 이관식 (2002), 감성 이미지를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 교육방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2.
  27. 이승영 (2000),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의 환경과 경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
  28. 이승영 (2000),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의 환경과 경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5 and p. 53.
  29. 이승영 (2001),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의 이미지 프로세싱에 관한 연구, 일러스트레이션학연구, 8, p. 73.
  30. 이승영 (2000),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의 환경과 경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8.
  31. 김세희 (2009), 포토샵을 활용한 메이크업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32. 박민하 (2008), 페인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1.
  33. 장미경, 임혜송 (1999). 한국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의 지평 탐색, 일러스트레이션학 연구, 4, p. 203.
  34. 오경숙 (2001),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에 관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2.
  35. 오경숙 (2001),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에 관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2-53.
  36. 황미경 (2012), 4년제 미용관련 대학교 교육과정 분석 연구,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37. 윤은재 (2013), 포스터 디지털세대를 위한 미용교육 방법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1(10), p. 706.
  38. 김진수 (2003), 한국 미용교육 교과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
  39. 신단주 (2004), 미용계열 대학원 교과과정의 개발에 관한 연구, 동덕여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9-40.
  40. 신원선 (2012), 아트 메이크업 교육을 위한 MIS 디자인 발상 프로세스,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4.
  41. 김진수 (2003), 한국 미용교육 교과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7.
  42. 황미경 (2012), 4년제 미용관련 대학교 교육과정 분석 연구,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