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s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arket Maven and Time Orientation have on Mobile Shopping - With a Focus on Mobile Shopping -

패션 및 뷰티 제품의 모바일 쇼핑에 영향을 미치는 마켓 메이븐 및 시간지향특성에 관한 연구

  • Nam, Miwoo (Seo Kyeong University, College of Art, Dept. of Beauty Art)
  • 남미우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Received : 2014.03.04
  • Accepted : 2014.07.27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Mobile shopping, through the use of the smart phone, has become a very popular shopping method for consumers due to it not being limited by time or place. This research aims do the following:1)find the causes for consumers shifting to mobile shopping with the focus on fashion and beauty items; and in order to so, this research will use the TAM that was found by David et al (1989), and 2) distinguish any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consumer groups divided into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and beauty items through smart phon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Personal characteristics(i.e. market maven, time orientation), perceived usability, ease of use, attitude towards mobile shopping, and purchase intentions were all treated as dependa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attitude towards mobile shopping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on mobile shopping intentions. Time-oriented and Market Maven were thought to affect mobile shopping attitud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purchase intention. Also, when purchasing smart phones, consumers highly valued smart phone's popularity; people with higher purchasing intention mainly used entertainment and utility apps.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asons for not purchasing through mobile shopping: they are slower than computers, inconveniences in viewing due to small size of the screen, and security issues. The consumers used the internet as their main source of acquiring daily information. In this research, factors tha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were studi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rmly insist that this research correctly predicts the actual purchase intention-further studies need to be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urchase intention and actual purchase intention.

Keywords

References

  1. 박인곤, 신동희 (2010),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0(4), pp. 192-225.
  2. 김형문, 조현준, 송대건 (2012), 한중 소비자의 스마트 폰 구매의도 영향 요인 비교 연구, 한중사회과학연구, 10(1), pp. 203-228.
  3. 백주현, 천세학, 주지호 (2004), 디지털 경영과 인터넷비즈니스, 서울: 두남, pp. 295-301.
  4. "모바일 쇼핑 주요 유통채널로 부상"(2013. 6. 10), 어패럴뉴스, p. 3.
  5. 박우혁 (2013), "내년 유통업 성장률 3.0% 전망", 어패럴 뉴스, p. 3.
  6. 조은혜 (2013), "신조어를 보면 소비트렌드가 보인다", 어패럴뉴스, p. 3.
  7. 이명무, 김윤호 (2013), 스마트폰 이용자의 사용의도 결정 요인, 유통 경영학회지, 16(1), pp. 67-78 재인용.
  8. 유재현, 박철 (2010), 기술 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9(2), pp. 31-50.
  9. 유재현, 박철 (2010), 기술 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9(2), p. 40.
  10. 권기덕 (2010),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CEO information, 741호, 2010. 2. 3, pp. 1-22.
  11. 한성희 (2011), 스마트폰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지각된 비용과 기대혜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pp. 23-37.
  12. 최예슬, 김미영 (2013), 스마트폰 이용 동기와 패션 브랜드 앱 내용이 패션 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 비즈니스, 17(4), pp. 149-163. https://doi.org/10.12940/jfb.2013.17.4.149
  13. 한국인터넷 진흥원 (2012), 국내 스마트폰 이용현황 분석. 인터넷 & 시큐리티분석, 9월호, pp. 90-96.
  14. Geissler, G. L., & Edison, S. W. (2005), Market mavens' attitudes toward general technology: implications for marketing communications,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 11(2), pp. 73-94. https://doi.org/10.1080/1352726042000286499
  15. Walsh, G. & Elsner, R. (2012), Improving referral management by quantifying market mavens' word of mouth value, European Management Journal, 30, p. 75.
  16. 전경숙, 박혜정 (2012), 마켓메이븐의 개념 및 소비자 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6(5), pp. 562-572에서 재인용.
  17. Price, L. L., Feick, L. F. & Guskey-Federouch, A. (1988), Couponing Behavior of the market Maven: Profile of a Super Coupone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5, pp.354-359.
  18. 이현화 (2013), 위치기반 모바일 마케팅에 관한 소비자의 태도와 이용의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9(1), pp. 398-409.
  19. 전경숙, 박혜정 (2012), 마켓메이븐의 개념 및 소비자 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6(5), pp. 398-409.
  20. 김율리 (2004), 마켓메이븐과 온라인 구전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Haldeman, D. H. (1993), The Cottle Circle Test: Its validity for identifying adolescent time perspective. unpublished dissertation, State College, PA;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2. Shipp. A. J., Edwards, J.R. & Lambert. (2002),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temporal focus: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10, pp. 1-22.
  23. Mello, Z. R., Finan, L. J., & Worrell, F. C. (2013), Introducing an instrument to access time orientation and time relation in adoloecents, Journal of Adolescence, 36, pp. 551-563.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13.03.005
  24. Ferrari, J. R. & Diaz-Morales, J. F. (2007), Procrastination: Different time orientation reflect different motiv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 pp. 707-714. https://doi.org/10.1016/j.jrp.2006.06.006
  25. 양윤, 배수원 (2003), 인터넷 쇼핑에서의 지각된 위험과 소비자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4(2), pp. 73-103.
  26. 강은미, 박은주 (2001), 소비자의 내적특성이 의복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각추구성향, 의복탐색행동, 점포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3), pp. 586-597.
  27. 유혜경, 김용주, 김현숙, op. cit., p. 274.
  28. 이명무, 김윤호 (2013), 스마트폰 이용자의 사용의도 결정 요인, 유통경영학회지, 16(1), pp. 67-78.
  29. 이명무, 김윤호 (2013), 스마트폰 이용자의 사용의도 결정 요인, 유통경영학회지, 16(1), p.67.
  30. 이명무, 김윤호 (2013), 스마트폰 이용자의 사용의도 결정 요인, 유통경영학회지, 16(1), p.72.
  31. 유재현, 박철 (2008), 중국소비자들의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해와 청도지역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2(2), pp. 203-226.
  32. 이명무, 김윤호 (2013), 스마트폰 이용자의 사용의도 결정 요인, 유통경영학회지, 16(1), p. 76.
  33. 배국선 (2003), 기술수용모델의 관점에서 본 모바일 커머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56.
  34. 이은경 (2007), 모바일 패션쇼핑의 특성과 지각된 위험이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혁신성과 모바일 인터넷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석사학위논문, p. 37.
  35. 이은경 (2007), 모바일 패션쇼핑의 특성과 지각된 위험이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혁신성과 모바일 인터넷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석사학위논문, p. 113.
  36. 김민정 (2009), 모바일 쇼핑에 대한 태도 및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7(4), pp. 709-722.
  37. 백주현, 천세학, 주지호 (2004), 디지털 경영과 인터넷비즈니스, 서울: 두남, p. 294.
  38. 백주현, 천세학, 주지호 (2004), 디지털 경영과 인터넷비즈니스, 서울: 두남, p. 298
  39. 김선남 (2007), 모바일 수용자의 콘텐츠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 연구, 12(5), pp. 5-45.
  40. 박재성, 고준 (2013), 스마트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감성과 인지의 포괄적 접근, KBR, 17(1), p. 203에서 재인용.
  41. 조연아, 정영조, 허정욱 (2010), 아이폰이 가져올 변화 그리고 beyond iphone, kt경제경영 연구소, IT 전략보고서.
  42. 유혜경, 김용주, 김현숙(2014), 패션리테일링, 서울: 수학사, pp. 276-278.
  43. 김지연 외 (2010),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경험과 소비자 특성이 의류제품 구매시 지각하는 위험과 구매 저해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 연구, 18(1), pp. 118-132.
  44. 이창근 (1998), 소비자 지각요인이 상거래 매체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위험지각요인과 감성지각요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
  45. 정원진, 정석균 (2012), 스마트폰 사용자가 지각한 모바일 쇼핑몰의 정보보안 수준이 쇼핑몰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19(4), pp. 261-282.
  46. 김민정 (2009), 모바일 쇼핑에 대한 태도 및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7(4), pp. 709-722.
  47. 김민정 (2009), 모바일 쇼핑에 대한 태도 및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7(4), pp. 175-188.
  48. Bearden, W. O. & Netemeyer, R. G. (1999), Handbook of Marketing Scales, Thoudand Oaks, London: SAGE Publication, pp. 75-76.
  49. 서정희 (1996), 가정학 연구 방법론, 강원도; 하우, pp. 525-554.
  50. 유재현, 박철 (2008), 중국소비자들의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해와 청도지역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2(2), pp. 31-50.
  51. 이현미 (2012), 글로벌 인터넷 쇼핑몰의 패션제품 구매의도 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0(4), pp. 573-593, p. 590.
  52. 김형문, 조현준, 송대건 (2012), 한중 소비자의 스마트폰 구매의도 영향 요인 비교 연구, 한중사회과학연구, 10(1), pp. 203-228, p. 224.
  53. 박순찬 (2012), "목표는 0.1초 웹에선 속도가 최우선", 조선일보, 28440호, p. D2.
  54. 정원진, 정석균 (2012), 스마트폰 사용자가 지각한 모바일 쇼핑몰의 정보보안 수준이 쇼핑몰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19(4), pp. 261-282.

Cited by

  1. 인터넷 구매의도의 선행변수 - 충동구매, 마켓메이븐 성향, 온라인 상호작용 준비성, 온라인 소비자 연기 - vol.25, pp.5, 2017, https://doi.org/10.29049/rjcc.2017.25.5.593
  2. 온라인 구전수용 및 재구전의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의복관여도와 마켓메이븐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 vol.26, pp.2, 2014, https://doi.org/10.29049/rjcc.2018.26.2.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