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문봉.강흥규.김수미.박교식.박문환.서동엽.송상헌.유현주.이종영.임재훈.정동권.정은실.정영옥(2005).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서울: 경문사.
-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수학 4-2. 서울: 두산동아.
- 권순애.김현주(2009). 9학년 학생들의 유도단위에 대한 이해도 조사. 새물리, 59(1), 18-26.
- 김성숙(2005). 역사적 관점으로 본 메소포타미아 수학. 한국수학사학회지, 18(4) 39-48.
- 네이버 국어사전(2010).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004100
- 변희현(2005). 소수 개념의 교수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변희현(2009). 측정의 관점에서 본 덧.뺄셈의 통합적 이해.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9(2), 307-319.
- 이경화(2001).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에 관한 수업 아이디어.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3(2), 423-445.
- 정원(2009). '계산 기술자'에서 '네델란드의 수학자'로: 시몬 스테빈을 통해 본 근대 초 네델란드에서의 실용 수학과 수학자의 지위 상승.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은실(2010).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양(量)의 계산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0(4), 445-458.
- 한인기.신현용(2001). 다각형의 넓이 및 그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12, 155-170.
- 허학도(2006). 직사각형의 넓이 공식의 이해와 인식론적 장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Cajori, F.(1894) A History of Mathematics. 정지호 역, 1977, 캐조리 수학사. 서울: 창원사.
- Dewey, J.(1901). Psychology and social practi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Freudenthal, H.(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 Reidel Publishing Company.
- Lamon, S. J.(1993). Ratio and proportion: Children's cognitive and metacognitive process. In T. P. Carpenter, E. Fennema, & T. A. Romberg(Eds.), Rational Numbers An Integration of Research(pp. 131-156). New Jersey,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Polya, G.(1971). How to solve it. 우정호 역(2002).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교우사.,
-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M., & Smith, N. L.(1998).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5th ed.). 강문봉 외 19인 역(1999). 초등 수학 학습 지도의 이해. 서울: 양서원.
- Schifer, D., & Syzmaszek, J.(2003). Structuring a rectangle: Teachers write to learn about their students' thinking. In D. H. Clements, & G. Bright(Eds.),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pp. 143-156). Reston, VA: NCTM.
- Skemp, R. R.(1987).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황우형 역 (1997). 수학학습심리학. 서울: 민음사.
- Schwartz, J. L.(1988). Intensive quantity and referent trans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In J. Hiebert, M. Behr(Ed.), Number concepts and operations in the middle grades(pp.41-52). Lawrence Erlbaum Associates: NCTM.
- White, M. A.(1998). Quantity calculus: Unambigous designation of units in graphs and table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5(5), 607-609. https://doi.org/10.1021/ed075p607
Cited by
- 연산 결과의 의미 이해를 돕기 위한 단위 사용에서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 vol.17, pp.3, 2014, https://doi.org/10.7468/jksmec.2014.17.3.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