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Ecological Index of Plant Using Flora Distributed in Temple Forest

사찰림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이용한 식물생태지수 분석

  • Oh, Hyunkyu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Ecological 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
  • Choi, Yeonho (Baekdudaegan Soop Research Institute) ;
  • You, Juha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Gyeongju)
  •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한반도생태연구소) ;
  • 최윤호 ((사)백두대간숲연구소) ;
  •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Received : 2014.04.21
  • Accepted : 2014.07.09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and method for assessing the naturaliness of temple environment by applying the ecological index of plant to quantitatively and objectively assess the flora and to understand the flora distributed in major temple forest. The ecological index of plant was based in the surveyed flora. The whole flora were summarized as 535 taxa including 103 families, 310 genera, 426 species, 5 subspecies, 82 varieties and 22 forms. And, the numbers of taxa in the Beopheungsa were 267 taxa, 314 taxa of the Daeseungsa and 296 taxa of the Seongjusa. The rare plants were 9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Viola albida, Arisaema heterophyllumand so forth, an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Clematis trichotoma, Stewartia pseudocamellia, Vicia chosenensis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51 taxa including Wistaria floribunda, Celtis aurantiaca, Angelica gigas and so forth, and the pteridophyta were 26 taxa including Osmunda japonica, Polystichum braunii, Onoclea orientalis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5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Conyza canadensis, Xanthium strumariu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Eupatorium rugosum. In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ecological index of plant in whole temple forests, RI(Rare Index) was 1.7%, 2.1% of EI(Endemic Index), 9.5% of SI(Specific Index), 1.2 of PI(Pteridophyta Index) and 6.5% of NI(Naturalized Index) in narrow sense. In broad sense, FI(Flora Index) was 11.0%, 1.5% of RI, 3.4% of EI, 4.8% of SI, 10.1% of PI, 10.9% of UI(Urbanized Index) and 25.0% of DI(Disturbed Index). The FI of the Daeseungsa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temple forests. In narrow sense, the RI, SI, NI and DI of the Beopheungsa was high, the seongjusa was higher the EI and SI. In broad sense, the RI and SI of the Beopheungsa, the EI, SI and PI of the Seongjusa, the UI is high in the Daeseungsa. In future, if we will analyze ecological index of plant in other temple forests,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plan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n ecosystem in whole temple forests.Environmental Specimen Banks (ESBs) are playing pivotal role in monitor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on the ecosystem based on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samples collected regularly and stored in cryogenic condi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사찰림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파악함과 아울러 식물상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식물생태지수를 적용함으로서 사찰환경의 자연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식물생태지수는 조사된 식물상에 기초하였다. 전체 식물상은 103과 310속 426종 5아종 82변종 22품종 등 535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법흥사는 267분류군, 대승사는 314분류군, 성주사는 296분류군이었다.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 태백제비꽃, 두루미천남성 등 9분류군이며, 한국특산식물은 할미밀망, 노각나무, 노랑갈퀴 등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등, 산팽나무, 참당귀 등 51분류군이며, 양치식물은 고비, 좀나도히초미, 개면마 등 26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망초, 도꼬마리 등 35분류군이었으며,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등골나물 등 3분류군이었다. 전체 사찰림의 식물생태지수 분석 결과, 협의적인 경우, 희귀율 1.7%, 특산율 2.1%, 특이율 9.5%, 양치식물계수 1.2%, 귀화율 6.5%이며, 광의적인 경우, 식물상지수 11.0%, 희귀율 1.5%, 특산율 3.4%, 특이율 4.8%, 양치식물계수 10.1%, 도시화지수 10.9%, 교란율 25.0%로 나타났다. 대승사의 식물상지수는 3개 사찰림 중에서 가장 높았다. 협의적인 경우, 법흥사는 희귀율, 특이율, 귀화율 및 교란율이 높았으며, 성주사는 특산율과 특이율이 높았다. 광의적인 경우, 법흥사는 희귀율과 특이율, 성주사는 특산율, 특이율 및 양치식물계수가, 대승사는 도시화지수가 높았다. 향후, 다른 사찰림의 식물생태지수를 분석한다면, 전체 사찰림의 생태계에 대한 보전 및 복원방안 수립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미, 최송현, 이수동, 조현서, 김지석. 2012. 경주국립공원 불국사 사찰림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5). 787-800.
  2. 고성철, 최두섭, 손동찬, 박범균, 김태훈. 2013. 천황산 지역(경남)의 관속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3(2). 146-160. https://doi.org/10.11110/kjpt.2013.43.2.146
  3. 국립수목원. 2005.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pp. 206.
  4. 국립수목원. 2008a.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산림청 국립수목원. pp. 332.
  5. 국립수목원. 2008b. 한국식물도해도감2 양치식물. 국립수목원. pp. 547.
  6.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pp. 534.
  7. 국립환경과학원. 2012.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국립환경과학원. pp. 168.
  8. 권재환, 신민경, 이강협, 송호경. 2013. 지리산국립공원의 양치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5). 529-543. https://doi.org/10.13047/KJEE.2013.27.5.529
  9. 김경미. 2002. 조선 후기 사불산불화 화파의 연구. 미술사학연구. 236. 133-165.
  10. 김봉규, 엄태원. 2009.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소사 지역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135-142.
  11. 김정호, 최송현, 최인태, 양순자, 이상철. 2011. 부산 금정산 범어사계곡 낙엽활엽수림의 식생 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4). 581-589.
  12. 김종엽, 기경석, 민건영, 2012. 용문사 상원사계곡 식물군집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5). 758-769.
  13.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1). 163-198.
  14. 김한수, 오충현. 2011. 우리나라 농촌마을 경관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3). 389-403.
  15. 문병철, 오세문, 이인용, 김창석, 조정래, 김석철. 2008. 가시박 군락지의 잡초발생 특성 및 분포. 한국잡초학회지. 28(2). 117-125.
  16. 민웅기, 장진성, 전정일, 김휘, 최도열. 2002. 백덕산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 서울대학교 수목원 연구보고. 22. 20-44.
  17. 민웅기, 장진성, 전정일, 김휘, 최도열, 김승곤. 2001. 운달산의 식물상. 서울대학교 수목원 연구보고. 21. 89-96.
  18. 박수현. 2009.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pp. 575.
  19. 방광자, 김광두, 강현경, 주진희. 2004. 제주도의 상록양치식물 자생지 환경특성 및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7(3). 64-72.
  20. 백재봉, 최송현, 조재우. 2000. 석남사지역의 식생 경관 관리를 위한 삼림구조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4). 68-76.
  21. 변무섭, 오현경. 2007. 석불산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와 군락 분류.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5). 375-382.
  22. 산림청. 2012. 사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 및 보전방안에 관한 연구. 산림청. pp. 287.
  23. 심창진, 김용기. 2001. 한국전통사찰의 지형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9(1). 11-18.
  24. 오현경, 사공정희, 유주한. 2011a. 계룡시에 분포하는 귀화식물과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4). 479-489.
  25. 오현경, 유주한. 2012. 경상남도 사천시의 식물생태 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환경영향평가. 21(4). 509-523.
  26. 오현경, 한윤희, 최송현. 2011b. 문경 봉암사 일대의 식물상 유형별 분류 및 보전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4). 447-469.
  27. 유주한, 문성주, 이우성. 2011. 경주국립공원 화랑 지구의 관속식물상과 관리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4(5). 17-35.
  28. 유주한, 홍광표, 이동훈. 2010. 삼보사찰의 조경식물 및 식재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8(1). 119-128.
  29. 윤정원, 김용식, 신현탁, 김기송, 성정원, 이창현, 박기환, 이명훈. 2013. 경주국립공원의 관속 식물상-남산, 토함산, 단석산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2). 170-195.
  30. 이경재, 기경석, 최진우. 2009.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구 소나무림 식생천이와 식생관리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208-219.
  31. 이경재, 김지석, 최진우, 한봉호. 2008. 오대산국립공원 월정사 전나무숲 식생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2). 173-183.
  32. 이성제, 오오노 케이이치, 안영희. 2011. 식생구조 관리를 위한 한국 미황사 사찰림의 식생구조 및 종다양성 분석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4). 540-561.
  33. 이영경, 이병인, 2002. 국립공원내 전통사찰의 자원 가치 평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4). 37-45.
  34. 이영경, 이병인, 한상열. 2006. 전통 사찰의 이용 및 보존 가치에 대한 경제적 평가-설악산 신흥사와 가야산 해인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4(5). 84-99.
  35. 이영노. 2006a.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 교학사. pp. 974.
  36. 이영노. 2006b.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I). 교학사. pp. 885.
  37. 이우철. 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pp. 624.
  38. 이유미, 박수현, 정수영, 오승환, 양종철. 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1). 87-101.
  39. 이창복. 2003a. 원색 대한식물도감(상). 향문사. pp. 914.
  40. 이창복. 2003b. 원색 대한식물도감(하). 향문사. pp. 910.
  41. 이호형, 오충현, 최송현, 이수동. 2012. 희양산 봉암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산림군락구조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3). 382-393.
  42.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4). 69-83.
  43. 정규영, 박명순, 정수영, 이선희, 최하나, 남보미, 이유미, 최혁재. 2008. 공덕산(경북 문경) 관속식물의 분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1(4). 270-280.
  44. 창원시. 2007. 창원시 환경보전 계획. 창원시. pp. 535.
  45. 최송현, 이영경, 이병인, 이상혁. 2008. 토함산 불국사의 생태가치평가. 한국도시환경학회지. 8(1). 67-80.
  46. 홍순형, 노영규. 1985. 지리산 쌍계사 일대의 식생에 관한 연구. 교사교육연구. 11. 403-421.
  47. 환경부. 1998.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창원, 김해). 환경부. pp. 57-79.
  48. 환경부. 2006a.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제천, 문경). 환경부. pp. 1-53.
  49. 환경부. 2006b.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환경부. pp. 76.
  50. 환경부. 2010.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영월, 평창). 환경부.
  51. http://beopheungsa.org.
  52. http:www.seongjusa.com
  53. Melchior, Hans.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II. Gebruder Borntraeger. pp. 666.

Cited by

  1.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Naknam-Jeongmaek - Focused on Gilmajae, Mt. Muryang, Mt. Yeohang, Mt. Muhak, Mt. Cheonju and Mt. Sineo - vol.19, pp.2, 2016, https://doi.org/10.13087/kosert.2016.19.2.19
  2. A Study on the Current Planting Status and Maintenance Plans of Traditional Korean Temples vol.34, pp.1, 2016,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1.053
  3. Study on Flora of Specially Protected Area in the Cheoneun Reservoir, Jirisan National Park for Management of Forest Recreation and Natural Resource vol.18, pp.4, 2014, https://doi.org/10.34272/forest.2014.18.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