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그물베도라치(Dictyosoma burgeri)의 산란행동 유도 및 난 발생과 자어의 형태발달

Spawning Behavior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the Eggs and Larvae of the Blennioid Fish, Dictyosoma burgeri from Korea (Pisces: Stichaeidae)

  • 박재민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 한경호 (전남대학교 양식생물학전공) ;
  • 김나리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 홍창기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 박종연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 조재권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Park, Jae Min (South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Han, Kyeong Ho (Department of Aqualife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Na Ri (South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Hong, Chang Gi (South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Park, Jong Youn (South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Cho, Jae Kwon (South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투고 : 2014.04.22
  • 심사 : 2014.06.16
  • 발행 : 2014.06.30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그물베도라치의 산란행동과 난 발생 및 자어의 형태발달을 조사하여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수정란은 구형으로 백색의 불투명한 침성 점착란이었고, 유구의 수는 3~4개였으며, 난의 크기는 1.31~1.47mm(평균 $1.38{\pm}0.05mm$, n=10) 범위였다. 유구의 크기는 0.12~0.38 mm (평균 $0.25{\pm}0.10mm$, n=10)였다. 사육수온은 $14.5{\sim}16.5^{\circ}C$ (평균 $15.0{\pm}0.05^{\circ}C$)를 유지하였고, 난 발생 과정은 64세포기 후 30시간이 경과하여 상실기에 달하였으며, 64세포기 후 744시간이 경과하여 머리 윗부분이 난막을 뚫고 나오면서 부화가 시작되었다.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7.10~7.60mm(평균 $7.34{\pm}0.18mm$)로 입은 열려 있었고, 부화 후 6일째의 후기 자어는 전장 9.06~9.13 mm (평균 $9.10{\pm}0.02mm$)로 꼬리지느러미의 윗부분에 줄기가 분화하기 시작하였고, 난황은 모두 흡수되었으며, 먹이 섭식활동을 시작하였다.

The spawning behavior, development of eggs and larvae of the blennioid fish, Dictyosoma burgeri were investigated. The blennioid fish were caught at Hwayang-myeon, Yeosu-si, Jeollanam-do from December 2013. The egg was spherical, measuring from 1.31 to 1.47 mm in diameter. The incubation period of the egg extended from 744 hrs at the temperature varying between 14.5 and $16.5^{\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7.10~7.60 mm(mean $7.34{\pm}0.18mm$) in total length. Two days after hatching, prelarvae was measured 8.43~8.47 mm (mean $8.45{\pm}0.01mm$) in total length. They began to eat rotifer and transformed to postlarvae stage. Six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was measured 9.06~9.13 mm(mean $9.10{\pm}0.02mm$) in total length.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용주.김영혜.김원태. 1995. 그물베도라치, Dictyosoma burgeri의 연령과 성장. 한국어류학회지, 7: 171-176.
  2. 김용억. 1979.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s의 자치어기 형태. 한국수산과학회지, 12: 297-303.
  3. 김용억.명정구. 1983. 노래미, Agrammus agrammus의 난 발생과 부화자어. 한국수산과학회지, 16: 395-400.
  4. 김용억.명정구.한경호.강충배. 1992. 청베도라치, Pictiblennius yatabei의 산란습성, 난 발생과정 및 부화자어의 형태. 한국어류학회지, 4: 44-54.
  5. 김용억.박양성.명정구. 1986a. 꼼치, Liparis tanakai의 난 발생과 부화자어. 한국수산과학회지, 19: 380-386.
  6. 김용억.박양성.명정구. 1986b. 미거지, Liparis ingens의 난 발생과 부화자어. 한국수산과학회지, 19: 368-374.
  7. 김용억.박양성.명정구. 1987. 뚝지, Aptocyclus ventricosus의 난발생과 자치어. 한국수산과학회지, 20: 157-165.
  8. 김용억.한경호. 1989. 실험실에서 사육한 저울베도라치, Istiblennius stellifer의 난 발생 및 부화자어. 한국어류학회지, 1:9-18.
  9. 김용억.한경호.김병학. 1993.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의 난 발생과정 및 자어의 형태발달. 한국어류학회지, 5: 151-159.
  10. 김익수.강언종.김수익. 1991. 한국산 베도라치아목과 등가시치 아목 (농어목)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동물학회지, 115:500-525.
  11.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주)교학사, 615pp.
  12. 박재민.한경호.김나리.오성재.손맹현.김경민.전민지.김재명.박상희.조재권. 2014.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s의 산란행동 유도 및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26: 25-33.
  13. 송호복.최신석. 2000. 버들붕어, Macropodus chinensis의 생식생태와 초기생활사. 한국하천호수학회, 33: 282-294.
  14. 이정의.조재윤. 1997. 장갱이, Stichaeus grigorjewi Herzenstein의 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2. 자치어 성장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한국양식학회지, 10: 239-253.
  15. 정길남. 2008.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관의 복합당질 성상 및 분포. 생명과학회지, 18: 782-788.
  16. 정길남.이응희.조기진.정권순.조운복. 2004.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식도 점액세포의 복합당질에 대한 Lectin 조직화학. 생명과학회지, 14: 417-424.
  17. 정길남.정권순.조기진.조운복. 2001.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식도 점액세포의 점액질에 대한 조직화학적 연구. 생명과학회지, 6: 595-602.
  18. 정길남.조기진.이응희.조운복. 2005.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관 점액질에 대한 조직화학적 연구. 생명과학회지, 15: 707-714.
  19.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7pp.
  20. 진영석.한재일.박창범.이치훈.김병호.백혜자.김형배.이영돈. 2007. 그물베도라치, Dictyosoma burgeri의 생식주기. 한국어류학회지, 19: 8-15.
  21. 최정화.홍병규.전영열.김정년.최영민.유옥환. 2009. 동해심해어류, 가시베도라치 (Lumpenella longirostris), 주먹물수배기 (Malacocottus gibber), 청자갈치 (Bothrocara hollandi)의 식성비교. 한국수산과학회지, 42: 151-156.
  22. 황인준.백혜자. 2010. 그물베도라치, Dictyosoma burgeri의 성숙기 난모세포 스테로이드 대사에 미치는 Nonylphenol과 2,2′,4,6,6′-Pentachlorobiphenyl의 효과. 발생과 생식, 14:115-121.
  23. Blaxter, J.H.S. 1974. The early life history of fish. Spring-Verlag, Berlin, 765pp.
  24. Lee, J.U. and J.Y. Cho. 1995. Studies on the seeding production of long shanny, Stichaeus grigorjewi Herzenstein. J. Aquaculture, 8: 195-207. (in Korean)
  25. Miki, T., H. Yoshida and K. Amaoka. 1987. Rare stichaeid fish, Pseudalectrias tarasovi from Japan and its larvae and juveniles. Bull. Fac. Fish. Hokkaido Univ., 38: 1-13.
  26. Rusell, F.S. 1976. The eggs and planktonic stages of British marine fishes. Academic Press, Inc., London, 524pp.
  27. Shiogaki, M. and Y. Dotsu. 1972. Life history of the blennioid fish, Dictyosoma burgeri. Fish. Nagasaki Univ., 33: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