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김사문의 "용호구곡경승안내"와 "용성지" 그리고 바위글씨 의 위치와 내용 및 ArcGIS10.0의 투영기법을 활용한 지형분석 등을 통해 지리산에 설정된 남원 용호구곡의 장소 및 경관 특질을 밝히고자 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원팔경 제1경인 용호구곡의 협곡은 감입곡류천으로 변성암과 화강암 풍화층이 급류에 깎이면서 곳곳에 소(沼)와 단애(斷崖) 그리고 반석(盤石)이 특징적인 지형경관을 이루었다. 제3곡 학서암을 제외한 구곡 바위글씨 위치의 GPS좌표를 측정하고, 바위글씨를 기종점(起終點)으로 다음(Daum)지도 상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기능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한 결과, 용호구곡의 총 연장거리는 약 3.5km이었으며 각 곡간의 평균거리는 436.5m로 계상되었다. 용호구곡은 1927년 용호서원의 전신인 용호정사(龍湖精舍)의 경영주체인 원동향약계와 관련된 기호학파 사림에 의해 구한말에서 일제 강점 초기 사이에 설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 근거는 "용호정실기(龍湖亭實記)"에 언급된 용호영당(龍湖影堂)의 존재와 "하은유고(荷隱遺稿)"의 기록, 불신당(佛神堂)의 '용호품제(龍湖品題)' 와 '용호정사동구(龍湖精舍洞口) 갑자춘(甲子春)' 바위글씨 그리고 용호서원 목간당에 게판(揭板)된 "용호구곡십영(龍虎九曲十詠)"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용호서원과 용호정을 중심으로 풍호대(風乎臺) 석벽에 새겨진 다수의 시사명단(詩社名單) 그리고 제6곡 유선대(遊仙臺)와 그 곳의 돌절구, 불신당과 교룡담의 '방장제일동천(方丈第一洞天)' 및 '용호석문(龍湖石門)' 바위글씨 그리고 1곡 주변의 여궁석(女宮石)과 비보풍수 시설 등을 종합해 볼 때, 용호구곡은 유 불 선(儒 佛 仙)과 풍수지리사상이 습합되면서 형성된 독특한 구곡문화의 현장으로 이해된다. 김사문의 "용호구곡경승안내"는 조선 말기 지역민이 가졌던 용호구곡의 지명과 승경관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또한 "용성지"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용호구곡 용추동(龍湫洞)에는 불영추(佛影湫), 구룡추(九龍湫), 이수추(梨樹湫), 괴음추(槐音湫), 대야추(大也湫) 등 총 12개의 추(湫)가 언급되고 있으나 아쉽게도 일부는 현재 확인이 곤란하다. 한편 용호구곡 주변에 충만된 구룡(九龍) 관련 지명과 시설은 이곳 장소정체성의 핵심일 뿐 아니라 12개 추의 정확한 장소 규명과 경관의미 전달은 용호구곡의 경관매력도 제공은 물론 경관 스토리텔링을 위해 매우 유효한 콘텐츠이자 스토리보드의 키워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ducted to identify the substance, regional characteristics or landscaping of Namwon Yonghogugok, which is the only valley of Jiri Mountain, based on Kim Samun's 'Yonghokugok-Gyeongseungannae(龍湖九曲景勝案內)', 'Yongseongji(龍城誌)' and position, meaning of letters carved and projection technique by ArcGIS10.0 on the rocks are as below. The feature landscapes of the canyon of Yonghogugok, which is an incised meander and one of the Eight beautiful scenery of Namwon, ponds, cliffs and rocks generated with metamorphic rocks and granites weathered by rapids torrent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GPS coordinates of the letters carved on the rocks, excluding the 3 Gok Hakseoam and the distances based on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the letters carved on the rocks using the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unction of Daum map, the total distance of Yonghogugok was 3.5km and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each Gok was 436.5m. It is assumed that Yonghogugok was designated by Sarim(士林) of the Kiho School(畿湖學派) related to Wondong Hyangyak(元洞鄕約) which is the main agent of Yonghojeongsa(龍湖精舍), the forerunner of Yonghoseowon(龍湖書院), betwee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early Japanese colonial era, in 1927. Its grounds are the existence of Yonghoyeongdang mentioned on 'Yonghojeongsilgi'(龍湖亭實記), records of 'Haeunyugo(荷隱遺稿)', 'Yonghopumje(龍湖品題)' of Bulshindang(佛神堂), 'Yonghojeongsadonggu Gapjachun(龍湖精舍洞口 甲子春)' letters carved on the rocks and 'Yonghogugok-Shipyeong(龍湖九曲十詠)' posted on Mokgandang of Yonghoseowo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numerous poetry society lists carved on the stone wall of Punghodae(風乎臺), the Sixth Gok Yuseondae, its stone mortar, 'Bangjangjeildongcheon(方丈第一洞天)' of Bulshindang and Gyoryongdam(交龍潭), the Yonghoseokmun(龍湖石門) letters carved on the rocks, Yeogungseok adjacent to the First Gok and Fengshui facilities, centered on Yonghoseowon and Yonghojeong, Yonghogugok can be understood as a unique valley culture formed with the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Fengshui. 'Yonghogugok-Gyeongseungannae' provides very useful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place name, called by locals and landscaping aspects of Yonghogug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meaning of "Nine dragons" and even though 12 chu(湫: pond) of Yonghogugok Yongchudong including Bulyeongchu, Guryongchu, Isuchu, Goieumchu and Daeyachu are mentioned on Yongseongji, a part of them cannot be confirmed now. Various place names and facilities relevant to Guryong adjacent to Yonghogugok are the core of the place identity. In addition, the accurate location identification and the delivery of the landscaping significance of the 12 ponds is expected to provide landscaping attractiveness of Yonghogugok and become very useful contents for landscaping storytelling and a keyword of storyboard.